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의 새로운 언어, 정보
한스 크리스찬 폰 베이어 지음, 전대호 옮김 / 승산 / 200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만물의 근원(arche, ἀρχή)은 '큐비트(qubit)'이다. 즉, 우주는 본질적으로 '정보(in-formation)'로 구성되어 있다. '정보'는 근대과학적 '메커니즘'(기계론) 개념과 인문학적 '의미'(목적론) 개념의 중간에 위치한다. 정보를 통하여 물질적인 것과 추상적인 것, 실재적인 것과 관념적인 것은 이어진다. 형상계와 정신계를 구분하였던 사유가 허물어지고 통합되는 것이다.

 

 그 잠재적 폭발력을 생각할 때, 별점 열 개도 아깝지 않은, 아름답기 그지없는 책이다. 과학책 한 권을 꼽아 보라고 하면 이 책을 고를 것이다. 책 한 권을 골라 보라고 해도, 이 책을 후보 군에 놓고 고민할 것 같다.

 

 저자의 『Warmth Disperses and Time Passes: The History of Heat』 번역본은 절판되었다. 물론 위 책에도 관련 내용이 다루어지고 있긴 하지만, 아쉬운 일이다. 온라인 중고샵에 정가의 5배를 넘는 67,500원에 한 권이 나와 있다. 아쉬우나마 일본인 물리학자가 쓴 옆의 책으로 대체할 수 있을 것 같다. 역시 절판되었지만 헌책방에 많이 나와 있다. 1979년 전파과학사에서 나왔던 책과 같은 책인데, 과거의 책이 더 전문적인 역자가 번역한 책인 것으로 보인다. 

 

 

 저자가 인용한 다음 책들을 함께 볼 수 있을 것 같다. 슈뢰딩거의 『Nature and the Greeks and Science and Humanism』는 곧 번역되어야 할 것 같다. 파인만의 『물리학 강의』, 이른바 '빨간 책'은 세 권짜리이다. 절판된 톰 지그프리트, 『우주, 또 하나의 컴퓨터(The Bit and the Pendulum)』는 중고샵 가격이 무려 15만 원이나 된다. 1979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스티븐 와인버그의 책은 『과학전쟁에서 평화를 찾아(Facing Up)』 외에도 몇 권이 더 번역되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