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 잎사귀 뒤쪽 마을
안도현 지음, 정문주 그림 / 실천문학사 / 2007년 3월
평점 :
품절


시인이란 무엇을 하는 사람일까요? '밤하늘의 별에다 이름을 붙여주는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시인은, 밤마다 같은 자리에서 반짝이는 이름난 별에는 별로 관심이 없습니다. 순간적으로 눈에 들어왔다가 사라지는 별똥별, 아니면 아직 이름이 붙지 않은 낯선 별에 남다른 호기심을 보내는 사람이 시인이지요. 그렇게 되기 위해 무엇보다 어린이의 눈을 가져야 하는 사람이 시인입니다. - 안도현(시인)

북한에 나무 보내기나 숲가꾸기와 관련해 안도현시인을 접했었는데 그가 이렇게 동시집을 낸 건 의외였다. 그런데 그의 시를 읽고 있노라면 그의 말처럼 정말 어린이의 눈을 가지고 있는 시인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배꼽시계를 가지고 4행시를 짓는 듯하더니 '꼽'을 '꼬'와 'ㅂ'으로 나눠 5행시로 바꿔버린다던지 호박꽃을 노래하면서 '호호호호', '애애애애'의 리듬이나 풋살구로 '풋, 풋, 풋...살구, 살구, 살구' 등 리듬과 언어로 즐거운 놀이를 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오래된 동시들에서 느껴지는 아름답고 정겹기는 하지만 지금 아이들의 정서에 다가갈 수 있고 쉽게 접할 수 있는 풍경을 '위층 아기'나 '모자' 등의 시를 통해 표현하였다. 목가적이고 자연친화적인 자연을 노래하는 시들 중간중간에 '공터'에서처럼 텃밭을 가꾸며 도시에서 자연을 접하는 모습이나 '우리 마을 공터에 놀러 온 귀신고래'에 나오는 검은 비밀 봉지를 얘기하며 우리가 환경을 파괴한다는 교훈을 거부감없이 전달하는 시인의 시들이 재미와 교훈을 함께 한 좋은 시집이란 느낌이 들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7-04-24 23:19   URL
비밀 댓글입니다.

프레이야 2007-04-25 00: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시집 사서 몇 편 읽고 놔두었어요. 그림도 시도 참 좋더군요.
특히 그림이 마음에 들었어요. 리뷰 잘 읽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