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철학 스케치 2 - 이야기로 만나는 교양의 세계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지음 / 풀빛 / 2007년 2월
평점 :
절판



  "사상은 단순한 생각의 나열이 아니다. 자기가 살고 있는 사회와 인간에 대한 깊은 애정을 가지고 그 시대의 사회 현실을 정확하게 알고 그에 맞는 해결 방법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현실과 동떨어진 사상은 뿌리 없는 나무와 같아서 생명력을 잃은 나무는 큰 의미가 없다. 살아있는 철학은 바로 사회를 이끌어 가는 깨어 있는 시대 정신인 것이다. 실학사상은 조선 후기 사회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이해했고 나름대로 해결책을 제시했기 때문에 그 시대를 대표하는 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두권으로 이루어진 <한국철학 스케치>의 2권의 시작은 '조선 후기의 실학사상'이다. 1권에서는 '원시 시대와 고대의 철학 이야기'에서부터 불교, 성리학을 다루었고, 2권에서는 조선 후기의 실학부터 위정척사파와 동학운동파, 갑오농민군, 활빈당, 그리고 마지막 장에서 개화사상과 주역들에 관해 다룸으로써 마무리 짓는다. 

  개인적인 느낌일지 모르겠지만, 동양철학, 그러니까 중국과 한국의 철학을 공부함에 있어서는 서양의 철학을 공부할 때보다 역사적인 배경이 매우 중요하게 맞물려 있다는 생각이 든다. 서양철학에 있어서 기독교와 신, 이성을 빼고 논할 수 없지만 과거에 지나왔던 역사의 현장들을 반드시 알아야 하는 건 아니다. 물론 철학 역시도 역사적 사건 속에서 함께 성장해온 것이 사실이지만, 그 비중면에서 동양의 것을 공부할 때보다는 덜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다. 중국철학을 함에 있어서 춘추전국시대를 빼놓을 수 없고, 한국철학을 하면서도 각각의 사상들이 지나왔던 역사적 배경을 모르고선 제대로 이해하기 힘들다. <한국철학 스케치>는 이러한 역사의 장면과 장면을 이어줌으로써 각각의 철학을 다루는 장과 장을 자연스럽게 연결시켜주었다. 이 책의 강점은 다른 한국철학개론서와 비교해  높은 가독성과 스토리를 지니고 있다는 점이다.

  "철학은 세상을 보는 눈을 준다. 세계관, 역사관, 자연관 등은 모두 세계를 보는 눈, 역사를 보는 눈, 자연을 보는 눈을 뜻한다. 눈을 가진 사람은 자신의 시각으로 사물을 보게 된다." 그것이 우리가 철학을 하는 이유이고, 삶을 살아가는 개인에게 철학이 필요한 이유이다. 철학은 대학에서 철학을 전공하고 교수가 되려는 이들이 해야하는 공부가 아니라, 이 땅에서 발붙이고 살아가는 개인이라면 누구나 해야하는 기본이다. 태어나 죽을 때까지 타인의 시각에 의해 사물을 바라볼 수는 없지 않겠느냐. 자기의 시각이 없다는건 얼마나 슬픈 일인가. 남들이 다 이렇게 한다더라, 그러니 나도 이렇게 하자. 옷은 유행에 따라 바꿔입으면 되지만 세상을 살아가는 중심이 되는 시각, 가치관조차 시대의 흐름에 내맡길수는 없다. 

  각자가 자신의 시각을 갖기 위해, 또 우리가 '한국'이라는 나라에 살아가며 지녀야 할 나만의 시각을 갖기 위해, 한국철학은 공부할 가치가 있다. 철학이 없는 국가, 철학이 없는 개인은 존재의미를 찾을 수 없다. 번지르르 명품으로 치장한 몸뚱이와 세계경제대국 10위권 국가라는 타이틀은 빈껍데기다. 자기주관을 가져라. 나아가 불편부당한, 외부의 자극에 흔들림 없는 기초가 튼튼한 자기철학을 세워라. 나를 포함한 살아 숨쉬는 모든 사람들에게 하고픈 말이다. 새로운 체계를 세우기 위해 백지상태에서 시작하는 것 보다 이미 대가라 칭송받고 있는 그들의 사유를 빌려 나의 것을 만드는 것이 더 확실하고 빠를 것이다. 그것이 내가 철학책을 읽는 이유이다.

 

 


댓글(9)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07-05-15 15: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철학은 대학에서 철학을 전공하고 교수가 되려는 이들이 해야하는 공부가 아니라, 이 땅에서 발붙이고 살아가는 개인이라면 누구나 해야하는 기본이다. 태어나 죽을 때까지 타인의 시각에 의해 사물을 바라볼 수는 없지 않겠느냐."

"자기주관을 가져라. 나아가 불편부당한, 외부의 자극에 흔들림 없는 기초가 튼튼한 자기철학을 세워라."

오.. 감동스러운 언명입니다. 아프락사스님.
철학책을 읽어야하는 이유! 추천!


가넷 2007-05-15 15: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늘 질렀습니다 Thanks to~^^;

비로그인 2007-05-15 15: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의 서재에 한부 스크랩해 갑니다. 아프락사스님.
고맙습니다.


비로그인 2007-05-15 18: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리뷰 좋습니다. 강하면서도 주르륵 읽어내리게 하는 흡입력.

"눈을 가진 사람은 자신의 시각으로 사물을 보게 된다."
철학 분야에는 무지인이나 마찬가지이지만, 나만의 독특한 눈을 가지고 세상을 바라보는
것은 동감되는군요. 제가 그러거든요. 그래서 별종이란 소리를 종종 듣습니다만. (웃음)
'눈'은 필시 얼굴 앞면 상부에 달려 있는 동글이 2개가 아니라, 심층에서부터 뻗어나온
'자아'이겠죠. 평상시의 '사회적 자아'가 아닌 '진정한 자아' 말입니다.
담아가겠습니다. ^^

달팽이 2007-05-15 21: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혹, 아프락사스님께서 '소크라테스 카페'라는 책을 읽지 않으셨다면
한 번 권해봅니다.
서양 철학도 이렇게 생활에 그리고 삶에 밀접하게 용해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매력적인 책입니다. 물론..제 눈에..

마늘빵 2007-05-15 23: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한사님 / 그리 콕 찍어서 따로 놔두니 부끄럽습니다. 스크랩까지. -_-a 평소 철학에 대한 생각을 끄적 해봤습니다.
그늘사초님 / 빠르십니다. :) 1,2권 둘다 읽기 편하실 겁니다.
엘신님/ 엘신님도 스크랩을. -_-a 철학사의 지식을 몰라도 자기철학, 자기주관이 있는 사람은 철학자라고 할 수 있겠지요. 엘신님은 서재상으로도, 만나봤을 때도, 확실히 독특하십니다. 엘신님은 이미 철학자입니다.
달팽이님 / 네 그 책 읽어봤습니다. :) 일상 속에서 대화를 통해서 철학을 실천하는 모임이더군요. 소크라테스의 대화법을 통해서. 그런 모임 갖고 싶습니다. 제가 주재할 능력은 아직 안되고 해서 누군가 주도한다면 참여할 의사는 있어요. 재밌을거 같아요.

향기로운 2007-05-21 15: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주의 추천리뷰에 떠서 읽게되었네요^^;; 저의 게으름... 저도 담아갈게요^^

마늘빵 2007-05-21 15: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앗 이게요? -.- 어디죠? 알라딘 마을인가요?

leeza 2007-08-26 09: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철학에 대한 깊이 있는 사유가 놀라워요.. 이 땅에 빌붙어 사는 사람이라면 철학을 해야 한다는 이야기에 공감하게 되구요~ 앞으로도 좋은 리뷰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