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혼자 있어야 시작할 수 있다 - 누구도 대신할 수 없는 삶을 찾아나선 당신에게
센다 다쿠야 지음, 이혁재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6년 4월
평점 :
절판
책의 제목이 굉장히 쇼킹할 수 있다. 개인적으로 나에게는 직장내 패거리 문화 및 갑을관계, 눈치 싸움에 지쳐 있었던 때라 한편으로는 속이 뻥 뚫리는 위안이 되었다. 하지만 냉정히 이성을 가지고 보면, 사실상 우리네 직장이라는 것이 이렇게 막나가기(?)는 어렵다는 생각이 든다. 어쨌는 나는 이 길을 가지는 못하지만, 누군가는 이런 길도 가는구나, 이런 길도 있구나 하고 마지막 보루처럼 한가지 위안을 가지고 있는 것은 분명 도움은 될 것이다.
인생에서는 옳고 그름보다 좋고 싫음이 훨씬 높은 가치를 가진다. 우리는 옳은 일을 하려고 세상에 태어난 것이 아니라 좋아하는 일을 하기 위해 이 세상에 등장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 증거로 평생 옳은 일을 하며 살아온 사람은 궁핍하고 얼굴이 어둡다. 반면 즐거운 일을 하며 살아온 사람은 부자에다가 피부에 윤기가 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옳은 인생을 살아온 인생의 정점은 대법원장 정도다. 기껏해야 연봉 5천만 엔. 반면 즐거운 일을 관철한 인생에는 정점이나 상한선이 없다. 모두가 알고 있듯이 세계의 거부들처럼 구름 위를 노니는 인생이 기다리고 있다.
회의실이라는 곳은 회사원이 일제히 모이는 최악의 장소다. 그냥 패거리로 뭉치기만 해도 가난해지는데, 전원이 한방에 모이니 대책이 없는 것이다. 방대한 인건비와 시간이 낭비된다.
나 자신 신입사원 시절부터 호텔에서 커피 마시는 것을 매우 좋아했다.
왜 그렇게 분수 넘치는 짓을 거리낌 없이 했느냐 하면, 커피값보다 가치가 있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호텔에서 보내는 한두 시간은 마치 영화를 감상하듯 인간 드라마를 관찰할 수 있었다. 또 최상의 대접을 받을 수 있었다. 요즘 쓰는 글의 소재가 된 것들도 많다.
커피 맛은 2차적인 얘기고, 호텔 카페의 분위기를 즐기는 것이 너무도 행복했다.
특별히 권하고 싶은 것이 평일의 낮 시간대에 가보는 것이다. 외근 중에 과감히 땡땡이를 치고 가보는 것도 좋고, 유급 휴가를 내고 평일 오후의 호텔 커피를 즐겨보는 것도 좋다.
지금까지 지내던 공간에서 만나오던 사람과는 질적으로 다른 부류의 사람들이 그곳에 있음을 알게 된다.
잠시나마 지금 만나는 무리에서 벗어나 다른 세계의 공기를 마셔보는 것은 거대한 자극이다. 회사원이라는 무라 사회의 고민 따위, 한 줌의 먼지 따위로 여겨질 것이다.
지금까지 3천 명 이상의 임원들과 교류해왔는데, 일류 인사들은 대부분 남의 일에 참견하길 좋아했다. '참견'이란 단어가 나쁜 어감을 줄지도 모르겠지만 그렇지 않다. 애정이 깊고, 누군가를 도와주려는 사람을 말하는 것이다.
그도 그럴 수밖에 없다. 일류들은 이미 지위 명예 권력 등 모든 것을 얻었기 때문에 이제 자신의 성공보다는, 남을 성공시키는 것에 더욱 큰 관심을 갖게 된 것이다. 자신의 성공 방정식이 정말로 옳은지, 타인에게 전수함으로써 확인하고 싶어지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