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리 교사들, 남미와 만나다
지리교육연구회 지평 지음 / 푸른길 / 2005년 12월
평점 :
남미는 언제나 내게는 꿈처럼 존재하는 곳이다.
영화 모터사이클 다이어리에서 만났던 중남미 지역의 대자연과 그곳의 문화, 사람들은 언젠가는 꼭 만나야할 누군가인것처럼 마음 한켠을 차지하고 있다.
그곳에서 무엇을 볼것인가는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우리와는 너무도 다른 대자연의 풍광을 만나고 싶은건 아마도 모두에게 공통적이지 않을까?
대자연의 풍광에 감탄하는 것은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다.
특별한 지식이 없더라도 눈에 확연히 보이는 아름다움을 모르고 지나칠수는 없는 법이니.....
그럼에도 아는만큼 보인다는 말은 항상 진리다.
지리교사의 눈으로 보면 어떤것들이 더 보일까?
이 책은 이런 질문에 아주 친절한 답들을 준비하고 있다.
기본적으로는 중남미 지역의 자연환경과 생성과정, 특징등의 얘기들을 놓치지 않고 있다.
멕시코나 칠레의 해안에는 왜 뜬금없이 사막이 나타날까?
타완틴수요(잉카) 문명의 경이로운 도시 - 마추픽추의 도시는 도대체 어디서 어떻게 식수를 해결할 수 있었을까?
하늘과 땅의 경계가 안보이는 우유니 소금 사막은 어떻게 형성된 것일까?
아마존 강에 돌고래가 산다고? 어떻게?
흔히 중남미의 여행기나 사진을 보면서 누구나가 쉽게 가질법한 질문들에 이들은 친절학 사진과 설명을 제공한다.
현직 교사들의 설명인지라 어렵지 않으면서 참으로 담담하게 조근조근 얘기해나간다.
이런 면을 보면 영락없는 성실한 교사의 글이라는 느낌이 팍팍 풍겨온다.
어쨌든 이들의 여행을 따라가보면 단편적인 지식 몇개가 아니라 중남미라는 거대한 대륙의 지리가 어느정도의 틀이 잡혀진다.
이들의 관심이 자연환경에 대한 지식에만 머무는 것은 당연히 아니다.
지리라는 과목 역시 결국은 자연환경과 그곳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얘기가 아닌가 말이다.
이들은 자연환경을 주로 살피지만 언제나 이 지역을 살아가는 오늘의 사람들에게 그리고 그들의 역사와 오늘의 삶에 눈길을 두는 것을 잊지 않는다.
잉카 문명이라는 말이 서구인들이 맘대로 지어낸 말일뿐 정확히는 타완틴수요 문명이라는 그들의 말을 써줘야 한다는데서 그들의 이 지역을 보는 시각의 일단을 만날수 있다.
그토록 자원이 많은 나라인데도 왜 가난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나라들이 많은지...
아니 나라가 가난하다기 보다는 그토록 빈부격차가 심하고 가난한 사람들이 많다는게 정확한 말일게다.
인디오들의 오늘의 삶의 모습이 제대로 남아있지 않음에 안타까워하는 그들의 마음도 곳곳에 느껴진다.
그곳의 사람들에 대한 따뜻한 시선을 잃지 않음으로 해서 그들은 더 많은 것을 책을 읽는 이들에게 더 중요하게는 그들의 수업을 받을 학생들에게 전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