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 강의
남회근 지음, 신원봉 옮김 / 문예출판사 / 1999년 9월
평점 :
절판


금강경(金剛經)은 소박하게 바로 눈 앞에서 뭔가를 내 놓는다. 근사한 (철학적인) 현학으로 심오함을 보일듯 말듯 우회적으로 번거롭게 펼쳐놓질 않는다.

그래서 어찌보면 싱거울 수도 있다. 대단한 경전이라 들어왔는데, 금강의 빛처럼 눈을 사로잡는 그리고 읽는 사람을 압도하는 무엇인가가 있겠지 하는 기대가 있었다면 말이다.

그러나 희미하게나마 왜 금강경을 위대한 경전으로 여기는지 알것도 같다. 금강경은 중생에게 무엇인가를 얹어주려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것을 집착하고 자기 몸에 축적하려는 욕망을 바로 보게 하려는 방편을 지닌 경전으로 보인다.

유(有)에도 눈길을 주지 말고, 그렇다고 공(空)에도 빠지지 말라는 것이다. 사고의 구성작용에서 벌어지는 유와 무도 결국  有의 또다른 놀음이지 않겠는가? 남회근 선생이 강조하듯 금강경 어디에도 空이란 말은 없다. 즉 금강경은 나중에 잘못 알려진 대로 공을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공에 집착하는 거 조차도 경계해야 함을 강조한다는 것이다. 

구마라습 한역본을 가지고 남회근 선생은 소명태자가 나눈 32분(分) 순서대로 정말 자세하고 친절하게 우리와 함께 금강의 빛을 나누고 있다. 특히 여러번에 걸쳐 "생각을 잘 보호하고(善護念), 집착하지 않으며(無著), 상을 갖지 않음(無相)"의 자세를 일러 주고 있다.

나는 금강경을 읽기 전에는 '금강'에서 어떤 단단함을 연상했으나. 읽은 후에는 '매끄러움'이라는 이미지도 덧붙이게 되었다. 즉 어떤 먼지나 잡티도 내려 앉을 수 없는, 그러한 단단하고 매끄러운 금강의 모습. 이것이 금강경에 대한 나의 첫맛이다.

책 끄트머리에 남회근 선생은 앞서 길게 강의한 내용을 다시 한번 요약해서 정리해 주는데, 독자(중생, 대중)를 끝까지 염려하고 살피려는 모습으로 보인다. 이게 바로 큰선생의 면모가 아닐까?  그리고 역자(신원봉)도 우리말로 잘 다듬어서 옮겨 놓았다. 특히 본문에서도 주요 문구는 괄호 안에 원문(한자)을 꼼꼼하게 병기해서 한글과 한문을 편리하게 대조해가며 읽을 수 있게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불교와 분석철학 - 분석불교의 모색
홍성기 지음 / 우리출판사(서울출판) / 2006년 10월
평점 :
품절


저자(홍성기)는 독일에서 분석철학 관련 논문을 준비 중, 한 논리학 세미나에서 용수(龍樹, 나가르주나)라는 이천 년 전 인물을 처음 접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것이 결국 그의 학문 방향에 또 하나의 무거운 색을 얹는 계기가 되었을 것이다.

이 책은 과거에 발표한 글과 새롭게 추가한 글들의 모음이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용수와 비트겐슈타인의 입김이 서려있다. 따라서 <중론(中論)>과 수리철학, 논리학에 대한 어느 정도의 지식이 필요하다. 아마도 이 책을 처음부터 끝까지 거뜬하게 읽을 사람은 드물 것이다. 나 역시도 읽을 수 있는 것만 골라서 몇 군데 봤을 뿐이다.

'용수의 연기설 해석과 부정의 의미', '연기와 시간' 그리고 '중론의 경계비판과 데데킨트 절단'은 특히 용수와 <중론>과 관련된 글이고, '인공지능과 인간의 마음', '분석불교의 모색'에선 비트겐슈타인이 자주 언급된다. 괴델과 관련된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증명된 신화?'는 어려워서 보다 말았다. 좀 특이한 제목을 가진 글인 '연기설의 관계론적 해석에 기반한 음양오행론의 재구성'은 독창적인 글로 보인다. 일단 불교의 연기(緣起)와 오행론을 같은 장(field)에 놓고 재구성한다는 거 자체가 신선한 발상이다. 오행은 서양의 요소 개념과는 달리 과정의 측면이 강하다. 이러한 상생 상극의 행(行)에 초점을 두고 내재적인 면과 외재적인 면을 통해 입체적으로 다루고 있다.

이렇게 다소 어려운 글들이지만, '동 서의 복잡계 모형', '분석불교의 모색', '연기와 시간' 그리고 '인공지능과 인간의 마음'은 그래도 (이 책의) 다른 것들에 비해서는 수월한 편에 속한다.

잘 모르고 또 눈에 띄지 않는 책이지만, 오랜만에 실력을 갖춘 우리나라 학자의 책을 만나서 반가웠다. 그리고 앞으로 배워야 할게 많다는 것을 절실하게 느끼게 하는 책이다.

책 본문에 앞서 멋진 글귀가 있어 옮겨 본다[짠드라끼르띠(Candrakīrti)는 월칭(月稱)이라 불리기도 하는데, 중론의 주(註) <쁘라산나빠다>가 유명하다].

 

통찰력의 강렬함으로

상대방의 惡見을 등잔의 기름 삼아

인간의 마음속의 어두움을 밝힌 자.

-Candrakīrti-


댓글(3)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드무비 2007-01-29 15: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렵다고 하시니 아예 엄두도 안 나지만 '연기와 시간' 편은
읽어보고 싶네요.

TexTan 2007-01-29 18: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 시간 되시면, 대형 서점에서 훑어 보시는 것도 좋겠군요..

TexTan 2007-01-29 18: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리고 저한테는 어려운 글이었지만, 분석철학에 관심 있는 분들한테는 그렇지 않을거 같기도 합니다. 그리고 홍성기 님의 글은 인터넷에서 몇개 찾을 수 있더군요. '시간,경계 :세잔느,다빈치,그리고 용수'란 글도 눈에 띕니다. 검색 사이트에 가서 '용수 세잔느'로 치면 나옵니다.
 
정신분석 해체와 선심리학
이광준 지음 / 학문사(학문출판주식회사) / 2000년 3월
평점 :
품절


책 표지가 상당히 클래식하다. 70-80년대에나 나올 법한 모양과 빛깔이 아닌가?  촌스러움도 하나의 멋이고 반기고 즐기는 사람도 있겠지만 말이다.

제목을 보면, 정신분석에다 '해체' 그리고 갑자기 불교의 '선(禪)의 세계'로 넘어오고 거기서 어떤  심리학의 모양을 캐고 있다. 의욕이 앞선 거 같고, 제목을 너무 멀리 던져 버린 거 같다. 그 길다란 폭 만큼 알차게 채운다면야 좋지만, 그 시도 만큼 결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듯 하다. 

정신분석 해체 부분은 일단 데리다를 참고한 책 자체가 빈약하고 신통치가 않다. 좋은 텍스트를 고르는 데 더 신경을 썼어야 했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시간적인 순서를 밟는 개론서 성격이 짙다.

그렇다면, 이 책에 대해 슬슬 미심쩍은 기분이 들기 시작할 터인데, 그래도 나름대로 참고하기 좋은 부분도 있다. 아무래도 서양 인문학에 길들여진 대부분의 상황에서 불교의 마음 구조를 접할 기회는 적다. 이 책의 '제 3장 선심리학의 입장'아뢰야식을 중심으로 유식학에 대해 간략히 짚는 부분이, 깊지는 않지만 대충 얼개를 그리는 데 도움이 된다. 혹은 유식학에 관한 책을 보고 약간의 혼돈 상태라면 그것을 좀 더 선명하게 기본적인 개념을 정리하는데 효과가 있을 거 같다.  그리고 서양 오디프스 콤플렉스와 비교되는 불교 경전에 나오는 '아자세 콤플렉스'도 흥미롭게 볼 수 있는 부분이다. 그 외의 내용들인 선문답, (16)관법, 참선의 내용들은 다른 책에서도 볼 수 있는 부분이지만, 이렇게 하나의 책에 정리되어 있으므로 짧은 시간에 보기에는 효과적일 수 있다.

책 제목을 따라갈 만큼 내용에서 독창성이나 그다지 특이한 이론을 구경하기는 어렵지만, 제한적으로 참고할 만한 내용도 보이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가 갖고 있는 동문선 출판사에서 나온 책들을 정리해 봤다. 최근에 산 건 별로 없고, 대개 예전에 구입했던 것들이 대부분이다. 일단 방 안  책꽂이에 꽂혀 있는 눈에 닿는  책들을 가지고 리스트를 만들어 봤다. 아마 집 어딘가에 처박혀 있을 미지의 동문선 책들도 있을 것이다.  왠지 동문선에서 나온 책들 중에는 눈에 가는 것들이 많았다. 지금도 탐나는 책들이 많긴 한데, 사고 나서 금방 손이 가지는 않았던 거 같다. 책표지나 편집이 약간 보수적이라서 그럴까? 나는 표지가 따스한 색을 가진 책들을 대개 빨리 본 듯 하다.

흔하지 않은 좋은 (전문성을 갖춘) 책들을 많이 내는 거 같은데,  가끔 번역에서 점수를 깎아먹는 거 같다(가령 서양  인문 번역서들).  그런데 알라딘에는 왜 이다지도 동문선 책표지들이 없는 것일까?

 

 

 

 

                 이미지, 시각과 미디어                                                   원시미술

존 버거 책에 대해 평들이 좋은데, 나는 별 재미는 못 본 거 같다. 그렇다고 집중해서 곱씹으면서 보지도 않았으니, 다시 한번 음미를 해보는 것도 좋겠다. <영화의 환상성>은 프랑스 장 루이 뢰트라(Jean-Louis Leutrat)의 책으로 영화에서의 환상-그 깃듬에 대해 카메라의 활용이나 미쟝센, 음성 등을 통해 접근한다. 특히 '환상성의 문양들'(문양이란 표현이 약간 의심스러운데, 적절한 번역인지는 확인할 도리가 없다)이라는 제목을 가진 2장에서는 피, 문, 거울, 고양이, 초상화, 조각상, 창문 등 여러 가지 문양이 영화 안에서 어떤 환상의 효과를 창출하는 지 보여준다. 또 자크 투르뇌르, 토드 브라우닝, 테렌스 피셔 등 여러 감독들의 고전(대개 호러) 영화들에 대해서도 살펼 볼 수 있다. 레오나르도 아담의 <원시미술>은 많은 미술에 관한 책들하고 차별성을 갖는데, 현재는 절판인거 같다.

 

 

 

 

 

조선무속고   조선무속의 연구                                 조선의 귀신

 민족의식이 왕성할 때, 우리것에 대해 알고 싶은 마음에 이런 책들도 구했었다. <조선무속고>를 지은 이능화(李能和)는 <백교회통> <조선여속고> <조선도교사> <조선불교통사> 등 우리나라 종교문화에 대한 굵직한 연구서들을 냈다(친일 학자라는 논란도 있는 것으로 안다).  무라야마 지쥰(村山智順)(조선총독부의 촉탁[囑託])의 조선 종교나 무속에 관한 책들(<조선의 귀신> <조선의 점복과 예언>)은 일제시대 정치적인 (순수하지 못한) 의도로 조사된 것이지만, 그러한 것들을 감안하고 본다면, 그 꼼꼼한 자료들은 그냥 제쳐두기엔 아까운 면이 있다.  

 

 

 

 

인도종교미술    힌두교의 그림언어  만다라의 신들  여신들의 인도

심볼, 도상 같은 상징체계에 대한 관심이 많은 편이다. 만다라(曼茶羅, Mandala)에 대해서도 그러한데, 아마 우리나라에서는 김용환의 <만다라 - 깨달음의 영성세계>가 한자가 많기는 하지만, 가장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다루고 있지 않나 생각이 든다. 대원사(빛깔있는 책들)에서 나온 홍윤식의 <만다라>는 얇은 책이지만, 만다라에 대해서 효과적으로 살필 수 있게 꾸며졌다. 사진이나 도표도 적절해서 처음 입문서로 괜찮아 보인다.   <인도종교미술>아지트 무케르지라는 인도학자의 책인데, 이쪽 분야에 관한 책이 여러 권 동문선을 통해 번역되어 있다. <힌두교의 그림 언어>는 두 명의 독일 학자들의 책인데, 좀 수월하게 힌두교의 아이콘들에 대해 접할 수 있게 구성되었다. <만다라의 신들><여신들의 인도>는 짝이 맞는 비슷한 맥락의 책으로 저자도 같다. 본문의 사진들이 선명하지 못해 답답함을 주지만, 그림을 통해서 그것을 보완하고 있다. 이런 종류의 책도 드문 편이라 관심이 있다면 소장할 만한 책으로 보인다. 만다라는 융(Jung)이 특히 관심을 가졌는데, 수잔 핀처 같은 사람에 의해 미술치료로도 연구되고 있다.

 

 

 

 

 

                               군달리니       탄트라 - 미술판      탄트라        카마수트라

 위에서 말한 아지트 무케르지의 <군달리니><탄트라>란 책이다. <군달리니>는 대개는 '쿤달리니(Kundalini)'라고 불리는 인도 요가의 한 종류이기도 하지만, 몸 안에 뱀의 형상으로 감겨진 에너지를 뜻한다. 저자는 단지 학문적인 접근(따라서 생리학이나 사상적인 배경 등 이론 부분에 치중하는데, 이것이 오히려 이 책의 장점일 수 있다)으로 다루고 있지만, 기본적인것에서부터 전문적인 내용까지 다양한 그림과 도표를 활용하면서 골고루 담아내고 있다. <밀교의 세계>는 개론서 성격을 벗어나 평이하게 쓰여진 책인데, 전에 출판사 고려원에서 나온 걸 약간 손 본거 같다.  

 


 

 

 

중국예술정신     중국문화개론      화하미학               하상         동북민족원류        역과 점의 과학

 여기는 책표지들이 다 전멸이다. 중국 문화에 대해서 깊은 관심은 없지만, 앞으로 보게 될 거 같아 미리 구입해 둔 책들이다. <동북민족원류>는 꽤 오래전에 본 책인데, 요새 동북공정이니 해서 중국의 역사관에 대해 경각심이 큰걸로 아는데, 이 책에도 그러한 중국인의 시각을 엿볼 수 있었다. 그때는 이런 시각이 생소해서 약간 당황했었던 기억이 난다. <역과 점의 과학>은 일본인 학자의 책인데, 동양과 서양의 시간, 달력 등에 대해 꼼꼼하게 잘 다루고 있다.

 

 소설은 <벽오금학도>가 유일하다. 이외수 소설을 좋아하진 않지만, 이 책은 예전에 재미있게 읽었다. 무술에 관한 <권법요결>하고 <소림사..>로 시작하는 책도 산 거 같은데, 어딨는지 모르겠다. 그리고 <운기학설(運氣學說)>이란 책도 앞으로 볼 생각으로 미리 사 둔건데, 알라딘에는 아예 책 정보가 없다.

 

 

 

==================================

위 리스트 설명 내용에 포함된 이능화와 만다라에 관한 (타 출판사의) 책들

 

 

 

   이능화의 책들

 

                                 조선해어화사        백교회통       조선여속고

 

 

 

  만다라 책들

 

만다라 - 깨달음의 영성세계  만다라

 

만다라 미술치료에 관한 책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큐라 2008-01-24 00: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글 잘 읽고 갑니다. 저는 '신의 기원'이 꽤 좋았습니다.

TexTan 2008-01-25 18: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 동문선에 좋은 책들이 많죠. 가끔 번역에 문제가 있다는 소리가 들리기도 하지만..

zeitgeist 2008-07-15 13: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대단하십니다. 뭐시는 분이에요? 어떻게 이렇게 시간을 내서 책들을 읽을 수 있죠..? 시간이 많이 남으시나.. 그게 궁금해요.
 

 

            나랑 있어줘...

            Be With Me

    

               내 곁에 있어줘..

               Be With Me

 

                                   

싱가포르 출신의 에릭 쿠(Eric Khoo) 감독의 영화를 봤다.

전에도 내가 싱가포르 영화를 본 적이 있던가?

이 영화를 다 보고 나서 받은 느낌은, 영화를 봤다는 것이다. 영화를 보고 영화를 봤다는 느낌이 나는 영화는 꽤 드물다.

아마도 어떤 사람에겐 드라마시티나 베스트셀러극장 같은 TV용 드라마로 여겨질 수도 있겠지만.. 혹은 이 지루한 영화 덕분에 불면증임에도 불구하고 잠을 곤히 잤다던가..

 

마치 느즈막한 오후에 잠깐 비가 내리고

뭔가가 씻겨 내려간 듯..

영화를 보는 사람의 가슴에서도 비슷한 일이 일어나는 거 같다.

 

착한 뚱보 남자, 그리고 김지수를 닮은 눈이 슬픈 여자..  탤런트 신구가 생각나는 할아버지..

주인공은 그들의 아픔일테고,

상처난 구멍을 가진 사람들,  그것이 혼자에겐 고통이지만, 서로 마주보면 하나의 의지가 되고 희망이 될 수 있지 않을까?  귀먹고 눈먼 할머니의 손길처럼..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로드무비 2007-01-29 15: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님의 말씀처럼 뭔가가 씻겨져 나간 듯 청량하고 먹먹한 영화였어요.^^

TexTan 2007-01-29 18: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비슷한 느낌을 받으셨다니 저도 기쁘군요. 좋은 영화 있음 가끔 소개좀 부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