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당신은 더 좋은 회사를 다닐 자격이 있다 - 불확실의 시대, 미래를 위한 새로운 이직론 ㅣ 폴인이 만든 책
김나이 지음 / 폴인이만든책 / 2019년 7월
평점 :
“명함을 한번 꺼내볼까요? 당신 이름 앞에 놓인 회사 이름을 뺐을 때, 당신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나요. 여러분이 회사 밖으로 나왔을 때 자신을 설명할 수 있는 그 무언가가 있는지, 그것으로 개인의 성장과 실력을 판단해야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내 직장의 이름으로 나를 대신하려고 한다. 내가 처음 취업하던 20년 전에는 그 경향이 더 강했고, 지금은 많이 무너졌다고 생각하지만, 여전히 직장 이름은 취업을 하거나 이직을 할 때 사람들이 생각하는 요소이다.
물론 이름 있는 회사, 잘 나가는 회사에 가는 것이 나쁘지는 않다. 그런데 가서 무엇을 하느냐, 어떤 역할을 하느냐가 더 중요하다. 내가 다니는 회사의 이름을 빼면, (직장인으로서 아닌) 직업인으로서 나는 어떠한가? 내세울 게 있는가? 회사 이름을 빼고 나를 바라봤을 때의 모습이 직업인으로서의 진짜 내 모습이다.
나는 왜 이 일을 하고 있는가? (사이먼 사이넥의 동일명의 책이 있다.) 이 질문은 내가 직업을 택하고, 직장에 취업하고, 재직하며 일을 하고, 이직을 하면서, 죽을 때까지 생각해야 하는 질문이다. 정해진 답은 없지만, 이 질문에 대해 고민하지 않는 사람은, (소속된 노동자라는 가정 하에) 그냥 월급생활자다.
회사가 나가라고 하지 않으면 계속 다녀야죠, 라는 말은 당신의 직책이 무엇이고, 경력이 얼마나 됐든 매우 수동적인 사람이라는 증거이다. 내가 이 회사 밖에서 무엇을 할지 미래를 알 수 없다고 해도, 직업인으로서 일을 하는 동안 배우는 모든 것은 (미래에 다른 일을 한다고 해도) 내 자산이 된다. 나는, 월급생활자로 머물지 말고, 월급생활자이면서 독립된 존재로서 실력을 갈고닦고 늘 발전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경력이 많이 쌓였지만 무능한 사람은 나의 무능한 점이 무엇인지 자기 객관화를 하고 부족한 점이 있다면 지금이라도 보완하려고 애써야 한다. 사원, 대리 등 주니어들은 자신의 10년, 20년 뒤 모습을 선배인 당신에게서 본다. 또, 그들은 나의 후배이면서 동료이기도 하다. 동료로서 일을 오래한 내가 더 잘해야 하고, 그들에게 본이 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2019년에 나온 책이지만, 직업을 갖고 종사하는 모든 이들이 읽으면 자기자신을 돌아보게 될 것이다.
퇴사나 이직은 감정에 치우쳐 충동적으로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만의 ‘커리어 지도’를 그려나가는 치밀한 여정이어야 합니다. 이직은 업의 궤도를 수정해 자기 자신을 성장시킬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수단이니까요. 특히나 평생 직장이 사라진 시대, 기업 수명이 단축된 시대, 고령화 시대에 이직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습니다. 할 수밖에 없다면, 잘해야 합니다. - P17
"돈 버는 것을 회사의 최우선 목표로 삼고 있지 않아요. 그보다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있어요. 그래야만 훨씬 더 강력하고 많은 부를 창출할 수 있고요. 그게 사회적 선에 기여하기 때문에, 팀원들은 의미 있는 일을 한다고 생각하고 그래야 더 열심히 일하게 됩니다. 단순히 주주와 회사의 돈을 불리기 위해 일한다고 생각할 때보다 훨씬 더 많은 에너지가 나오는 거죠. 이른바 사명이 가장 중요해요."(비바리퍼블리카 이승건 대표, "새로운 엘리트의 탄생") - P40
회사 간판이 그 사람의 실력을 말하는 시대도 아닙니다. 어떤 새로운 시장이 열리는지, 어떤 기술이 필요한지 관심을 갖고 배우며 진짜 일의 경험을 쌓아 나가고 그것을 잘 보여 주어야만 합니다. - P137
이직하는 회사가 나의 최종 목표라고 생각하지 마세요. 어떤 회사도 당신을 지켜 주는 완벽한 울타리가 될 수 없습니다. 미래엔 더욱 그렇습니다. 나만의 직업 지도를 만든다는 생각으로, 그 지도가 근사하게 그려질 수 있는 방향으로 이직을 준비해야 합니다 - P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