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윤경씨의 신작 소설 <서라벌 사람들>을 재밌게 읽었다.
처음엔 이거 뭐야? 하다가 정말이지 한줌도 안돼는 짧은 글에서 상상력의 나래를 활짝 펴는 작가의 입담을 들으면서 아! 이야기꾼의 능력은 참 이런거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그러다가 갑자기 이 이야기들의 원래 기록이 궁금해졌다.
옛날에 머리싸매며 보던 책이 뒤지니 나오네...^^

<연제태후>와 <삼국유사 제1권 기이편 1 지철로왕> - 지철로왕은 지증왕을 가리킨다. 지증은 시호
....왕은 영원 2년 경진에 즉위하였다. 왕의 음경의 길이가 1척5촌이어서 좋은 짝을 구하기가 어려웠으므로 사신을 보내 3도에서 구하게 하였다. 사신이 모량부 동로수 아래에 이르렀을때, 두 마리의 개가 크기가 북만한 한 덩이의 똥 양쪽 끝을 물고 싸우는 것을 보았다. 그래서 마을 사람을 찾아가니 한 소녀가 있어 알려주기를 "이 고장 상공의 딸이 그 곳에서 빨래를 하다 숲속에 숨어 싼 것이다"라고 하였다.
  그 집을 찾아가 조사해보니 신장이 7척 5촌이어서, 이런 사실을 왕에게 보고하였다. 이에 왕이 수레를 보내 맞이하여 궁중으로 들어오게 해 황후를 삼으니 모두 하례했다.

<변신>과 <삼국유사 제1권 기이편 1 태종 춘추공>
왕은 하루에 3두(斗)의 쌀밥과 수꿩 9마리를 먹었는데, 경신년 백제를 멸망시킨 후부터는 점심을 들지않고 다만 아침과 저녁만 들었으니, 계산해보면 하루에 쌀 6두, 술 6두, 꿩 10마리였다.

<혜성가>와 <삼국유사 제5권 감통 제7 진평왕대 융천사의 혜성가>
 제5  거열랑, 제6 실처랑, 제7 보동랑 등 세 화랑의 무리가 풍악(금강산)에 놀이를 가려고 하는데 혜성이 나타나 심대성을 범하므로, 낭도들이 의혹을 느껴 가는 것을 그만두려고 했다. 그때 융천사가 노래를 지어 부르니 혜성의 변괴가 즉시 사라지고 일본의 군사가 물러가 도리어 복이 되었다. 대왕이 듣고는 기뻐하여 낭도들을 풍악에 놀러 보냈다. 그 노래는 다음과 같다.
옛날 동쪽 물가의
건달바가 놀던 성을 바라보고
왜군이 왔다고
봉화를 올린 변방이 있도다.
세 화랑이 산 보러 간다는 말을 듣고
달도 부지런히 밝히려는 터에
길 쓰는 별을 바라보고
혜성이여! 말한 사람이 있다.
아! 달이 아래로 떠가고 있더라.
어사와! 무슨 혜성이 있을꼬.

<천관사>와 <삼국유사 제4권 의해 제5 원효불기>
.....원효가 계율을 지키지 않고 설총을 낳은 이후부터는 속복으로 바꾸어 입고 스스로 소성거사(小姓居士)라 호하였다. 우연히 어릿광대가 굴리는 큰 박을 얻었는데, 그 모양이 기괴하였으므로 그 형상으로 도구를 만들어 <화엄경>의 일체(一切) 무애인(無碍人)은 한결같이 생사를 벗어난다라는 구절로써 무애라 이름하고, 인하여 노래를 지어 세상에 유포시켰다.
  일찍이 이를 지니고 수많은 부락을 돌아다니면서 노래하고 춤을 추며 화영하고 돌아왔다. 그래서 가난하고 무지 몽매한 무리까지도 모두 불타의 이름을 알고 나무의 칭호를 부를 수 있게 되었으니, 원효의 교화가 크다 하겠다.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실 2008-08-15 23: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서라벌 사람들 읽으려고 빼두었는데 빨리 읽어야 겠습니다.
역시 역사샘 다우십니다~~~

바람돌이 2008-08-15 23:12   좋아요 0 | URL
읽다보면 좀 황당하기도 합니다. 그래도 뒤로 읽어갈수록 각 단편들을 이어가는 솜씨가 정교해지면서 어쩌면 진짜 그랬을지도 모르지 하는 생각도 들더라구요. ㅎㅎ

hnine 2008-08-16 03: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 저도 며칠 전에 서라벌 사람들 읽으면서 삼국유사에는 어떻게 쓰여 있을까, 설마 작가의 과장은 아니겠지 생각했더랬습니다. 이렇게 찾아보고 글을 올려주시니 고마울 따름입니다 ^^

바람돌이 2008-08-16 03:26   좋아요 0 | URL
과장맞죠. 저정도의 글에서 그런 이야기들을 뽑아냈으니... 그게 작가의 힘이겠죠? ㅎㅎ

진주 2008-08-16 11: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입맛이 화악~당기는걸요~
저 원본을 워떠케~꾸며놓았을지 기대만발^^

바람돌이 2008-08-16 21:37   좋아요 0 | URL
제가 심윤경씨의 팬인건 생각하시고 읽으셔요. 그게 취향차이도 있으니 말예요. ㅎㅎ 근데 참 음~~ 그럴수도 있겠네 싶게 그럴듯하게 썼더라구요. 재밌었어요. ^^

마노아 2008-08-16 12: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새벽에 중고샵에서 주문했어요. 담주 중에 도착할 거예요. 기대하고 있답니다^^

바람돌이 2008-08-16 21:38   좋아요 0 | URL
부지런한 마노아님! 이 책이 벌써 중교샵에 떴단 말이지요. 뭐 읽는데 시간은 얼마 안걸리니 금방 읽으실거예요. 마노아님의 재미난 리뷰도 기대하고 있을게요.

무스탕 2008-08-16 17: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책을 처음 읽기 시작해서는 참 어이가 없다.. 생각하다가 점차 재미있어지더라구요 ^^
어쩜 작가분은 이렇게까지나 상상을 하실수 있는건지..
<변신>을 읽고는 조금 놀랐지요. 우린 여지껏 왕님이라 하면 그야말로 신성시 하며 살았는데 이렇게 뒤집어 읽어내는 왕님의 모습이라니..
<천관사>는 혼자 흐믓해 하며 읽었어요. 유신과 천관녀의 사랑을 보상받는 느낌이었어요 :)

바람돌이 2008-08-16 21:39   좋아요 0 | URL
그쵸? 처음에는 좀 어이없다가 이게 갈수록 수긍이 가지는... ㅎㅎ
저도 김춘추가 진골로서의 열등감을 가졌을거라는 생각은 해본적이 있는데 아 그럴수도 있겠구나 싶어지더라구요. 물론 역사책에는 어디에도 안나오는 얘기지만 말예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