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우울한 어젯밤 문득 듣고 싶어졌다. 음반장을 뒤졌다.하지만 찾지 못했다. M라인에 두었는지 R라인에 두었는지 조차 생각이 나지 않았다.  작은 불빛에 행여 예찬이가 깰까봐 불을 켤 생각은 아예 떠오르지도 않았다. 손전등을 어디에 두었을까? 하나를 찾기 위해 또 다른 하나를 먼저 찾아야 하는 건 무척이나 귀찮은 일이었다. 결국 듣겠다는 마음을 접었다.  

영국 작곡가 로빈 밀포드의 "Fishing by moonlight" 라는 곡이다.  왜 어젯밤 생각이 났을까? 가끔 플래쉬 커트처럼 떠오르는 영상이나 이미지, 또는 그와 관련된 욕구는 미스테리다. 가끔은 개연성을 갖기도 하지만.마치 공포 영화 속에 일상적인 장소에 홀연 등장하는 유령처럼 그렇게 어떤 욕망들이 지나가는지.  

 제목이 낭만적이다. 앨범 자켓은 나사렛 호수같다. 앨범 자킷에 그렇게 나왔던가?  하여간 우울함이 뭔가 감상적인 상태를 만든다. 이 상태는 분명 좋지 않다. 그런데 모래 구멍처럼 자꾸 이리로 미끌어져 가는 것 같다. 하여간 감상적인 건 설사 밖에 못만드는데 지금 내가 하고 있는게 결국 감상주의가 만든 감정의 설사같은 건 아닌가 반문해본다.

 2. 테리 이글턴의 근작 <반대자의 초상>에는 감상주의와 감성을 구분하는 글이 한 줄 나온다.  '감상주의를 감성과 착각하는 것은 예술가를 보헤미안이라고 착각하는 것과 진배없다.'  혼자 씨익하고 웃었다. 예를 들어 우리는 예술 관련된 글 중 얼마나 많이'감성'과 '감상주의'를 혼동하면서 보게 되는지. 쉽게 말하자면 '감상주의자'를 툭하면 '감성주의자'로 착각한다는 것이다.  

로쟈님은 테리 이글턴이 마르크스주의자보다 유머리스트가 되기로 한 것 같다고 말씀하셨는데, 유머러스한 마르크수주의자가 아마 정답일게다. <현대성의 경험>의 저자인 마샬 버먼의 책,<맑스주의의 향연>을 보면 세상에는 유머러스한 마르크스주의자가 한명 만은 아닌게 확실하다.  

3.음악 이야기하다가 잠깐 딴데로 갔다. 뭔가 두서가 없는게 지금의 특징이기도 하다. 잠시도 오래 집중하지 못한다.  

몇 년전에 나는 하이페리온에서 나오는 영국 작곡가들의 음반을 좀 많이 듣고 있었고 로빈 밀포드도 그렇게 알게 되었다. 당시 이 음반을 국내에 소개하고 팔아치운건 음반가게 <풍월당>이다. 내게는 이중적인 감정을 느끼게 만드는 곳이다만 아이 둘 낳은 실장하고 오랜 인연이 있어서 서울가면 한번 씩 꼭 들르곤 한다.

오늘 유투브에서 다시 듣다보니 모차르트 피아노협주곡 23번의 2악장과 첫 도입부의 분위기가 매우 유사하다는 생각이 든다. 

4.깊은 슬럼프다. 한 달 이상 이어지고 있다. 현실적인 탈출구가 별로 없어보인다. 원래 그런거 아닌가 싶기도 하다. 탈주선이란건 누가 만들어주는게 아니라 내가 스스로 만들어야 하는 것이지만... 하여간 회사 옮기고 싶은게 요즘 1순위 고민이다.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일이긴하지만 이번엔 좀더 강도가 세다. 당장 때려치고 싶지만 그게 그렇게 쉬운일만도 아니고. 배를 바꾸어 타려고 해도 일단 오는 배가 있어야 하는거고 오는 배가 있다손치더라도 이런 상황이 반복되지 않으려면 잘 골라 타야 하는거다 보니.

우울하네. 



 

 5. 신학철 선생의 예전 작품이 생각난다. <중산층 연작, 따봉> 

사실 내 이럴 줄 알았다. 이것의 무서움을 그만큼 몰랐을 뿐이다. '따봉'을 외치는 위치에 가기 위해  이것 저것 반쓰까지 내리고 자처해서 물구나무를 서던지,-그 뒤에는 또 뭐가 없겠나?-  지젝이 언급한 <파이트클럽>의 노튼 처럼 자기구타라는 단절을 통한 해방으로 가던지... 그런데 그냥 '이건 아니다'하면서 물구나무만 100년째 서고 있다.  

대략 300년쯤 앉은뱅이 의자에서 기다리면 성 베드로가 성문이라도 열어줄지 알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휴가도 끝나가고.... 아직 청주 처갓집에 있지만 오늘 오후 내려간다. 휴가 기간 비오는 종로 거리에서 술 한잔 하는 호사도 누렸다. '저잣거리의 말들을' 잊지 않겠다는 젊은 친구의 다짐 어린 말에 나 역시 박수를 보내며,또 스스로 반향하기도 했다.

신문기사를 보니 ktx 여승무원들이 1500일만에 복직 판결을 받았나보다. 

뻥뚤린 입은 1500 일을 쉽게 이야기할 수 있다. 그런데 '겪음의 1500일'은 싼입으로 결코 말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그래서 잘되었다는 축하와 함께 마음이 무겁다. 아무것도 해준 게 없다는 것 때문이다. 

KTX 여승무원들이 처음 뽑힐때 언론에서 엄청 홍보했다. 고속철의 스튜어디스니...뭐니 ...좀 과장하자면 스튜어디스들의 인기에 버금가는/  

예쁜 여자 많은 곳을 좋아하는 지라 어떻게 하다보니 그들과 이야기할 기회가 있었는데...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그들 중 일부는 또는 대다수는- 이건 내가 그들과 개인적인 연락포인트를 갖고 있지 않아서 추측한다는 뜻이다- 길 바닥에 나앉아 시위를 했을 것이다. 

그 이후 나는 KTX를 탈때 마다 그리고 그들의 자리를 대신해서 또는 다른 절차를 통해 들어온 여승무원들을 볼 때 마다 초창기에 본 -어려운 경쟁을 뚫고 입사했다는 자부심과 취직했다는 희망에 들뜬- 그 앳된 여승무원들을 떠올렸다. 

그리고 이후 서울역에서 부산역에서 그들이 시위하는 모습을 잠시 지켜봤다. 길에서 나누어준 선전문건을 들고 잠시라고 귀기울여 주는 척. 가는 길에 5분가량 서있는 걸로 마음의 부담감을 덜었다. 앞에서 떠드는데 아무도 듣지 않는 것 만큼 비참한 건 없기때문에....관객 없는 무대에서 혼자 노래부르는 무명가수처럼 쓸쓸한 일이 될까봐..  (그렇게  싸움은 구체적이다.)

내가 한 건 그게 다다. 끝이다.

나는 그들을 위해 아무것도 해주지 않았는데, 마치 내가 무슨 승리를 이룬 것처럼,내가 그들의 승리에 무언가 도움을 준 것 처럼 우리의 일로 과장하고 싶지 않다. 

나는 그냥 온정의 마음을 가지고 지켜본게 다일뿐이다.  

그러므로 나는 아무 일도 하지 않았다. 그 마음을 낸거... 그게 그렇게 대단한 일인가? 그건 기본에 끼지도 못하는 일이다. 

축하의 소식을 들으면서도....나는 그들의 시위에서 뒤에서라도 크게 구호 한번 외쳐주지 못한 것이 미안할 뿐이다. 좀 쪽팔리면 어땟다구. 

나는 아무일도 안했다. 그 마음을 낸 것....그게 그렇게 대단한 일인가.  

말과 마음은 정말 부르주아적 편의용품이다. 머리라구....그나마 유행따라 가봐야 포스트모더니즘의 탈정치던지 그것도 아니면 급진주의의 불임 정치정도 되겠지. 머리들이 계속 혁명의 가능태나 도화지에 그려대고 있을 때, 없는 것들은 '겪는다' 그러면서 이처럼 '작은 승리' 라도 거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그리스인들은 우주가 4원소로 구성되어 있다는 믿음을 가졌다. 물, 불, 공기, 흙이다. 이런 주장을 최초로 꺼낸 이는 화산에 몸을 던져 생을 마감했다고 알려진 엠페도클레스이다. 그는 고대 그리스 7현인 중 한명이다. 그는 과거의 각각의 개별 원소가 중심이라는 -예를 들자면 탈레스의 물- 단원론을 통합하여 4개 원소가 우주를 구성한다고 믿었다.  뤽베송의 영화<제5원소>에서는 4원소에 이를 활성화하는 마지막 원소로 '사랑'을 추가한다. 하지만 원래 엠페도클레스에게는 '사랑'의 짝패인 '미움'이 포함된다. 그러니까 '물,불,공기,흙'이 '사랑'과 '미움'을 만나야 변화를 포함한 어떤 상태가 생기는 것이다. 

고대인들의 생각에 4라는 숫자는 일종의 신의 완전성,전능성,조화였다. 이는 시공간을 횡단하는 우주적 보편성이라는 의미이다.  

클래식 음악에서 4하면 '콰르텟'이 가장 먼저 떠오른다. 그중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현악 4중주'. 현악사중주란 무엇인가?  

 위키피디아에 아주 명쾌하게 정의해 놓았다. 

"In Western art music, which is often referred to as "Classical music," string quartets are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type of chamber music. String quartets consist of two violins, a viola, and a cello playing a multi-movement musical composition written in sonata form. The particular choice and number of instruments derives from the registers of the human voice: soprano, alto, tenor and bass."  

그다지 어려운 단어는 없지만 쉽게 요약하면, 2대의 바이올린, 1대의 비올라, 1대의 첼로로 연주하는 실내악이란 말이다. 락 밴드로 치자면 1st 기타, 2nd기타, 베이스, 드럼. 가장 친숙하게는 이런식으로 비유될 수도 있겠다.   

레코딩의 역사가 시작된 이후 우리의 기억에 남아 있는 훌륭한 지휘자들이 무척 많다. 니키쉬,멩겔베르트, 푸르트뱅글러, 발터, 클렘페르,토스카니니,카라얀 등등... 4중주단의 역사에도 여름밤 하늘에 유독 빛차는 그런 별들이 있다. 모노시절의 부다페스트 사중주단, 부쉬 사중주단. 스트레오시대의 아마데우스, 이탈리아, 과르네리, 줄리아드, 보로딘 사중주단. 그리고 몇 년전 해산한 알반베르크 사중주단까지. 좀 과장하자면, 각 사중주단의 4개의 개별 원소들이 조화와 투쟁을 통해 빚어낸 음악은 각각 그들만의 사운드를 뽐내며 자신들의 작은 성운을 만들어내었다. 

빈 출신의 알반베르크 사중주단이 팬들의 아쉬움을 남긴 채 해산을 한 이후 가장 눈에 띄는 단체는 역시 최근에 내한한 에머슨 사중주단과 데카에서 하이페리온으로 소속을 옮기고 브람스 시리즈를 내고 있는 타카시 사중주단이다. 이들은 사중주단의 실력을 가늠한다는 사각의 링과도 같은 베토벤과 바르톡 현악사중주에서 각기 자타가 공인하는 명성을 얻었다. 최소한 현재 세계적인 현악사중주단이 되려면 이 둘을 정복해야만 하는게 공식인 듯 하다. 에머슨과 타카시 사중주단 모두 이 두 작곡가의 음반으로 각종 음반상을 수상했다. 개인적으로 타카시의 연주를 커피 한 스푼만큼 더 좋아하는 편이지만 에머슨의 독특한 매력을 뿌리치지 못한다. 타카시가 유럽적 전통에서 시작하여 현재는 콜로라도를 중심으로 활약하는데 반해 에머슨은 너무나도 미국적인 팀이다. 그들은 전형적인 양키, 뉴요커다. 두 팀 사이에는 그들의 음악이 성장한 지역적 차이도 느껴진다.  

 

  에머슨사중주단은 멤버 교체 없이 30년가까이 활동하고 있다. 이들은 서로의 음악적 발전을 위해 서로간의 거리를 둔다고 말한다. 일종의 '음악적인 자유주의'태도이다. 이들에 대한 첫 인상은 천상 뉴욕의 '여피'다. 실제로 이들은 함께 공연을 가더라도 각자 다른 호텔을 이용한다는 소문도 있다. 각자 서로의 취향과 공간을 존중해준다는 것이겠다. 이것이 무슨 분열의 소지가 되거나 하는 일은 아직은 없는 듯 하다. 흔히 정치학에서 말하는 권리중심주의편에서의 평등은 이와같은 형식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에머슨사중주단의 특징 중에 하나는 두 명의 바이올린 주자 필립 세처와 유진 드러커가 각각 제1 바이올린과 제2 바이올린을 번갈아 맡는 다는 점이다. 이건 이 단체가 설립되었을때 부터 줄곧 유지되고 있는 특징이다. 1바이올린과 2바이올린의 일종의 위계를 정치적으로 말하자면 자유 민주적 평등의 방식으로 돌파하고 있다. 물론 어떤 곡에서 누가 1바이올린을 맡을 것인가는 두 연주자들의 음악적 결정에 따른 것이다. 에머슨 사중주단의 멤버들은 하여간 무언가 빈틈없는 느낌을 준다. 이러한 각 멤버간의 사적,음악적 긴장감이 그들의 음악에 텐션을 부과하는 것은 아닐까 싶다. 마치 독립전쟁 이후 미국 건국의 아버지들이 '조화를 통한 견제'라는  방식을 취한 것 처럼 말이다. 베토벤 사중주는 워낙 쟁쟁한 음반들이 많아서 국내에서 많이 사랑받고 있는 것 같지는 않지만  89년 바르톡 음반이나 2000년 쇼스타코비치 음반은 상값을 하는 듯 하다. 특히 바르톡 음반은 에머슨의 능력을 부각시키기 위해 좀 과장하자면 '에머슨 이후와 에머슨 이전'으로 나뉜다고 할 수 있을 정도다.

 에머슨 사중주단을 싫어하는 이들 조차 이들의 연주력은 공히 인정할 수 밖에 없다. 단지 이지적이고 열정을 억제하는 듯 모던한 해석에 취향의 호불이 갈릴 뿐이다. 마치 하이페츠나 폴리니의 초기음반에 대한 평가가 그러하듯이 말이다. 어느 누구도 하이페츠를 보고 '내 취향은 아니야'라고 할 수는 있어도 '그의 연주는 수준 이하'라고 할 수는 없는 것과 같은 이치다. 그런 의미에서 에머슨 사중주단이 최근에 낸 그리그,시벨리우스 사중주 음반은 정녕 에머슨답다. 북구의 민족적 정서보다는 북구의 차가움을 선택했다고 보면 적절할 듯 하다. 그들은 마치 얼음의 표면처럼 차가운 열정으로 그리그,시벨리우스의 민족적 속성을 걷어내고 음표의 순혈성을 드러낸다.(아래 4번째 음반이 그리스,시벨리우스 사중주단 음반이다.)   

뭐 익히 알려진 이야기이지만, 에머슨이란 이름은 미국의 바로 그 사람이다.

  

  

 

  

 

 

쇼스타코비치 현악사중주 3번이다. 화면왼쪽부터 필립세처, 유진드러커, 데이빗 핀켈,로렌스듀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상에는 왜이리 많은 슬픔이 있는가?   

이 말을 하고 있는 순간에도... 

평화로움 속에 드리워진 슬픔의 데생들... 

지금은 그저 당신 차례가 아닐 뿐이라는 

슬픔의 이유있는 자신감. 

 

언젠가 사건의 이름으로, 또는 삶의 이름으로 자기를 증거하게 될  

무한한 슬픔의 이파리들... 

그래도... 

삶은 계속되어야만 하고... 

 

아이야.. 

무정한 시간이 너를 위로해주길  

그리고   

운명의 눈동자가 너를 아는체 하지 않고  

그저 모른척 지나가주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ONE SONG  

ONE BOTTLE OF BEER

1. 알란 파슨스 프로젝트

 

2. 찰리헤이든 & 팻 메스니 

 

3.세르지오 카마리에리 

 

 

5.베보 발데스 & 디에고 엘 시갈라  

 

 

6. KOOP 

 

  

7. 톰 조빔 

 

8. 재니스 조플린 

 

  

9. 장사익 

 

10. 디누 리파티...아...장마비 내리는 도시의 밤 , 램프 불빛과 단 둘이서 듣는 디누 리파티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