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할로윈 킬즈 Halloween Kills, 2020

감독 데이빗 고든 그린

출연 제이미 리 커티스주디 그리어앤디 마티첵 등

등급 청소년 관람불가

작성 : 2021.11.01.


왜 지루하게 느껴지는 걸까?”

-즉흥 감상-

 

  영화는 할로윈 밤여자 친구랑 싸웠다가 헤어졌는지그녀를 찾고 있다며 친구에게 전화하며 홀로 걷고 있는 청년으로 시작의 문을 엽니다하지만 친구는 죽어 있었고청년은 철조망 건너편에 피를 흘리며 쓰러져있는 경찰을 발견하는군요그렇게 과거의 어느 시점에서 마이클을 포위하는 경찰관들의 모습은 살짝앞선 이야기의 결말에서 이어지는데요화재 현장에서 벗어난 마이클의 살육 파티가 다시 시작되었고마을 사람들은 이번에야말로 마이클을 처리해야 한다며 투지를 불사르지만…….

  

  ‘앞선 이야기라는 건 어떤 걸 말하는 거냐구요~ 3년 전에 개봉했던 영화 할로윈 Halloween, 2018’을 말하는 것입니다사실 지인분이 아니었으면 후속편의 존재를 모를 뻔했는데요. 2018년 이맘때 만난 다음 3년 만에 공개된 속편이었지만영화 속에서의 시간은 공백 따위는 존재하지 않았습니다그리고 이어지는 이야기가 한 편 더 제작될 거라고 하던데흐음이런 분위기라면 마이클 마이어스도 이제 편하게 해줘야 할 것 같군요.

  

  즉흥 감상은 어떤 의미냐구요분명 피와 살점이 튀는잔혹함으로 넘쳐나는 화면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지루하게 느껴졌습니다그래서 그동안 많이 피곤해서 그런가 보다 생각하고 있었는데요이번 작품의 존재를 알려준 분도 영화가 지루하게 느껴졌다고 하는 걸 봐서는저만 그런 게 아님을 알게 되었습니다하지만 둘만의 의견만으로는 객관성이 약하니제 기록을 읽어주시는 분들은 이번 작품을 어떻게 감상하셨을지 궁금해지는군요.

  

  이 작품이 지루하게 느껴지는 것은 마이클 마이어스의 묵직한 침묵과 함께하는 살육을 즐기기도 모자를 판에, 40년 전의 이야기를 억지로 이어 붙이려는 시도와 군중심리를 통한 심리학과 철학을 더하려는 과정에서 이야기의 속도감을 늦춰버렸기 때문이라구요으흠멋진 의견 감사합니다그런 것도 있지만 기억이 날까 말까 싶었던 78년도 영상도 빌려오고심각한 상황을 알리는 출연진들의 행동에 감정이입이 되지 않았다는 점도 원인이 아닐까 생각하는데요이 부분에 대해 또 다른 의견이 있는 분은 손들어주시기 바랍니다.

  

  이어지는 이야기의 제목과 공개일이 궁금하다구요~ IMDb에 보면 ‘Halloween Ends, 2022’라고 표시되어 있습니다한글 제목과 공개일이 확정된 건 아닌 것 같지만개인적으로는 할로윈 포에버라고 이름을 붙이고 개봉일이 연기되는 것이 아니면 다음번 할로윈에 공개되지 않을까 생각하는데요원제목에 ‘Ends’를 붙이긴 했지만이번 이야기에서도 보여준 마이클의 능력은 이미 인간을 초월한 것처럼 보이니 그냥 끝나지는 않을 것 같아서 말입니다물론 이 부분은 개인적인 생각이니혹시 이 부분에 좀 더 명확한 정보를 잡고 있거나 다른 멋진 생각을 가진 분이 있다면 살짝 알려주셨으면 하는군요.

  

  정말 시리즈의 시초라 할 수 있는 1편 말고는 전부 흑역사가 된 거냐구요꼭 그렇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다른 분들의 리뷰를 살펴보니 소품의 오마주나 설정의 유사성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었는데요솔직히 앞서 만들어진 이야기들의 내용이 기억나지 않아서제 기준에서는 잘 모르겠습니다.’라고 적어볼 뿐입니다그러니 이 부분은 해부하듯 분석하는 다른 분들께 도움을 받아보고 싶어지는군요.

  

  그럼 또 어떤 작품의 감상문으로 이어볼지 고민의 시간을 가져보겠다는 것으로이번 기록은 여기서 마칠까 하는데요마이클사람 말고 코로나 바이러스를 어떻게 해주면 안 되겠나?


TEXT No. 3582

[팬카페][트위터][페이스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제목 괴기맨숀디 오리지널, 2021

감독 조바른

출연 성준김홍파김보라박소진서현우이창훈이동하박세현원현준강유석이석형조수향김재화 등

등급 : 15세 관람가

작성 : 2021.10.31.

  

그래서 시즌2는 언제 나오나요?”

-즉흥 감상-

  

  작품은 저주거짓말진실에 대한 소문이 돌고 있는 장소에 발을 들여놓고 말았지만사실은 그러지 말았어야 했다고 말하는 남자의 목소리로 시작의 문을 엽니다그리고는 새로운 작품을 준비하기 위해폐허나 다름없는 아파트 단지에 들어서는 웹툰 작가에게 이야기의 바통을 건네는데요관리인을 통해아이들의 환영에 시달리는 소설가 [504], 약국에서 일하며 불륜관계가 악몽으로 변해갔다는 [907], 학업 스트레스로 정신 줄을 놔버렸다는 여고생 [408], 발레를 하던 전 여자 친구의 추억을 잊지 못하던 남자에게 다가온 악몽 [1014], 공인중개사 사무소 소장인 남자에게 벌어진 기이한 일 [708], 유학 생활을 마치고 한국으로 돌아와 예고도 없이 친구 집에 들이닥친 청년이 경험하는 무서운 경험 [604], 취재 중이던 건물 내부를 돌아다니던 주인공이 마주한 기이한 현상 [1504], 그리고 봉인되어 있던 광림맨숀의 어둠을 깨웠던 두 도둑의 이야기로 마침표를 찍는데…….

  

  이거 감상문 적지 않았냐구요~ ‘괴기맨숀-극장판, 2021’은 감상문을 적었지만, 8부작 드라마판은 이제야 감상문을 적고 있습니다처음 극장판을 봤을 때는 드라마 버전이 끝까지 나오지 않은 상태라 전체가 공개되기를 기다리고 있었는데요깜박하고 있다가 우연히 확인해보니 전부 공개되어 있어 이렇게 만나보게 되었습니다.

  

  이것도 미니시리즈로 만들어진 것 같던데왜 사구 Dune, 2000’처럼 영화라고 표시하지 않았냐구요~ ‘괴기맨숀디 오리지널은 하나의 이야기당 25분 분량이었던지라, ‘연작 드라마로 받아들여졌습니다그리고 이 자리에서 영화 용어에 대한 사전적 정의를 들이밀었다가는 다 함께 혼란에 빠질 가능성이 있으니자세한 설명은 생략해보는군요.

  

  극장판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려달라구요개인적으로는 극장판을 파일럿 무비다하지 못한 호실의 이야기를 드라마로 만들었기를 바라고 있었습니다하지만 극장판의 이야기를 짧게 자른 다음스쳐 지나갔던 몇 인물들의 이야기를 단편처럼 추가해놨을 뿐이었는데요극장판에 넣기에는 맛의 결이 달라이렇게라도 소개한 것이 아닐까 싶었습니다그리고 극장판과의 가장 큰 차이점이라면역시 드라마답게 오프닝이 생겼다는 건데요제법 근사하게 만들어졌으니궁금한 분은 직접 작품을 통해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즉흥 감상은 어떤 의미냐구요앞선 문단에서도 적었지만극장판과 드라마판은 서로 다른 이야기를 담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이야기의 무대가 된 아파트는 그대로 두고극장판은 극장판다운 이야기를드라마는 드라마다운 이야기를 담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는데요그거야 어찌 되었건아파트에 호수가 아직 많이 남은 만큼 더 많은 이야기가 가능하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을 즉흥 감상으로 적은 것입니다.

  

  드라마는 재미있었냐구요기대 이상으로 흥미롭게 만날 수 있었습니다한국 공포영화에 관심이 식어가던 중에 제법 괜찮은 작품이 나왔다고 받아들였는데요앞으로도 좋은 작품이 많이 만들어졌으면 좋겠습니다그런 한편 이번 작품은 외국인들에게는 어떻게 비칠지 궁금해졌는데요혹시 제 기록을 읽어주시는 분들 중에 외국인이 있다면이번 작품의 감상을 살짝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그럼또 어떤 작품의 감상문으로 이어볼지 고민의 시간을 가져보겠다는 것으로이번 기록은 여기서 마칠까 하는데요일단 샤워를 한 다음 저녁으로 발효미종 듬뿍피자 삼립호빵을 먹으려 합니다오랜만에 먹어보는 피자 호빵인데맛있으면 좋겠군요.


TEXT No. 3581

[팬카페][트위터][페이스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제목 그 숲에선 누구도 잠들 수 없다 Nobody Sleeps in the Woods Tonight, W lesie dziś nie zaśnie nikt, 2020

감독 바르토슈 M. 코발스키

출연 율리아 비에니아바-나르키에비치미할 루파빅토리아 가시에브스카스타니슬라프 치프카세바스티안 델라가브리엘라 무스카라 등

등급 청소년관람불가

작성 : 2021.10.30.

  

이게 2편이 나온다고?”

-즉흥 감상-

  

  영화는 울창한 나무숲을 가로질러 외딴집에 도착하는 우편배달부는 살짝지하실에서 들려오는 의문의 소리를 확인하던 중에 참변을 당하는군요그렇게 ‘30년 후라는 안내와 함께 휴대폰 금지 캠프(?)에 도착하는 아이들에게 이야기의 바통을 건네는데요그중 여섯 명으로 구성된 한 그룹에게 닥치는 어떤 끔찍한 일을 보여주는데…….

  

  다른 건 일단 그렇다 치고 즉흥 감상의 의미가 궁금하다구요사실 이 작품 몇 달 전에 만났었습니다하지만 감상문을 쓰기도 전에 망각의 창고에 들어가 버렸는데요지인분이 2편이 나왔다고 알려주면서 앞선 이야기를 열심히 설명을 해주는데도무지 기억이 나지 않지 뭡니까그래서 감상문을 쓰기 위해서라도 다시 만나보았는데요하아왜 이 작품이 망각의 창고에 들어가 버리고 말았는지 이유를 확인해볼 수 있었습니다그런데 후속편이 나왔다는 사실에 받은 충격을 위의 즉흥 감상으로 적은 것인데요이것은 개인적인 감상이니다른 의견을 가진 분도 환영합니다.

  

  영화는 재미있었냐구요분명 앞선 문단에서 재미가 없었다는 표현을 열심히 했는데전달이 안 되었던 것 같습니다아무튼기존의 썸머 캠프 슬래셔물에서 벗어나기 위한 몇 가지 장치를 사용한 것 같았지만그로 인해 그렇지 않아도 부족했던 개연성의 고리가 완전히 끊어진 기분이 들었습니다그렇다 보니 어느 부분에서 감정이입해야 하고어떤 부분에서 놀라야 했으며감독의 의도가 무엇인지 감을 잡을 수 없었는데요설마 뭔가 조금 다르게 만들어보고 싶었지만예상하는 그대로 마침표를 준비했어.’를 말하고 싶었던 것은 아니겠죠?

  

  문제의 살인마 형제가 죽지 않았었냐구요저도 그렇게 기억하고 있었는데, 2편이 나온다는 소식에 확인해보니 마지막에 부활하는 장면이 있었습니다형제가 부활했다는 건 스포일러 아니냐구요살인마가 나오는 제이슨 부히즈가 나오는 ‘13일의 금요일 시리즈도 그렇고마이클 마이어스가 나오는 할로윈 시리즈도 그렇지만살인마의 부활은 스포일러에 해당하지 않습니다그들은 언제나 다시금 부활하니 말이지요그럼 어떤 것이 스포일러에 해당하냐구요누가 살아남았는지사건의 진실이 무엇인지에 대해 적는 것이 발설에 해당하는데요살인마 형제가 어떻게 되살아났는지에 대해서는작품을 통해 답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제목의 의미가 궁금하다구요이 부분은 두 형제의 비밀이자 과거 이야기에서 언급되는 동화의 내용에 나오는 대목입니다그 동화의 내용과 비슷하게 진행되는 살육 파티였다 보니 제목이 지금과 같이 만들어진 것이 아닐까 하는데요원제목인 ‘W lesie dziś nie zaśnie nikt’을 구글 번역기에 물어보니 그건 폴란드어라고 하며 오늘은 아무도 숲에서 잠들지 않을거야라고 알려주는군요그리고 영어 제목을 넣어보니 오늘 밤 아무도 숲에서 잠들지 않는다라고 알려주는데요한글 제목은으흠뭔가 의미가 다르게 느껴지는 건 기분 탓일까요?

  

  그럼 또 어떤 작품의 감상문으로 이어볼지 고민의 시간을 가져보겠다는 것으로이번 기록은 여기서 마칠까 하는데요개인적으로는 엑스 파일과 비슷한 정부 기관 부서가 나오면 재미있지 않을까 기대를 해봅니다.

  

  덤아침에 일어나서 링피트 어드벤처를 해봤습니다운동 게임이지만 그래도 게임이라 생각하고 만만하게 생각했는데, ‘챕터1-시작의 장소만으로도 땀을 뻘뻘 흘렸는데요혹시 다른 사람이랑 함께 하는 방법을 알고 있는 분이 있다면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TEXT No. 3580

[팬카페][트위터][페이스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구 - [할인행사]
존 해리슨 감독, 윌리엄 허트 외 출연 / 소니픽쳐스 / 2005년 6월
평점 :
품절


제목 사구 Dune, 2000

원작 프랭크 허버트-소설 듄 Dune 1, 1965’

감독 존 해리슨

출연 윌리엄 허트알렉 뉴먼 등

등급 : 15세 관람가

작성 : 2021.10.29.

  

이건 또 왜 이래?”

-즉흥 감상-

  

  작품은 행성 에서만 나오고 있는전 우주에서 필요로 하는 스파이스에 대한 설명으로 시작의 문을 엽니다그리고 그 행성에서 있을 일련의 사건의 끝에서 아버지가 모래 먼지가 되어 사라지는 악몽에서 깨어나는 청년이 이야기의 바통을 받습니다그리고는 황제의 명으로 가족과 함께 모래뿐인 행성으로 이사를 하게 되는데요낯선 환경에 적응하기 무섭게 정치적 음모로 아버지가 살해당하고청년의 예언 속의 인물로 조금씩 각성해나가는데…….

  

  다른 건 일단 그렇다 치고 즉흥 감상은 어떤 의미냐구요? 1984년에 만들어진 영화를 보면서 서사에 난도질당한 느낌에 당황했다면이번 작품에서는 주인공의 성격이나 분위기가 달라 당황했습니다. 84년 버전은 운명의 흐름에 반항 없이 휩쓸려가는 기분이었다면이번 작품의 주인공은 반항기가 느껴졌는데요다른 분은 또 어떻게 받아들이셨을지 궁금합니다.

  

  이건 영화가 아니라 드라마 아니었냐구요~ IMDb에 보면 미니시리즈라고 표시되어 있고세 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니드라마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하지만 한 편당 1시간 30분 분량이라드라마보다는 TV영화라 판단되어 영화로 표시했는데요아무튼전체 분량은 4시간 30분에 가까웠습니다.

  

  영화는 재미있었냐구요캐릭터의 성격에 당황했던 것 말고는, 84년 버전보다 서사가 많이 들어가 있어 나름의 개연성을 확보했다는 느낌으로 만났습니다하지만 보다가 졸뻔 했는데요. 2021년 버전에서는 이런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을지 궁금해집니다그런데 말입니다사실 서사를 완벽하게 살린다고 해도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을 것이라 생각하는데요원작부터가 부록을 제외하고 892쪽의 분량을 자랑하고 있는 만큼이 엄청난 분량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압축했을지 궁금해질 뿐입니다.

  

  원작을 어느 정도 반영했을지 궁금하다구요아무리 늘어난 시간만큼 들어간 내용이 더 많아졌다 할지라도여전히 부족했습니다특히 듄의 실사화를 기획했던 감독 중 한 명인 알레한드로 조도로프스키는 16시간 분량으로 영화를 기획했었다고 하는데요그게 1부의 내용만으로 그랬다는 것인지아니면 전체 6부작을 그렇게 계획했다는 것인지는 몰라도이번 2021년 버전은 먼저 만들어졌던 실사판보다 잘 만들었기를 바랍니다.

  

  ‘듄의 후예들 Children Of Dune, 2003’이라는 영화도 있던데이번 작품에서 이어지는 이야기냐구요감독이 존 해리슨에서 그레그 야타네스로 표시가 달라져 있지만, ‘을 연기한 알렉 뉴먼의 이름이 두 작품 모두 표시된 걸 봐서는 이어지는 이야기 같습니다다만 원작은 2부의 제목이 듄의 메시아 Dune Messiah, 1969’라고 되어 있고, 3부에 들어가서야 듄의 아이들 Children of Dune, 1976’이 되는데요과연 원작대로의 이야기를 이어갈지아니면 오리지널 스토리로 갈지는 확인을 해봐야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럼또 어떤 작품의 감상문으로 이어볼지 고민의 시간을 가져보겠다는 것으로이번 기록은 여기서 마칠까 하는데요그래서 2편은 언제 만든다고요, ‘드니 빌뇌브’ 감독님?

  

  덤닌텐도 스위치로 링피트 어드벤처를 스트리밍 하려니 생각지도 못한 장비가 필요하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그래서 블루투스 오디오 트렌스미터/리시버라는 걸 저렴하게 구입했는데요호오나름 괜찮습니다.


TEXT No. 3579

[팬카페][트위터][페이스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목 귀문 GUIMOON: The Lightless Door, 2021

감독 심덕근

출연 김강우김소혜이정형 등

등급 : 15세 관람가

작성 : 2021.10.28.


 “빨리 2편 주세요현기증 난단 말이에요!”

-즉흥 감상-

   영화는 밀교하면 떠오르는 이미지의 나열은 살짝폐가나 다름없는 수련원을 리모델링하는 사람들의 모습으로 시작의 문을 엽니다그리고 철거현장에서 발견된 시신 한 구와 관련된 뉴스를 보고 있던 중년의 남자가 목을 매달아 자살하고수련원을 정화하기 위해 벌어지는 굿판에서 무당이 사망하는 사태가 발생하는데요그로부터 4년 후어머니의 죽음을 목격했던 퇴마사 서도진은 문제의 수련원으로 가서 그동안 미루고 있던 정화의식을 시도하지만…….

  

  간추림을 보니 뭔가가 빠져 있는 것 같다구요사실 영화는 서도진 말고 ‘1996이라는 안내와 함께 흉가 체험을 나선 세 명의 청년들이 등장합니다갑자기 왜 연도를 표시하고 그러냐구요아무래도 관객들이 헷갈려할까 봐 표시를 따로 한 것이 아닐까 하는데요그럼에도 불구하고 연도를 표시하는 글씨가 눈에 잘 안 들어왔다는 건 저뿐일까 싶습니다아무튼감상문을 쓰던 중 헷갈렸던 부분을 다시 확인하는 과정에서 타임라인을 확인해볼 수 있었는데요수련원에서 발생한 살인사건은 ‘1990’, 흉가 체험을 진행한 세 청년의 이야기는 ‘1996’, 굿판을 벌였을 당시는 ‘1998’, 서도진이 폐쇄된 수련원에 들어갔던 것이 ‘2002이었는데요사실 이 정보는 모르고 봐야세 청년과 서도진의 엇갈린 만남에 더 몰입이 가능할 것 같다고 적어봅니다.

 

  즉흥 감상은 어떤 의미냐구요어머니에 이어 아들에게도 문제가 발생했지만아직 한 명이 남아 있음을 영화를 보신 분들은 알고 있을 것인데요개인적으로는 마지막 장면에서 이어지는 후속편이 만들어져야 할 것 같다는 바람을 즉흥 감상으로 적어본 것입니다충분히 시리즈로 만들어져도 괜찮을 것 같은 설정과 분위기였다고 생각하는데다른 분들은 또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지 궁금하군요.

  

  제목의 의미가 궁금하다구요~ ‘귀문을 한자로 적어두지 않고 발음 그대로 ‘GUIMOON’이라고 적어둔 탓에 명확한 의미를 알 수가 없습니다대신 영어 제목을 참고하여 풀이를 해볼까 싶어 사전을 열어보았는데요. ‘lightless’는 빛이 없는어두운을 ‘Door’은 의 의미하니둘을 합하여 칠흑처럼 어두운 공간으로 향하는 통로가 아닐까 싶었습니다하지만 영화의 내용과 함께 보면 뭔가 아닌 것 같다고 생각되는군요참가로 이번 작품과 같은 장르에서의 귀문은 보통 한자로 鬼門라고 쓰고 저승으로 들어가는 문을 의미하데요이 부분에서 객관적으로 확인 가능한 정보를 알고 있는 분이 있다면 손들어주시기 바랍니다. ‘GUIMOON’은 사전에는 풀이가 나오지 않는 단어라서 말이지요크핫핫핫핫!!

  

  다른 시간대를 살아가는 인물이지만하나의 공간에서 엇갈리는 만남을 가진 다른 작품이 있지 않냐구요많습니다시간여행을 주제로 하는 SF는 기본으로우체통이나 전화기를 통해 시공간을 뛰어넘는 우정과 사랑을 다룬 작품도 있었구요공포영화에서도 가끔 사용되는 소재이기도 했습니다그렇다보니 지금 이 자리에서 그 모든 작품의 제목을 적어버렸다가는 감상문이 끝나지 않을 것 같으니궁금한 분은 따로 작품을 찾아봐 주셨으면 하는군요.

  

  영화는 재미있었냐구요소재만 보면 제법 마음에 들었습니다하지만 이것만으로는 많이 부족하다는 기분이 들었는데요감독님시퀄이건 프리퀄이건 뭐라도 좋으니이야기의 무대를 키워볼 의향은 있으신가요?

  

  그럼또 어떤 작품의 감상문으로 이어볼지 고민의 시간을 가져보겠다는 것으로이번 기록은 여기서 마칠까 하는데요영화의 배경이 되는 수련원은 영화 곤지암 GONJIAM: Haunted Asylum, 2017’처럼 실제로 있는 장소를 배경으로 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TEXT No. 3578

[팬카페][트위터][페이스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