금빛 기쁨의 기억 - 한국인의 미의식
강영희 지음 / 일빛 / 2004년 4월
평점 :
품절


왜 품절일까? 그렇게 많은 사람이 사봤을 것 같지는 않은데.... 그렇다고 출간된지 오래된 책도 아니고....가끔 다른 서점에서는 구할 수 있는 책들이 알라딘에서는 품절일 때가 있다. 아니 좀 많다. 이유가 뭘까?

표지의 자물쇠가 근사한 책, 책을 펼쳐서 날개부분을 펼치면 '어 이게 뭐야' 저자 소개에 한 예쁘장한 여자아이가 한옥의 문을 빼꼼히 나서면서 정면을 바라보고 있다. 멋있다. 저자 사진으로 어릴 때의 자신의 사진을 내다니... 그런데 책을 읽어가다보면 이 사진을 낸게 단순히 편집상의 문제는 아니었다는게 밝혀진다. 저자는 자신의 미의식의 원천을 어릴적 한옥이었던 외가에서 형성된것으로 파악한다. 그의 한국적인 미적 심상의 원형말이다. 한국인의 미의식-취향이 어떤 것일까를 탐구하는 주제에 아주 걸맞는 사진이다. 저자의 생각이었을까? 아니면 편집자의 생각이었을까 어쨌든 성공적이면서 기발한 생각이다.

책의 시작은 백남준을 예로 들면서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다라는 흔하디 흔한 조금은 식상한 논조로 시작된다. 그러나 글의 전개 모두가 그렇지는 않다. 이 책에서 가장 인상적으로 읽었던건 식민지시대 일본인 야나기 무네요시의 한국의 미 인식을 논박하는 2부이다. 한국미술사에서 야나기 무네요시는 빼놓을 수 없는 존재이다. 어쩌면 오늘날에도 한국인 대부분이 가지고 있는 한국적 미에 대한 일반적인 관념은 거의 그의 손에서 창작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백의 민족의 이미지, 한과 애상의 미로서의 한국미술의 이미지같은 것 말이다. 물론 학계에서는 이러한 야나기의 미술관을 논박한바가 많았지만 그것이 일반적인 한국인들의 머릿속에 깊게 뿌리박은 관념을 완전히 바꿔놓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무엇보다 야나기는 일제 식민지시대 한국인에 대해 동정적이었던 일본인, 그리고 한국미술의 가치를 부각시켜 주었던 일본인으로 기억되고 있고 더구나 일본인으로서는 처음으로 1984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대한민국 보관(寶冠) 문화훈장까지 받은 사람이다. 

저자는 야나기의 한국미에 대한 인식이 철저한 일본인의 미의식에 기준하여 이루어진것임을 전형적인 오리엔탈리즘이었음을 논리적으로 비판한다.

"흔히 무의식의 미, 무작위의 미, 무기교의 미로 표현되는 야나기의 한국 예술론의 핵심은 일본인의 미의식을 한국인의 미의식에 덮어씌우면서 그것을 미의식에 미달하는 무의식으로 격하시킨 것이다."(본문 63쪽)

"미의식에도 위계질서가 적용되며, 일본인에게는 윗자리의 미의식이, 한국인에게는 아랫자리의 무의식이라는 '저마다의 알맞은 위치'가 주어진다. ...이같은 미의식의 위계질서는 한국의 미를 '타력의 미'로, 일본의 미를 '자력의 미'로 규정하는 논리를 통해 체계적인 틀거리를 갖춘다. ... 나아가 이들은 위계질서에 의해 서로 다른 위치와 역할을 부여받은 다음 하나의 체계로 통합된다"(본문 67쪽)

결국 야나기의 미의식은 정치적 식민주의의 문화적 변용에 다름아니었음을 설파하며 그가 일본인의 눈으로 파악한 한국미가 결국 허구임을 맹렬히 논파하고 있다. 문화의식에 있어 식민주의의 잔재가 "이건 아닌데'라는 생각에서 한단계 발전하여 이제야 제대로 청산되는 느낌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통해 저자는 그렇다면 한국인의 미의식이란건 뭘까를 3부에서 본격적으로 얘기하고 있다. 밖으로 보이는 형(形)이 아니라 그 너머의 상(象)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것, 따라서 형태미를 넘어서는 정신미의 추구하는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여기에서 모든 논의를 출발한다. 그속에서 흔히 말하는 고졸미가 발휘되며 해학과 신명역시 마찬가지로 파악될수 있음을 설파하고 있다. 이의 입증을 위해 저자는 박수근과 한국의 각종 미술품들과 민속, 음식, 한국인의 색감, 현대미술까지를 종횡무진 누비며 논의를 전개한다. 하지만 이 부분에 있어서는 2부에서 보였던 만큼의 훌륭한 논리성을 갖추고 있지는 못한 느낌이다. 이걸 느낌이라고 하는건 딱히 뭐라고 반박할 말은 없지만 뭔가 지나치게 강박적이지 않나 하는 혐의이다. 하나의 준거틀을 만들어놓고 거기에 모든 것을 맞춰나가려 애쓰는 모습같은게 느껴진다.

하지만 이 책은 2부의 글만으로도 한국미술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꼭 한 번 읽어봐야 하지 않을까 싶다. 그런 의미에서 알라딘의 품절 두글자도 지워졌으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