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클림트, 황금빛 유혹 ㅣ 다빈치 art 9
신성림 지음 / 다빈치 / 2002년 7월
평점 :
절판
서울에서 열리는 클림트전을 보러가기 전에 공부삼아 오래전 사둔 이 책을 들었다.
표지의 저 키스는 얼마나 사람의 마음을 두근거리게 하는지...
"나에 대해 뭔가 알고싶다면 - 물론 화가로서의 나 말이다 - 내 그림을 주의 깊게 살펴보고서 그 속에서 내가 누구인지, 내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찾으면 될 것이다."(클림트)
가수가 노래로 자신을 표현하듯이 화가가 그림으로 자신을 표현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서두에 클림트의 저 말을 내걸었듯이 저자는 클림트의 그림에 아주 충실하게 책을 써내려간다.
클림트의 그림이란게 대부분 어떤 역사적 평가나 논리적인 잣대를 들이대기는 어렵다.
다만 그의 황홀한 색채와 관능적인 분위기에 반하는 것이 대부분일터고 나 역시 그러하다.
저자 역시 예외는 아니어서 클림트의 그림을 보며 느끼는 주관적인 감상과 느낌이 내용의 주가 되고 간간이 클림트와 주변 인물들 미술계의 당시 동향과의 연관등을 살피는 정도이다.
그림을 보고 느끼는 것은 온전히 주관적인 것이고 굳이 저자의 시선을 따라야 할 이유가 없다.
다만 내가 느낀 감정을 좀 더 명확하게 말하거나 또는 다르게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는데 안내정도로 삼을 수 있을까?
그런만큼 어쩌면 이 책의 진짜 주인공은 책의 내용이라기 보다는 도판이라고 할 수 있을지도 모르겟다.
클림트 대표작의 대부분과 잘 보지 못했던 수많은 그림들이 도판으로 제시되어있는데 도판의 수준이 굉장히 깔끔하고 좋다. 색감도 정말 좋고.....
그의 그림들을 이렇게 책 한권으로 훑을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행복한 시간이 되어준다.
아 그런데 이 책을 읽고 클림트전을 보러갔었다.
유명한 유디트가 걸렸고 이 책속에서 볼 수 있었던 작품들도 꽤 많이 전시회에서 볼 수 있었다.
진짜 그림은 항상 도판보다도 훨씬 좋은 경우가 더 많다는 나의 막연한 생각이 이 전시회 관람에서 흔들릴 줄이야....
클림트의 그림은 유난히 사진빨을 잘 받는게 아닐까 싶은 의구심이 확 드는 전시였다.
대표작 유디트 하나만 보더라도 오히려 도판에서 더 감동적인 느낌이었으니...
이건 슬픈 경험이다.
물론 내가 빈에 가서 그의 다른 작품들을 더 본다면 이 생각은 충분히 바뀔 수 있는것이겠으나 이번 서울 전시에서는 책속의 도판 속 클림트의 그림들이 더 좋았으니 어쩌면 좋을까?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