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한 3차 산업혁명 인프라는 본질적으로 중앙 집중식 통제보다 통제권의 분산을 선호한다는 사실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네트워크는 폐쇄적이고 독점적인 것이 아니라 개방적이고 투명한 것일 때 효율적일 수있으며, 총효율 및 순환성의 극대화를 위해 수직적이 아니라 수평적으로 확장한다. 3차 산업혁명 인프라를 위해 생성된 플랫폼은 유연성과 다중성을 선호한다. 이 두 가지가 바로 기후변화의 시대에 대처하기 위한회복력 구축의 핵심 요소들이다. - P24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미 도래하고 있는 통제 불능의미래에 우리가 성공적으로 적응하려면 모든 공동체는 지속적으로 경계하며 재난 모드에 참여해야 한다. 이 새로운 세계에서 국가 안보는 군사적 위협보다 기후 재앙에 더 좌우된다. 이미 미국 국방부와 미군, 주 방위군은 임무를 재조정하고 기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배치를 중심으로주요 작전 전략을 수립하기 시작했다. 새로운 현실은 이제 모든 공동체가 급격히 변화하는 기후에 취약하다는 것이다. 복원의 시대에 모든 공동체는 불리한 상황에 처할 잠재성을 보유한다. 아무도 지구의 진노에서 벗어날 수 없다. 그린 뉴딜 스마트 3차 산업혁명 인프라는 기후변화에 적응하는 첫 번째 방어선이다. 어떤 의미에서 그것은 미래로 가기 위한 우리의 구명 밧줄이다.
- P1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재 점검, 소지품 검사, 출퇴근 기록기 등의 절차가 너무 복잡해서 직원들이 효율적으로 일할수 없었다. 다들 누군가에게 영혼을 담보 잡힌 채 살아가는것 같았다. 정반대 방향으로 가는 비행기에 올라탄 듯 저마다 일생 동안 품어야 할 의미와 사명, 사랑까지도 이곳에서는 절대로 표출할 수 없었다. 테이블이나 소파에 앉아 사람들이 나누는 대화가 떠올랐다. 숨이 끊겨 미동조차 없는 사물 위를 떠돌 듯 대화는 겉돌았다. 타인의 심금은 울려보지못한 사람들, 남의 심금을 울려보겠다고 작정해도 얼굴에가면을 뒤집어쓴 채 입으로 뻔하디 뻔한 말을 내뱉으니 누가봐도 입발림이라고도 믿을 수 없을 지경이었다. 백화점에서매일 똑같은 얼굴만 마주해야 한다는 사실에 외로움은 더해갔다. 말을 걸 만한 사람이 아예 없는 건 아니지만 한 번도말을 걸지 않았고, 걸 수도 없었다. 차라리 오다가다 버스에서 딱 한 번 보고 영영 스치는 사람들이라면 말이라도 할 것같았다.
- P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장 널리 알려진 미신 중 하나는, 인간이란 저마다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어서 선한 사람과 악한 사람으로, 똑똑한 사람과 멍청한 사람으로, 열정적인 사람과 무딘 사람 등으로 나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렇지가 않다. 우리는 한 사람에 대해 말할 때 그 사람은 악하기보다는 선할 때가 더 많고 멍청할 때보다는 똑똑할 때가 더 많고 무딜 때보다는 열정적일 때가 더 많다고 말해야 한다. 반대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어떤 사람에 대해서는 선하고 똑똑하다고 말하고, 또 다른사람에 대해서는 악하고 멍청하다고 말한다면, 그것은 옳지 않다. 하지만 유감스럽게도 우리는 언제나 사람들을 그런 식으로 분류한다. 그것은 잘못된 일이다. 사람은 흐르는 강물과 같다. 강물은 어디에 있든언제나 같은 물이다. 다만 강은 어떤 곳은 좁고 물살이 빠르고 어떤 곳은 넓고 물살이 느리며, 어떤 곳은 맑고 어떤 곳은 흐리며, 어떤 곳은 차갑고 또 어떤 곳은 따뜻하기도 하다. 사람도 마찬가지다. 사람은 누구나 인간의 모든 특성을 맹아처럼 품고 있어서 어떤 때는 이런 특성이, 어떤 때는 저런 특성이 튀어나오는 것이다. 그래서 같은 사람이라도 본디 모습과 전혀 다른 사람으로 보일 때가 있고, 몇몇 사람들은 이런 변화가 아주 급격하게 일어나기도 한다. - P20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발자크와 바느질하는 중국소녀
다이 시지에 지음, 이원희 옮김 / 현대문학 / 200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두운 시대 배경과 달리 끝까지 유쾌함을 잃지 않는 책.
매력적인 소녀와 애처로윤 소년들이 주인공으로 등장.
책을 읽는다는 것은 새로운 세상을 발견하는 일임을 알려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