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컬/타이틀오브쇼] 내가 지금 하는 말이 대사가 되는 공연

 

 

 

 

뮤지컬 타이틀 오브 쇼


2016. 5. 9. - 5. 22.


출연 전재홍, 심주현, 김민주, 소정화


대학로 TOM 2관

 

 

김민주 배우 만세!!!ㅋㅋㅋ


민주 배우님이 <내 기준으로> 오랜오랜만에 공연을 해서 뮤지컬 보러 감.


다른 공연 다 쉬는 월요일부터 첫공을 하시니, 나는 첫공보러 월요일부터 대학로로 고고함.

공연을 보면서 말이 참 많은 공연이라고 느꼈다.


공연을 만드는 과정에 나왔던 대화를 그대로 쓰다보니, 당연히 말이 많을 수밖에 없다.


공연이 뮤지컬 페스티벌에 선정이 되고, 오프오프브로드웨이/오프브로드웨이/브로드웨이로 진출하게 되는 뒷이야기보다는 공연을 만드는 자체의 내용이 더 인상깊었다.


우리 이야기를 쓰고 싶다는 것,

하이디가 오디션에서 떨어진 이야기,

수잔이 공연 준비를 시작하기 전에 오디션을 보지 않기로 했다는 말과.

알바 뛰는 것도 싫다는 전화통화.

하이디가 이 공연을 하는 것이 내가 다른 사람이 만든 틀에 끼워맞춰지는 것이 아니라 내가 다른 사람이 틀이 될 수 있다는 하이디의 희망.

- 브로드웨이의 뮤지컬 배우 뿐만 아니라, 사진을 찍으면서 그리고 많은 예술 지향적인 삶을 사는 사람이 하는 이야기이다.

- 글만 쓰는 것, 음악을 만드는 것, 사진을 찍는 것으로 생계유지를 하는 사람은 절대 소수이니

- 생계를 유지하면서 예술을 하려면 투잡/쓰리잡을 하거나 당일치기 알바로 연명을 해야 하는 것이고

- 다른 사람이 제시한 기준이 아닌 나의 기준으로 산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웃기는 많이 웃었지만, 웃을수록 씁쓸해지는 느낌이었다.


기억에 남는 넘버는 하이디와 수잔이 서로가 어떤 사람이라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것이었다.


난 이상하게 노래를 들으면서 그리고 공연 중간에 수잔이 하이디에게 아주 짧게 키스하는 모습을 보면서 둘이 레즈비언이나 바이섹슈얼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 두 명의 다른 사람이 서로를 낯설게 생각하다가 친해지는 과정을 내가 다르게 해석한 것일수도 있지만

- 아니야.. 내 생각에는 하이디랑 수잔이랑 사귀는 것 같아.

- 아. 어제 민주배우님한테 물어볼껄. 왜 이제 생각난거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뮤지컬 루나틱


2016. 4. 1. - 8. 28.


캐스팅

굿닥터 김사랑, 장다경, 정민경, 윤새론, 박시하

나제비 박삼섭, 지인규, 임기평, 박승빈, 이민성

고독해 문정비, 백은실, 진세인, 전보영

정상인 곽영신, 백종민, 이승욱, 김남용, 김윤후

 

 

 

꽤 오래전에 초연공연을 올린 뮤지컬 루나틱은 꽤 오랫동안 대학로의 한 자리를 차지하다 공연장이 없어졌다.


나도 2007년에 공연을 보고, 이번 재공연을 다시 보았으니 거의 10년만에 대학로에서 다시 공연을 보게 된 것이다.


많은 사람이 루나틱이 재미있다고 말하지만, 나는 루나틱이 슬프다고 말하고 싶다.


희극과 코디미, 과장된 연극으로 덧칠하고 있지만 루나틱의 이야기는 비극 그 자체이기 때문이다.


이 세상에서 정신이 나가버린 사람.


정상인의 "대학을 졸업해도 취업하기 힘들고 숨만 쉬고 살아도 돈 100은 필요하다. 이런 세상에서 내가 미친거면, 우리가 모두 미친거다."라는 외침에 사실 모든 의미가 들어있다.

- 정상인을 미치게 한 것은 성공에 대한 삐뚤어진 욕망이 아니라, 숨만 쉬고 살기도 힘든 세상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제비" "고독해" "정상인"이 한 행동이 옳다고 생각하지 않아도, 이 세 명이 미치게 만든 기폭제 역할은 한국이 한 거다.


희극으로 덧칠한 사회의 비극. 우리가 변해야 바꿀 수 있다.

- 코미디 보고 와서 급진지. 사회비판.


내가 진짜 후기를 진지하게 쓰고 있지만, 사실 뮤지컬 루나틱은 상당히 재미있고 웃으면서 볼 수 있는 공연이니 맘 편히 공연보러가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뮤지컬 끝이 좋으면 다 좋아


원작 셰익스피어


2016. 1. 7. - 2. 28.


대학로 JH아트홀



이틀 연속 셰익스피어 원작인 공연을 보게 되었다.

[끝이 좋으면 모두 다 좋다]는 낮은 신분으로 남편에게 버림받은 여인이 지혜롭게 대처하여 남편의 사랑을 얻는다는 내용인데, 원작에서는 프랑스였던 배경을 구한말 경성으로 바꾸어서 공연을 진행하였다.

그냥 희곡 자체로만 따지자면, 아내를 버린 남편이라는 놈이 결혼한 여자 버리고 전쟁터로 튄 데다가 전쟁터에서 여러 여자 따먹으려 하고, 잠자리를 하고 혼인을 약속한 다음 토끼는 행각을 하는데 진짜 나쁜놈이다.

도대체 끝이 좋으면 다 좋다고 끝내는 것이 마음에 안 든다.

끝이 좋으면 뭐 하냐? 과정이 개판이고 막장이고 엉망인데.
- 셰익스피어가 인간의 속임수/배반/성욕에 대한 것을 희극적으로 다루려고 만든 극이기는 하나, "남편새끼"는 진짜 마음에 안 든다.

그래도 셰익스피어의 거의 모든 작품에서 여성이 (그 시대상황 기준으로 보았을 때) 상당히 도전정신이 강하고, 독립적이며, 지혜롭게 행동하는 것은 좋다.


오늘 본 연극으로 따지자면, 소극장이고 음향이 안 좋은 것은 이해는 하지만 그렇다고 목소리까지 녹음된 AR파일을 틀면서 공연하는 것은 매우 이상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 공연 시작하면서 노래가 나오는 데, 목소리가 이중으로 들려 순간 놀랬음

마이크라도 준비해서 방법을 쓰던가 아니면 뮤지컬로 만들지를 말든가.

그리고 분명히 시대적 배경인 구한말이기는 한 것 같은데, 일본과 합병 이후인지 이전인지 애매모호한 시대상황 정리를 좀 해주었으면 한다.
- 왕이 고종인데, 순종인데.

왕이 살아있는데, 계속 만주에서 독립운동을 하고있다고 한다.
- 아직 왕이 있고 합병 전이니까 따지면 만주에서 독립운동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한일합병반대운동이라고 해주시던가.

한국 연극/뮤지컬/대학로 바닥에 대해서 모르는 것도 아니고 배우 7명에 연출, 안무, 조명/음향 오퍼 등등등 많은 사람이 공연 하나 올리느라 힘쓰는 것은 익히 잘 알고 있다.

노래가 내 마음에 안 드는 것은 개인취향이라 생각하고 넘어가고, 내용이 마음에 안 드는 것은 셰익스피어가 막장으로 극을 전개한 것이니 극단 탓을 하고 싶지는 않다.

그래도 음향의 AR파일과 시대적 배경에 대해 소홀함이 느껴지는 대사에 대해서는 문제제기를 하고 싶다.

다음 공연을 하게 된다면 꼭 MR파일을 준비해주고, 시대상황 정리를 해서 공연을 해주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뮤지컬 [그 여름, 동물원]

 

2015. 12. 18. ~ 2016. 01. 10.

 

동숭아트센터 동숭홀

 

 

김광석을 기억하며 만들어지는 뮤지컬이 많이 생기고 있다.

[바람이 불어오는 곳], [그날들] , 그리고 이번에 초연을 하는 [그 여름, 동물원]

 

김광석과 동물원의 음악이 힘이 커서, 뮤지컬의 내용보다는 음악이 더 기억하는 공연이었다.

 

좋은 음악은 영원하다. 사라지지 않는다.

 

김광석은 자살을 하였지만, 그의 음악은 영원히 죽지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뮤지컬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2015/11/13 ~ 2016/01/31

샤롯데씨어터

 

캐스팅

스칼렛 오하라 - 김지우

레트 버틀러 - 신성우

애슐리 윌크스 - 정상윤

멜라니 해밀턴 - 오진영

마마 - 최현선

노예장 - 최수현

벨 와틀링 - 난아

 

스칼렛 오하라가 남성의 일이라 생각되는 목재소 운영을 진보적이고 전투적으로 운영한 사업가였으며, 매우 성공적으로 그 일을 한 것은 부각되지 않았다.

- 심지어 타라 농장 운영도 잘 했으며, 타라를 친입한 북군 병사와도 나름 잘 대화했다.

 

스칼렛 오하라가 한 일이 뮤지컬에는 거의 나오지 않은 채, 스칼렛 오하라가 여성이 애슐리 윌크스을 향한 사랑을 좇는 사람처럼 비춰진 것이 너무 화가 났다.

스칼렛 오하라가 여성으로서 한 일은 전혀 보여주지 않으니 맨 마지막에 나오는 스칼렛의 대사 "After all, Tomorrow is another day."가 무색해져버렸다.

 

멜라니 해밀턴이 나오는 장면이 적다보니, 스칼렛 오하라는 물론 다른 캐릭터에게 멜라니가 크나큰 위안이었고, 기둥이었음을 제대로 알 수 없었다.

 

1,000페이지에 달하는 책을 3시간이 채 안 되는 뮤지컬로 만드는데 한계가 있을 것이고, 한국에서 미국의 역사를 관통하는 남북전쟁에 대한 뮤지컬을 제대로 만드는 것이 어려운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에서 스칼렛 오하라와 레트 버틀러의 사랑뿐만 아니라 스칼렛 오하라가 마지막에 이야기하는 "After all, Tomorrow is another day."를 좀 더 의미있게 해주고, 스칼렛의 행동을 좀 더 부각시켜주었으면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