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거침없이 빠져드는 역사 이야기 -경제학 편 ㅣ 청소년을 위한 교양 오딧세이 1
황유뉴 지음, 이지은 옮김 / 시그마북스 / 2007년 7월
평점 :
절판
경제학하면 참 어렵게 느껴지는 학문이다. 나같이 공학을 전공한 이들의 입장에서도 구체적인 사물이나 현상이 없이 추상적인 사유와 명제들 속에서 벌어지는 학문이라 쉽게 감이 잡히지 않고 언젠가 경제학관련 교양과목을 들었더니 느닫없는 편미분 등의 수학공식이 어리둥절하게 했던 기억이 난다.
나이를 먹으며 재테크다 뭐다해서 경제에 관심을 많이 가지게 되고 학교 다닐 적에도 경제사나 정치경제학 쪽으로는 관심이 많아서 경제학에 대해서 남들보다는 더 안다고 자부하고 살지만 조금만 자세히 파고들면 쉽게 밑천이 드러나는 수준이다.
경제는 경세재민(經世濟民)의 준말이라고 한다. 나라를 잘 다스리고 백성을 평안하게 한다는 뜻인데 결국은 인류가 처음 시작해서부터 지금까지 각종 재화들을 생산하고 분배하고 소비하는 모든 과정을 뜻하는 것이다. 이러한 행위들은 자본주의라는 사회체제가 성립되면서 각각에 대한 의미에 관심을 두게 되었고 애덤 스미스로 대표되는 고전파 경제학이 학문으로 자리잡으며 우리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학문이 되었다.
거침없이 빠져든다는 제목처럼 경제와 경제학이라는 학문이 인류가 살아오는 과정에서 어떻게 발전되었고 인류의 인식의 발전과정과 그괘를 같이 하면 사회와 인간의 활동에 대한 이해를 경제학이라는 학문을 통해 풍성화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책이다. 생산비용에 가치를 두는 리카도 계열의 경제학 분류와 제본스를 중심으로 한 한계효용학파의 논쟁. 그리고 이러한 두가지만의 분석으로 인간의 경제활동 분석이 모순에 부딪히자 새롭게 등장하는 케인즈학파 등 경제를 바라보는 경제학파들을 나름 공정하게 평가하고 소개하려는 시도가 눈에 띄였다.
경제학이라는 학문이 자본주의의 발생과 함께 성립되었고 자본주의의 발전과 변화에 따라 성숙되어진 학문이라 그런지 정치경제학 분야에 있어서는 초기 발생과 논쟁부문 외에 현대의 해석부분은 빠진게 아쉽지만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경제학이라는 학문과 경제활동이 가지는 의미를 파악하게 해주는데는 제법 괜찮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