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디 히트 DE
로렌스 카스단 감독, 리차드 크레나 외 출연 / 워너브라더스 / 2008년 5월
평점 :
품절


팜프파탈은 흑백 고전 영화에서부터 줄곧 영화 속 남자배우를 힘들게하면서 지금까지도 관객에게 어필하는 매혹적인 요소다. 그것이 꼭 '남자의 유혹적인 대상으로서의 여자'라는 겉으로 드러난 설정보다는 더 근본적으로 욕망이 인간을 이끄는 어떤 과정과 닮음이 있다.

운좋게도 아리땁고 신비감이 있는 여성을 만났다(너무 나이가 많지 않으면 더 운이 좋은거다).

그 여자도 자신에게 호의적이다. 살짝 미소까지 곁들이면서..(처음에는 쌀쌀맞게 대하는 경우도 있다)

그 여자의 매혹에 빠진다. 그리고 나서 남자는 비일상적인 일 또는 경험을 한다.

뭔가 댓가가 따른다.

즉 매혹의 범상치 않음에 비례해서 그 안에는 '얼룩'이 존재하는 것이다. 정말 무사히 아무일 없이 거저 그 매혹의 여성을 얻는다면, 그 싱겁기만 하고 달콤한 영화가 무슨 긴장과 매력이 있을까?

다만 남자는 그 얼룩에 미끄러져서 크게 다치던가, 아니면 비틀 비틀 하다가 겨우 중심을 잡고 자신이 겪었던 그 미스테리한 현실을 씁쓸하고 굳은 표정으로 '이해'하는 시간을 가져야 한다.

팜프파탈에는 '성'은 내재한 채로 함께 움직이는 것이다. 그러나 이 영화는 그 성적 코드를 시각적으로도 노골적으로 드러낸다. 이것이 과거 그러한 영화들과 다른 곁가지를 치는 부분이기도 하다.

이 영화를 보면, 우리가 보아 온 영화들에서 숨가쁜 화면으로 담았던 장면들과 비슷한 것을 발견하기도 할 것이다. 즉 한 사람의 정체가 벗겨지는 대목에서 말이다. 이 영화에는 그런 현대적 팜프파탈의 원형들이 숨어 있다.

캐서린 터너와 윌리엄 허트의 젊은 모습을 만나보는 것도 재미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입] Led Zeppelin - How The West Was Won(Live)
레드 제플린 (Led Zeppelin) 노래 / Atlantic / 2003년 7월
평점 :
품절


제플린이 맹활약을 할 때, 우리는 너무 어렸다. 커서 귀가 갓 트이고 음악을 듣다, 하드락의 거인들을 만날 때, 거기 맨 앞에서 샤우트로 울려대는 이들이 있었으니, 그들이 바로 레드제플린이었다.

그래서 그들을 듣기에 우리 귀가 맹활약할 때, 윙윙 거리는 묵중한 제플린호의 비행음은 과거의 것들이었다. 그 과거를 탐닉하느라  우리 젊음의 한쪽은 붉게 충혈되지 않았던가?

하늘 어디에서도 제플린호의 생생한 모습은 없는데, 그후로도 어디선가 그들의 소리들이 새어 나오기 시작한다. 저 땅 밑 균열에서 꿈틀거리는 노이즈-기타음에 묻어나는 흙냄새처럼 말이다.

제플린의 과거 또 하나의 신음이 들리는 것이다. 

앨범 제목은 누가 붙였는지 너무 도발적이지 않은가? How The West Was Won

유독 제플린에게서 라이브 앨범에 대한 아쉬움이 컸다. 활동할 당시에 고작 하나였고, 해산 후에도 BBC 세션으로 나온 것이 전부였다. 이번에 나온 이 앨범은 정말 기대하지 않았기에 더욱 커다란 방울처럼 느껴진다. 거기다 그 전의 라이브 앨범의 어떤 결핍을 채워주는 구석이 있다. 물론 그렇다고 제플린 최고의 라이브가 담겼다는 것은 아니다. 각자 다른 색깔과 힘을 가졌으니 말이다.

한마디로 그들 라이브의 생생함과 박진감이 가장 잘 살아 있다. 특히 라이브 음악의 묘미인 관중들의 함성, 교감하는 열기가 잘 교차하고 있다. 그래서 더욱 입체감 있는 뚜렷한 중량감을 느끼기에 좋다. 그러나 한가지 아쉬운 것은 그 입체감의 굴곡의 차가 크지 않아서 섬세함을 느끼기에는 부족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현장감을 느끼면서 감상하기엔 적절해 보인다.  

먼저 다른 라이브 앨범에서 만나기 어려웠던 곡들이 눈에 띈다. 'Bron-Yr-Aur Stomp', 'Dancing Days' 그리고 끝에 실린 'The Ocean'과 'Bring It On Home'이다. 대개 스튜디오 앨범보다 더 밝은 느낌을 준다. 특히 ''Bring It On Home'은 원곡에 비해 중간 부분이 길게 연주되는데, 강약의 윤곽이 잘 드러나 있다.

'Over The Hills And Far Away'는 어쿠스틱한 진행에서 드럼과 함께 강렬해지는데, 보컬 음색이 강렬하면서도 여린 끝맛을 내준다. 로버트 플랜트의 보컬이 단순한 힘을 가진 샤우트 창법이 아니라, 강함에도 여러 색깔을 가지고 그것을 곡 분위기에 맞게 조절하면서 발산한다는 것을 새삼 알게 해준다. 'Since I've Been Loving You'는 다소 블루스한 맛을 줄이고 좀 들뜬 느낌인데, 축 늘어진 감기는 맛은 덜하다.  

'Stairway to heaven' 역시 전체적으로 들뜬 힘이 느껴진다. 다른 라이브에서와는 달리 길게 끌지 않고 적당한 시간 동안 박진감 있게 연주된다. 다만 보컬이 같이 실린 다른 음악들에 비해서 약간 고음을 주저하는데, 마지막 클라이막스 부분에서 고음을 계속 유지하지 않고 한번 숨고르기 하듯 낮게 부르는데, 그것도 또 하나의  특색 있는 라이브 버전으로 받아들여도 좋을 듯 싶다.

25분이 넘는 대곡 'Dazed And Confused'는 야드버즈에서 이어지는 제플린의 힘줄과도 같은 곡인데, 라이브 앨범에서 'Whole Lotta Love'와 함게 빠질 수 없는 곡이다. 특이하게도 중간에서 지미 페이지가 활로 기타를 연주하는 부분은 국악 악기 비슷한 소리로도 들린다. 우주적 굉음으로까지 이어지는 지미 페이지의 연주에 존 본햄의 육중한 드럼이 가세하면 아! 하는 감탄이 절로 나온다. 그러자마자 곧 터지는 급박한 하드락의 진행이 잠시 잠자던 흥분을 불러 모은다. 마치 사무놀이처럼 휘몰아치는 연주는 어느새 'The Crunge'를 살며시 삽입해서 산뜻한 전환을 이룬다. 그리고 다시 처음과 수미쌍관하는 마무리까지..  이렇게 한곡에다 맛깔스럽게 힘을 조이고 펴는 재주는 너무도 제플린다운 위력이다.

지금 현재에서 제플린을 향유하는 재미 - 특히 이 라이브에 담긴 그들의 박진감 넘치는 힘은 과거에서 뿜어져나옴에도 불구하고 너무도 생생하고 현실적이지 않은가?

그들을 탐닉하는 걸 멈추긴 힘들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탄트라
게오르그 호이에르슈타인 지음, 이태영 옮김 / 여래 / 2006년 5월
평점 :
품절


게오르그 호이에르슈타인(Georg Feuerstein)은 이 분야에서 유명한 학자(인도학 박사)로, 직접 요가 수행을 하는 걸로 알려져 있다. 원서 제목은 <TANTRA-The Path of Ecstasy>로 옮긴이가 밝혔듯이, 완역이 아니라 일부분은 제외하고 옮긴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번역본을 포함해서 '탄트라'에 관해 학자의 시선으로 제대로 다뤄진 책으로는 매우 드문 경우에 속할 것이다.

저자가 이 책에서 강조하듯이, 탄트라는 실천의 지식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탄트라만의 어떤 독특한 '계승', 즉 스승과 제자의 어떤 (직접적인) 연결 고리 또한 중요하게 여겨진다(이것은 요새 대학에서의 교수와 학생의 관계하고는 다르다).그래서 글쓴이는 조심스럽게 탄트라에 관하여 쓸 수 밖에 없는데, 이러한 문자(책)을 통해서는 간접적인 지식 전달에 그침을 알기에 그러하다. 그래서 이 책은 바로 탄트라의 세계로 뛰어드는 것을 독려하기 보다는 그러한 본격적인 공부에 앞서 이론적인 준비, 그러한 미지근함을 자극하는 책에 가깝다.

또한 여태 탄트라에 대한 거대한 오해를 바로잡아서 제대로 전달하려는 의지도 엿보인다. 탄트라는 인간과 인간을 둘러 싼 세계에 대한 거대한 실천지향적인 지식임에도 불구하고, 특정 부분만을 유독 거론하거나 거기에 집착하는 현상(사회 일탈적인 행위라든가 서양에서 유행하는 성과 관련된 명상 등)들이 있다. 그것은 탄트라의 문제라기 보다는 탄트라에 대한 일반 사람들의 무지가 클 것이다. 그러나 한편, 탄트라의 지식이 일반 사람들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 상황도 우리는 한번 점검해야 할 것이다. 그것이 그렇게 간단한 일이 아님을 알지만-왜냐하면 탄트라의 특성상 그 지식이 낱낱이 펼쳐짐이 오히려 위험할 수 있기에 그러하다. 탄트라 자체로 볼때, 그들의 지식 체계는 상식적이지만, 서양 학문의 입장에서 볼 때, '신비적인' 요소도 있기 때문이다. 즉 탄트라는 수행(실천)이 결부되어야 거기에 조율되어 적합한 지식이 열리는 '중층적인 지식-수행 체계'이기에 우리의 평면적인 요구로 제단하는 것도 무리일 수 있다(노장 사상은 물론 유가, 양명학 등 동양 철학에는 공통적으로 그러한 배경이 깔려 있다. 서양 학문으로 채색된 지금의 눈으로는 그러한 것들이 왜곡되어 이론 부분만 편향적으로 받아들여지기도 한다).

하여튼 이 책은 탄트라 전반에 대해 이미 익숙한 설명의 반복 보다는, 저자의 연구 성과들이 간결하면서도 선명하게 잘 정리되어 있다. 특히 다양한 그림과 사진들이 참고에는 물론 시각적 재미도 함께 준다. 번역도 깔끔하고 용어들도 산스크리트어를 같이 표기해서 학문적인 엄밀함을 느끼게 한다(보면서 발견한 작은 실수(오자)가 있는데, p.203 끝줄에 '의미를 '은 '의미를 '의 오자로 보인다).  

탄트라는 오래 전에 일어난 독특한 지식?체계이다. 그러나 거기에 담긴 긍정적인 세계관과 몸과 정신을 연속적으로 파악하는, 그리고 그것이 세계로 향하는 실천성은 지금도 충분히 도드라지게 할 가치가 있다고 보여진다. 그러한 뉘앙스를 현대 지식에 확장시켜 아우른다면 생기 있는 새로운 학문이 생겨날지도 모를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엑소시스트 (1disc) - 할인행사
윌리엄 프리드킨 감독, 린다 블레어 외 출연 / 워너브라더스 / 2007년 12월
평점 :
품절


어릴 적에 엑소시스트를 아마 여러 번 봤을 것이다. 그러나 어린 소녀의 입에서 나오는 거친 욕설과 이상한 액체 등이 강한 기억으로 남았을 뿐, 영화 전체를 쭈욱 따라가며 감상한 흔적, 하나의 긴 맥락은 남아 있지 않았다.  그래서 이번에 처음부터 끝까지 제대로 감상하는 경험을 가졌다.

이런 심령영화(엑소시즘, 퇴마)의 초기작에 속함에도 불구하고, 서둘지 않는 노련미가 있다. 즉 결정적인걸 어디서 얼만만큼 보여줄지를 절묘하게 골라내고 있다. 그로인해 영화 앞부분이 느슨하고 지루해질 수 있는데, 이 영화가 선 보인 시기가 70년대 초임을 감안한다며, 그리고 이런 영화가 부재한 상황이라면 '충격 효과'를 제대로 달성하기에는 좋은 방법이었을 것이다. 지금 그런 식으로 영화를 만든다면, 아마 관객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기는 힘들 것이다.

시각적인 면에서도 그렇기도 하지만, 이 영화가 충격적인 것은 관객이 예상하는 순간보다 느리게 혹은 너무 빠르게 뭔가를 선사한다는데에 있는 것 같다.  소녀가 악령에 쓰인 걸 관객은 눈치채지만, 영화에서 엄마와 의사들은 기존 상식의 범위 안에서 그것을 해결하려 애쓴다. 뇌 안의 어떤 육체적 원인에서부터 정신병의 여부로. 그래서 첨단 의료 장비를 통해서 그 원인을 찾느라고 헤멘다. 그런 헛다리 짚는 첨단 과학의 행동들을 관객은 답답한 시선으로 기다려야 한다. 그러다 정신과 의사들이 마지못해 권하는 제안이 '주술의식'?이다. 그것이 신빙성이 있어서가 아니라, 간혹 그런걸 믿는 환자들에게 심리적으로 효과를 줄 수도 있다는 것이다. 환자의 가짜 믿음엔 가짜가 효과적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영화가 시작하고 오래 지나고 나서야, 우리는 젊은 신부와 소녀가 대면하는 장면을 보게 된다. 그리고 나서 영화는 빠르게 이 분야의 전문가로 통하는 늙은 메린 신부까지 불러 들인다. 악령에 제대로 씌인, 악령이 장악한 소녀와 두 신부와의 만남. 그리고 엑소시즘이라는 일종의 퇴마의식이 차가운 입김과 함께 시작한다.  

영화 맨 앞부분에 이라크 유적 발굴 현장에서 메린 신부가 악마의 상징물을 발견하고 나서, 그 불길한 조짐이 분명 현실화될것임을 우리는 예상했다. 그 지점이 바로 아주 뒤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지루하게 기다렸으니, 그들의 만남에서 불꽃튀는 한판 대결이 있을 법도 한데, 그 무서운 장면들을 대비하면서 호흡 조절을 하는 관객의 바램을 영화는 보조를 맞춰주지 않는다. 잠깐 하는 사이에 메린 신부는 싸늘하게 죽어버렸고, 젊은 신부가 그것을 발견하자 마자 소녀의 악령은 그에게 전이된다. 신부의 얼굴에 악령의 모습이 깜빡일때, (관객이 이게 뭔가? 좀 생각을 더듬기도 전에) 그 신부는 너무나도 빠른 판단과 그 권투로 다져진 운동신경?을 발휘해서 창밖으로 뛰어든다.  그래서 공포를 즐기지도 못하고 공포의 빠른 습격, 그것도 카운터 펀치라기 보다 적절한 잽에 불쾌한 타격을 맞은 꼴이 되버렸다.

바로 그러한 묘한 불일치가 개운하지 않은 맛을 주고, 이 영화가 주는 어둑 어둑한 뒤끝으로 남는다. 그래서 이 영화가 지금에서 보면, 그렇게 강한 시각적 공포를 조장하지 않고서도(물론 그 당시에는 파격일 수 있지만) 뭔가 심리적으로 무거운 공포의 잔상을 남기는지도 모른다. 

덧붙임: 어린 소녀의 아빠는 로마에 있다. 즉 소녀에겐 아빠가 부재하다. 그런데 소녀가 위험에 처했을때, 다른 아빠가 찾아온다. 파더, 바로 신부(Father)다. 아빠가 없는 소녀에게 파더들이 구제하러 오는 것이다. 여기에 담긴 미국 사회에 대한 메타포도 흥미롭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Led Zeppelin 2
레드 제플린 (Led Zeppelin) 노래 / 워너뮤직(WEA) / 1996년 5월
평점 :
품절


이 앨범은 레드제플린에게는 물론 락음악사에 하나의 싱싱한 (에너지가 담긴) 씨앗과도 같은 앨범이다. 다른 앨범들에 비해 쟈켓이 밋밋하긴 하지만, 그 투박함처럼 어떤 이쁘장한 꾸밈보다는 힘 자체의 강약과 실험성이 있다. 첫 앨범 발표 후 같은 해(69년)에 빠르게 만들어진 것으로, 제플린이 고공에 띄워진 후 어떤  강한 (음악 분출의) 탄력을 받던 시기임을 짐작할 수도 있다. 

이 앨범에서 가장 빛나는 곡은, 첫 곡 'Whole Lotta Love'와 'Heartbreaker'이다. 이 앨범를 이끄는 쌍두마차와 같은 역할을 한다. 'Whole Lotta Love'는 지미 페이지가 엔지니어 에디 크레이머(Eddie Kramer)와 함께 '저음역대 주파수'를 활용해서 만든 공간의 입체성이 돋보이는, 그 당시로는 파격적인 음악이다. 'Heartbreaker' 는 하드락의 진행에 있어 인상적인 하나의 숨통을 열어줬다고 보이는데, 고조되는 긴장감과 적당한 공격성이 숨가쁘게 클라이막스 골을 만들고 그것을 다시 가뿐하게 넘어서는 듯하다.

특히 이 앨범에서는 어쿠스틱 진행과 중간 중간 힘의 강한 증폭이 어우러지는 곡들이 눈에 띈다.  'What Is and What Should Never Be', 'Ramble On'과 다소 컨트리풍이 느껴지는 'Bring It on Home' 등 말이다. 가볍게 시작하다 급박한 반전을 품은 곡들이다.

그 외에도 제플린 특유의 서정이 담긴 'Thank You'와 흥겨운 'Living Loving Maid (She`s Just a Woman)'와 존 본 햄의 드럼 솔로가 담긴 'Moby Dick' 등, 제플린의 다채롭고 젊은 힘의 향연이 담겨 있다.

마치 제플린호의 팽팽한 몸통처럼 그리고 고공 비행이 주는 저 아래에서 느낄 두려움! 

제플린이 곧 투하할 여러 폭탄(음악)들을 묘한 공포감을 가지고 기다리게 만드는 앨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