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20세기에서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칼 포퍼 지음, 이상헌 옮김 / 생각의나무 / 2000년 1월
평점 :
절판


 칼 포퍼(1902~1994)의 말년 인터뷰와 에세이를 담은 책으로, 1992년 이탈리아에서 처음 출간되었다. 1, 2부는 이탈리아 언론인 Giancarlo Bosetti와의 대담을, 3부는 '민주국가의 이론과 실제에 대한 반성', '자유와 지적 책임'이라는 두 편의 에세이를 수록하고 있다. 칼 포퍼 정치사상의 완성되고 정리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살필 수 있다.

 

 포퍼에 따르면, '누가 지배해야 하는가?'라는 물음은 서투른 정식화이다. 군주정, 과두정, 민주정을 비교하여 '철인통치'를 주창한 플라톤에서부터 비롯된 이런 형식의 물음과 해결책들은, 언제나 최악의 불행을 야기했다.

 민주주의의 본질 역시 '국민주권'이나 '국민에 의한 지배'가 아니다. 그는 과학철학에서 택한 전략대로 민주주의도 부정적(否定的) 방식으로 접근한다. 포퍼가 말하는 민주주의의 핵심은 '제거할 수 없는 정부', 다시 말해 '독재'와 '부자유', '법의 지배가 아닌 다른 지배의 형식'을 피할 수 있는 힘, 즉 '심판가능성(= 반증가능성)'에 있다. 사람은 언제나 틀릴 수 있고, 실수와 오류를 통하여 배울 수밖에 없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민주주의만이 폭력 아닌 이성으로 정치개혁을 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을 제공한다. 처칠의 표현처럼, "민주주의는 최악의 정부 형태이다. 다른 모든 정부 형태를 제외하고."

 어떤 개인이나 집단도 진리를 독점할 수 없다. 공동의 노력으로 진리에 더욱 가까이 다가가려는 최선의 노력을 기울일 수 있을 따름이다. 영구불변의 절대적 진리는 있을 수 없다. 얼마간 반증을 견디고 있는 잠정적 진실만 있을 뿐이다. 목표는 추상적 선의 실현이 아니라, 구체적 악의 제거에 놓여야 한다. 그 성패는 '의사결정의 제도적 틀로서 비판과 토론이 얼마나 현실적 힘을 가지고 작동하느냐'에 달려 있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비판적 이성/합리주의, 즉 사실의 존중, 비판과 토론에 열린 태도, 오류 가능성에 대한 관용의 마음, 그리고 무엇보다, '이타적 개인주의' 윤리이다. 요컨대, 민주주의는 '국민법정(popular tribunal)'이어야 한다.

 

 칼 포퍼의 책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번역되어 있다. 번역되지 않은 것은 The Self and its Brain (NY: Springer, 1977); The Open Universe: An Argument for Indeterminism (From the Postscript to the Logic of Scientific Discovery) (Totowa, NJ: Rowman and Littlefield, 1982); Quantum Theory and the Schism in Physics (Totowa, NJ: Rowman and Littlefield, 1982); Realism and the Aim of Science (From the Postscript to the Logic of Scientific Discovery) (Totowa, NJ: Rowman and Littlefield, 1983); The Myth of the Framework: In the Defence of Science and Rationality (London: Routledge, 1996); Knowledge and the Body-Mind Problem (London: Routledge, 1996) 등이다. 『현대과학철학 논쟁』은 토머스 쿤과 임레 라카토슈, 파울 파이어아벤트 등의 논쟁을 담은 책이다.

"우리의 문명이 살아 남으려면 우리는 먼저 위대한 인물에 맹종하는 습관부터 타파해야 한다. 역사에 관한 예언자로 행세하기를 중지할 때, 우리는 운명의 창조자가 될 수 있다. (...) 사회가 예술작품처럼 아름다워야 한다는 견해는 흔히, 너무나 쉽게 폭력적 조치를 초래한다. 지상에 천국을 만들고자 하는 시도는, 인간만이 그의 동료를 위해 준비하는 지옥을 만들 뿐이다. 우리의 가장 큰 불행은 오히려 어떤 선한 의도에서, 즉 동료들의 참담한 운명을 개선하고자 하는 우리의 조급함에서 비롯되었다." (4쪽)

"통치자는 도덕적으로나 지적으로 평균 이상인 자가 거의 없었고, 더러는 평균 이하였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물론 최선의 통치자를 얻기 위하여 노력해야 하겠지만, 그와 동시에 최악의 통치자에 대비한 원칙을 채택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탁월하고 유능한 통치자를 확보할 수 있다는 가냘픈 희망에 우리의 모든 정치적 노력을 건다는 것은 나에게는 미친 짓으로 보인다." (41쪽)

"인류의 구체적 역사가 있을 수 있다면 그것은 모든 사람의 역사여야 할 것이다. 그것은 모든 인간 한 사람 한 사람의 희망과 투쟁 그리고 수난의 역사일 수밖에 없다." (155쪽)

"합리적 접근법은 내가 틀릴 수 있고 네가 옳을 수 있다는 것, 그러나 우리는 공동의 노력에 의해서 진리에 더욱 가까워질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할 준비가 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160쪽, 『열린 사회와 그 적들』을 재인용)

"이 책을 이루고 있는 논문들과 강의는 매우 간단한 주제의 변주들이다. 그것은 우리가 우리의 실수로부터 배울 수 있다는 것이다." (182쪽, 『추측과 논박』 머리말 중에서)

"우리의 행정은 소수 대신에 다수를 옹호한다. 이것이 민주주의라 불리는 이유이다. 법률은 개인들의 사적 분쟁에서 모든 사람에게 동등한 정의를 행사한다. 그러나 우리는 탁월한 자의 주장을 무시하지 않는다. 어떤 시민이 뛰어나면, 그는 다른 사람에 앞서서 국가에 봉사하도록 요청된다. 그러나 그것은 특권으로서가 아니라 그의 장점에 대한 보상일 뿐이다." - 페리클레스(203쪽)

(7-1) "우리는 마르크스의 성실성을 인정하지 않고서 그에 대한 공정한 평가를 내릴 수 없다. 그의 열린 마음과 사실에 대한 감각, 그리고 쓸데없는 말장난에 대한 혐오, 특히 도덕적 훈화조의 말장난에 대한 혐오는 그를 위선과 표절에 대해 싸우는, 세계의 가장 영향력 있는 투사의 한 사람으로 만들었다. 그는 억압받는 사람들을 도우려는 불타는 열의를 가지고 있었으며, 입으로써가 아니라 행위로 자신을 증명할 필요를 깊이 느꼈다. 그의 재능은 주로 이론적인 데 있었으므로, 억압받는 사람들의 삶을 개선하려는 투쟁을 위한 과학적 무기라고 그가 믿는 것을 주조해 내는 데 엄청난 노력을 바쳤다. 진리를 모색하는 성실성과 지적 정직성은 그를 그의 많은 추종자들로부터 구별해 준다. (7-2로 이어짐)

(7-2) 지적 원천에서는 헤겔의 철학과 거의 동일하다 하더라도, 마르크스주의에는 말할 것도 없이 인도주의적 충동이 밑에 깔려 있다. 더구나 헤겔 우파와는 대조적으로 마르크스는 인간의 사회적 문제 가운데 가장 절박한 문제에 합리적 방법을 적용하려는 정직한 노력을 기울였다. 이러한 노력의 가치는 그 노력이 대부분 실패에 그쳤다는 사실에 의해 감소되지 않는다. 과학은 시행착오에 의해서 진보한다. 마르크스는 그런 시행착오를 시도해 보았던 것이다. (7-3으로 이어짐)

(7-3) 경제적 힘이 모든 악의 뿌리에 놓여 있다는 독단은 없애버려야 한다. 오히려 모든 악의 뿌리에 놓여 있는 것은 모든 형태의 통제되지 않은 힘이라는 사실을 우리는 이해하여야 한다. (...) 경제적 힘이 위험스럽게 되는 것은 돈이 직접 권력을 살 수 있게 된다든지, 생존하기 위해 자신을 파는 경제적 약자를 노예화함으로써 권력을 간접적으로 살 수 있게 될 때이다. (...) 우리는 경제적 힘을 민주적으로 통제하기 위한 제도를 세워야 한다. 그리고 경제적 착취를 방어할 제도를 만들어야 한다." (이상 7-1~3은 239쪽에서 인용)

"선거일은 새로운 정부에 적법성을 부여하는 날이 아니라, 과거 정부를 우리가 재판하는 날, 즉 과거 정부가 그동안 자신들이 해왔던 일들에 대해서 설명해야 하는 날이다." (249-259쪽)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묵향 2019-01-20 12: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http://blog.aladin.co.kr/SilentPaul/10571913 으로 다시 작성하였습니다.
 
파인만의 여섯가지 물리 이야기 - 보급판
리처드 파인만 강의, 폴 데이비스 서문, 박병철 옮김 / 승산 / 200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 권으로 나온 『파인만의 물리학 강의(1963)』(이른바 '빨간 책') 중 비교적 이해가 수월한 여섯 장을 발췌하여 재편집한 책이다. 화학, 생물학, 지질학, 천문학을 넘나들며 왜 물리학(物理學, physics)이 자연(physis)과 사물(物)의 이법(理)에 관한 근본 학문인지를 알게 해준다. 파인만 강의 시리즈를 접하기 전에 가볍게 준비운동을 하는 책 정도로 볼 수 있겠다.

 

 파인만의 물리학 강의를 다룬 책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우선 '빨간 책'은 캘리포니아 공과대학 1, 2학년생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칼텍 학부생들이 점차 물리학에 대한 흥미를 잃어가는 것을 우려한 학교 측에서 파인만에게 특별히 강의 개설을 부탁한 것이었다. 파인만이 오로지 학부생만을 위한 수업을 개설한 것은 위 빨간 책 강의 단 한 번뿐이었다고 한다. 파인만의 강의는 뉴욕타임즈 기자가 "이론 물리학자와 서커스 광대, 현란한 몸짓, 음향효과의 절묘한 결합"이라고 평할 정도로 다이내믹했고, 인기가 많았다. 강의실은 늘 만원이었지만(그래서 파인만 본인은 눈치채지 못하였지만), 안타깝게도, 실제로는 학부생들의 출석률이 점점 떨어지고, 수강생 중 대학원생과 교수의 비율이 점차 높아졌다고 한다. 『파인만의 물리학 길라잡이』는 위 강의록에 딸린 문제풀이집으로 제4권 정도에 해당한다.

 굿스타인 부부의 『파인만 강의(Feynman's Lost Lecture, 1996)』는, 위 빨간책에서 알 수 없는 이유로 누락되어 잊혀진 '행성운동에 관한 강의록'을 편집·재구성한 것이다. 칼텍에서 역사학을 가르치던 주디스 굿스타인 교수는 대학 공문서 보관 책임을 맡게 되었는데, 위 빨간책 출간을 책임졌던 당시 물리학과 학과장 로버트 레이턴의 서류철을 정리하던 중 위 강의록을 발견하였고, 그녀의 남편으로서 칼텍 물리학과 교수였던 데이비드 굿스타인 교수가 남아 있던 녹음테이프, 칠판 사진 등을 바탕으로 이를 보완하였다. 1장은 뉴턴 이전까지 우주관 변화, 2장은 파인만의 일생, 3장은 파인만의 타원 법칙 증명을 다루고 있다.

 

 

 『파인만의 또 다른 물리이야기』는 위 『파인만의 여섯 가지 물리 이야기』의 후속편에 해당하는 책으로, 역시 빨간 책에서 상대적으로 쉬운 내용을 추린 것이다. 주로 '상대성 이론'을 다룬다. 『물리법칙의 특성(1965)』은 파인만의 코넬대학교 '메신저 강좌' 강의록이다('메신저 강좌'는 코넬대학교 수학과 교수였던 Hiram Messenger가 1924년 설립한 기금으로 진행되는 '명사 초청 강의' 같은 것으로, 1945년 강좌에는 오펜하이머, 1976년 강좌에는 노암 촘스키 등이 연사로 초청되었다. 상세는 링크 클릭). 대상은 학부생과 일반인이었다. 번역본이 두 종 나와 있다. 『파인만 적분론』이라는 책도 있다.

 

 

 

 아래 책들은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한 강의를 묶은 것이다. 『발견하는 즐거움』은 에세이와 강연문을 모은 책이다. 나노테크놀로지 시대의 개막을 알린 기념비적 강연, "바닥에는 충분한 공간이 있다"가 수록되어 있다.

 

 

 

 파인만의 에세이집은 사이언스북스 '리처드 파인만 시리즈'를 보면 된다. 그런데 위 시리즈에 붙은 번호는 혼란스럽다. 『파인만!』은 『파인만 씨 농담도 잘 하시네!』, 『남이야 뭐라 하건!』을 묶여 파인만 서거 20주년 기념 특별판으로 재출간한 것이다. 또한 위 시리즈 중 『미스터 파인만!』은 『남이야 뭐라 하건!』과 같은 책이다.

 

 

 

 그리고 파인만의 일생을 다룬 책들이 있다. 아동·청소년을 위한 도서는 제외하였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묵향 2019-01-20 12: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http://blog.aladin.co.kr/SilentPaul/10571852 으로 다시 작성하였습니다.
 
사물인터넷 - 모든 것이 연결되는 세상
매일경제 IoT 혁명 프로젝트팀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경영학부 리포트처럼, 정확성은 별론으로 하고 (기사성) 자료를 한데 모아볼 수 있다는 것은 장점.

 

경제신문 특유의 '호들갑스러운 논조'와 '틀에 박힌 기승전결 구조'['캐안습'이었던 과거 - 특히 기업들이 '개잘해서' 기적적 성장("혁신DNA", "성공DNA" 운운) - 구미일 선진국들은 앞서 나가고 중국은 무서운 속도로 따라오는데, 성장동력은 떨어지고 무엇보다 규제가 '넘나' 많다. 세상은 이토록 급변하는데, 미래에 대한 준비와 도전정신, '헝그리정신'(모기업 대표, 모단체 위원장 내지 기관장 인터뷰)이 부족하다. 요컨대 '대박위기' - 이러저러한 게 중요하다고 족집게 식으로 찍어 줬으니, 전략 세워서 과감하게 혁신하고("3X", "5Y", "ABC" 등 알파벳이나 두문자를 딴 신조어 등장), 정부는 이를 적극 지원·육성해서("~ 3.0", "글로벌 ~", "~허브"와 같은 용어 등장), 새로운 패러다임에서는 '패스트 팔로워'에 그치지 말고 '퍼스트 무버'가 되자. 끝.]로 인한 '닭살돋음'만 극복한다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과학의 새로운 언어, 정보
한스 크리스찬 폰 베이어 지음, 전대호 옮김 / 승산 / 200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만물의 근원(arche, ἀρχή)은 '큐비트(qubit)'이다. 즉, 우주는 본질적으로 '정보(in-formation)'로 구성되어 있다. '정보'는 근대과학적 '메커니즘'(기계론) 개념과 인문학적 '의미'(목적론) 개념의 중간에 위치한다. 정보를 통하여 물질적인 것과 추상적인 것, 실재적인 것과 관념적인 것은 이어진다. 형상계와 정신계를 구분하였던 사유가 허물어지고 통합되는 것이다.

 

 그 잠재적 폭발력을 생각할 때, 별점 열 개도 아깝지 않은, 아름답기 그지없는 책이다. 과학책 한 권을 꼽아 보라고 하면 이 책을 고를 것이다. 책 한 권을 골라 보라고 해도, 이 책을 후보 군에 놓고 고민할 것 같다.

 

 저자의 『Warmth Disperses and Time Passes: The History of Heat』 번역본은 절판되었다. 물론 위 책에도 관련 내용이 다루어지고 있긴 하지만, 아쉬운 일이다. 온라인 중고샵에 정가의 5배를 넘는 67,500원에 한 권이 나와 있다. 아쉬우나마 일본인 물리학자가 쓴 옆의 책으로 대체할 수 있을 것 같다. 역시 절판되었지만 헌책방에 많이 나와 있다. 1979년 전파과학사에서 나왔던 책과 같은 책인데, 과거의 책이 더 전문적인 역자가 번역한 책인 것으로 보인다. 

 

 

 저자가 인용한 다음 책들을 함께 볼 수 있을 것 같다. 슈뢰딩거의 『Nature and the Greeks and Science and Humanism』는 곧 번역되어야 할 것 같다. 파인만의 『물리학 강의』, 이른바 '빨간 책'은 세 권짜리이다. 절판된 톰 지그프리트, 『우주, 또 하나의 컴퓨터(The Bit and the Pendulum)』는 중고샵 가격이 무려 15만 원이나 된다. 1979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스티븐 와인버그의 책은 『과학전쟁에서 평화를 찾아(Facing Up)』 외에도 몇 권이 더 번역되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법정에 선 과학 - 생생한 판례들로 본 살아 있는 정의와 진리의 모험
실라 재서너프 지음, 박상준 옮김 / 동아시아 / 2011년 4월
평점 :
품절


 참 좋은 책이다. 그러나 (많이 애쓰신 것 같긴 하지만) '미국책'을 번역한 티가 심하게 나고, 법률용어 번역이 부정확하다. 번역을 다듬고 해설을 붙여 다시 내고 싶은, 매우 아까운 책이다.

 

 저자는 하버드대학교 케네디스쿨에서 '과학기술과 사회' 프로그램을 총괄하고 있다. 다음과 같은 책들을 냈다. 번역되어야 할 책들이다. 두 권만 꼽자면 책에도 많이 인용된 『The Fifth Branch: Science Advisers as Policymakers』와 『Learning from Disaster: Risk Management After Bhopal』을 고르고 싶다. 『Handbook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와 같은 책도 한국에 한 권쯤 출간되면 좋을 종류의 책이다. 『Dreamscapes of Modernity: Sociotechnical Imaginaries and the Fabrication of Power』는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 김상현 교수가 공편자로 되어 있다.

 책에 나오는 참고문헌들 중에는 다음 책들에 관심이 갔다(단행본 한정). 피터 후버의 『Galileo's Revenge: Junk Science in ihe Courtroom』은 분량도 길지 않고, 번역되면 좋을 것 같다. 그에 따르면, 주변과학과 주류과학을 분별할 수 없는 법원의 무지와 무능력 때문에 쓰레기 과학(junk science)’, 사이비과학(pseudoscience)’이 걸러지지 않고 법정에 들어온다고 한다. 브루노 라투르의 책도 좋은 책이 많다. 『Law, Science, and Medicine』은 교과서다. Calabresi의 책은 분야는 조금 다르지만, 후일을 위하여 언급하여 둔다. 앞서 게재한 적이 있는 Dorothy Nelkin의 『Dangerous Diagnostics』도 여러 번 인용되어 있는데, Sheila Jasanoff와 Dorothy Nelkin은 "Science, Technology, and the Limits of Judicial Competence", Science, Vol. 214 (1981)을 공저하기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