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로 만든 사람들
살바도르 플라센시아 지음, 송은주 옮김 / 이레 / 2007년 3월
평점 :
절판


아내가 떠났다.어린 딸을 남겨 두고...
자신의 야뇨증 때문이라 자책을 하면서 남자는 딸을 데리고 미국으로 떠난다.
그곳에서 그는 새로운 사명을 발견하는데, 토성이(정체는 바로 작가 본인) 인간을 지배하려는 음모에 맞서기 위해 사람들을 규합, 토성과 전쟁을 해야 한다는 것.
아내에게 버림 받은 슬픔을 전쟁으로 이겨내기 위해 그는 모든 것을 바쳐 행동에 나선다.

토성의 감시가 어디서나 느껴진다면서 납으로 된 집을 짓는 아빠, 그런 아빠를 지켜 주고 싶어하는 딸 메르세드,아빠가 만든 토성 퇴치 군대의 사령관이 된 프로기,그를 사랑했지만 자신을 학대하는 아버지를 죽인 프로기와 함께 있을 수 없어 떠난 샌드라,천한 이주자 신분에서 헐리웃의 스타로 거듭난 리타 헤이워드,정신 박약아로 태어났으나 예지력을 지닌 아기 노스트라다무스,그리고 언제나 이들을 감시하는 토성인 작가는 실연을 할때마다 작중 인물들에게 복수를 하고,절멸의 위기에서 방황하는 <종이로 만든 사람들>이 차례로 등장해 자신들의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는 책이다.

기발하긴 했다.
환상적 사실주의문학인 라틴 아메리카의 계통을 충실히 이으면서, 현실과 상상이 공존하고, 과거와 현재와 꿈과 망상과 시선들이 중첩되서 어지럽게 서술되고 있었다.
하지만 매혹적이지 않았다.
지나치게 많은 이야기들이 ,혼란스럽게, 그리고 두서없이 진행 되는 통에 정신 사나웠으니까.
작가는 보다 견고하고 집요하게  자신이 봤던 것과 들려주고 싶었던 것을 물고 늘어졌어야 했다.
작가는 8살때 미국으로 이민을 온 멕시코 이주 노동자의 아들이라 한다.
<이 책은 한마디로 거짓으로 가득찬 실화여요.>라고 그는 말하는데, 이 책을 읽어 나가면서 남의 나라에서 산다는 것이 어른이나 아이들에게 어떤 의미일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과연 우리가 믿는 것 만큼 좋은 면만 있는 것일까.

말도 통하지 않는 곳에서 벌어지는 나날의 두려움들과 공포를 견뎌낼 만큼 인간의 정신은 언제나 무쇠일 수 있는 것일까.
그것을 회피하기 위해 이 책의 아빠처럼 정신이 나가는 사람은 없을까 하고.
이주민들의 아련하고 감당 못할 슬픔과 아픔들을 그저 환상속의 이야기로 만들어 버렸다는 것이 아쉬운 부분이었다.
사랑에만 너무 천착을 한점,이야기가 두서 없이 진행 되고, 등장인물들은 일관성이 없어 이야기의 맥을 끊는데다 ,지나치게 장황한 묘사들로 이책을 한 없이 지루하게 만들고 있다는 것도.
이 작가가 가끔씩 보여주는 통찰력과 구성의 참신함을 고려하면 아까운 일이었다.

우리는 종이로 만는 인간일까?
사랑을 하면 상대를 베고, 상대의 눈물에도 침에도 흔적을 남으며,살로 이뤄진 것이 아니란 이유로 차별을 당하고, 늘 다른 인간들과 확연히 구분되는 종족들 말이다.
이 책에서 종이로 만든 인간들은 결국 사랑을 믿지 않게 된다.
자신에게도 남에게도 상처를 남긴다는 것을 알게 되서.
종이로 만든 인간이란 작가의 무엇에 대한 은유일까?
이주자로써의 백인 주류 사회에 대한 소외감을 나타낸 것일지 ,아님 우리 인간 전반에 대한 통찰일지가 궁금하다.
우린 알고 보면 그렇게 상처를 잘 받는 존재에 불과하다는 것엔 공감을 한다.
물론,인간이 항상 사랑의 상처로 인한 슬픔에 절어서 자신을 와해 시킨다는 설정엔 찬성하고 싶지 않았지만.
살아가는데 어찌 사랑만이 전부랴. 
후반부로 갈 수록 지루하고 재미 없으나, 표지는 동화책처럼 예쁘다.
표지에 속지 마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병 안 걸리고 사는 법 - 미러클 엔자임이 수명을 결정한다
신야 히로미 지음, 이근아 옮김 / 이아소 / 200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계적인 위장 전문의의 저자가 들려주는 잘 먹고 병에 안 걸리는 법을 알려주고 있는 책이다.
특이할 만한 것은 우유를 먹지 말라고 하는 것, 아이들의 아토피와 알레르기의 주범이 우유라니,아이들이 있는 집에선 귀담아 들어 둘 만한 정보라 하겠다.
그리고는 생활 습관을 올바르게 해야 병 안 걸리고 오래 산다는 지극히 평범한 이야기다.
술 담배 안하고,좋은 음식을 먹고,육식을 자제하고 ,약도 독이니 많이 먹지 말며,자신의 몸에서 보내는 신호를 무시하지  말며, 녹차도 만병통치약이 아니니 많이 먹지 말고,농약을 주의 하라는 말씀을 하고 계신다.
이 저저는 자신은 120살을 살아도 모자란 인생이시라고 하신다.
그런데 사실 난 내가 행여나 120살까지 살까봐 걱정이 되는 사람이다.
그냥 먹고 싶은대로 먹고 하고 싶은대로 하다 대강 죽으면 안 될까 .
이렇게 난리를 치면서 오래 살아야 할까.--저자가 날마다 2번씩 관장을 한다는 말에 시껍 했음--
물론 암에 걸려 아픈 것이야 사양하고 싶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렇게 요란을 떨어 가면서 오래 살아야 하는지 의문이라니까.
아니 의문이 아니라 싫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펄프 - 어느 청년의 유쾌한 추락 이야기
쥘리앙 부이수 지음, 이선주 옮김 / 버티고 / 2007년 4월
평점 :
품절


 7월에 중부 유럽에 남아 있는 사람은 가난한 사람,거동이 불편한 노인,그리고 관광객뿐이라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
현지인들은 한 두달 정도의 바캉스를 즐기려 남쪽으로 떠나기 때문에 길 거리마저 한산해 진다는 여름의 유럽,그 시기에 생활 보조금으로 근근히 살아가는 처지라 파리에 갖혀버린 한 백수 청년이 이 책의 주인공이다.
책을 한 권 낸 작가긴 하지만 당최 팔리지 않아 돈을 벌기는 커녕 오히려 출판사에 선수금을 갚아줘야 하는 처치의 포끄.
애인마저 써핑을 즐기러 떠나자 그는 무료함에 일탈을 시작한다.
하지만 그가 하는 일탈이라고해서 대단한 것은 없다.
서점에서 자기책 훔치기,부잣집 무단 침입,소소한 절도,노인 돌보는 프로그램에 참가했다 잘리기, 다시 백수 되기,신분 속이기,교회 헌금 훔치기등등...일탈마저 치졸하고 별볼일 없어서 여름이 지나고 나니 그는 그럭 저럭 선량한 젊은이에서 사회 기생충정도의 사내로  변신해 있더라...는 것이 책의 줄거리다.

 그의 점입가경의 일탈을 읽다 보면 우리가 동경해 마지 않는 파리의 속내가 드러난다.
외롭고, 비참하고, 불신에, 게으르며,윤리라고는 흔적도 없고,똘레랑스는 커녕 사랑조차 없는 ,한마디로 정 없는 삭막한 사회가 펼쳐지는 것이다.
어디에도 맘 붙일 만한 곳이 없어서인지 식물에 애정을 쏟는 그.
유럽의 노쇠화의 단면을 목격한 듯해 씁쓸했다.
일하려 하지 않는 사회. 불신과 냉소와 조롱만 가득한 사회,젊음과 정열, 순진함과 꿈이 실종된 사회.
그래서 20대의 젊은 사람에게서 조차 아무런 죄책감이나 자각이 느껴지지 않는 사회.
바로 이 작가가 그리고 있는 현재 파리의 모습이었다.

 이렇게 써 놓으니 굉장한 뭔가가 있는 책인갑다는 생각이 혹 드실지도 모르겠는데.
아니다. 별로 재미  없었다.
게다가 점점 타락해가는 청년의 모습이 불쾌하기 그지 없었고,책 자체로가 심드렁해서,독자 본인의 정신력이 강하지 않는 한, 읽고 나면 우울증이 생길 수도 있으니 주의를 요망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 이름은 임마꿀레
임마꿀레 일리바기자 외 지음, 김태훈 옮김 / 섬돌 / 2007년 5월
평점 :
절판


 르완다.현대 학살의 대명사.기자들이 취재하러 갔다가는 백발이 되어 돌아 왔다는 곳.
작가는 르완다가 보석같이 아름다운 곳이었음을 강조하면서 이야기를 시작한다.
적어도 자신이 태어나고 성장하던 시기에 그곳은 천국이었다면서 ...

 르완다 사태를 그린 논픽션이다.
리뷰에 쓰면서 전쟁에 대해 주절주절 잔뜩 썼다가, 지금 다 지웠다.속이 시원하다.
전쟁의 광기야 뭐...르완다가 워낙 도를 넘기는 했지만 이미 1994년 당시 학을 떼고 들었던 이야기들의 반복일 뿐이고, 이 작가가 용서를 한다는 말을 해서 모두들 감동했다고 하던데,것도 내 보기엔 석연잖았다.
대필을 하지 않았는가 싶다.
개성적인 목소리는 없고 대신 끔찍한 경험담만 나열되어 있는데, 것도 22살 젊은 여자의 자기 중심적인 입장에서 서술된 것이라 객관성이 떨어진다는 것이 굉장히 불편하게 읽혀 졌다.
내용이 알고 싶으신 분은 검색을 해서 알아 보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일은 어느 초원에서 잘까 - 아르항가이 초원의 어느 여름 이야기
비얌바수렌 다바.리자 라이쉬 지음, 김라합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6년 1월
평점 :
절판


 
몽고 영화 '황구 이야기'를 찍은 감독이 영화를 찍는 동안  들었던 생각을 책으로 옮긴 것이다.
영화 '황구 이야기'의 줄거리와 몽고에 전해져 내려오는 이야기들, 그리고 자신의 독일 유학 시절과 어린 시절의 이야기들이 잔잔하게 펼쳐진다,마치 몽고의 초원처럼.
얇고, 한가로우며,과장없는 소박한 이야기들이 얌전하게 읽혀지길 기다리고 있다.
몽고에 대해 독일 사람들이 아는 것이라고는 양을 도살할 때의 모습뿐이더라 하는 것에 마음 아파하며 몽고 문화의 다양성을 알려주고 싶어한 작가의 의지가 어느정도는 성공한 듯하다.
몽고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게 해 주었으니까...
다사롭고 정이 있는 매력적인 책임.

<다음은 밑줄 그은 말들이다.>

드이림의 하얀 호수
네 물은 해마다 가라 앉고
다 큰 아이들의 어머니
그대는 해마다 작아지네.
자식을 기다리는 어머니,
별과 달이 그대를 위로하네                 -----몽골의 노래

딸아, 누구나 죽지만 아무도 죽지 않는단다.

내가 학교에 들어가는 것과 동시에 할머니가 이야기꾼으로 동행하던 동화의 시대는 끝났다.학생이 된 나는 동화의 시대가 인류 역사에서 끝없이 계속되는 과정이 아니라 어느날 갑자기 고통스럽도록 빨리 끝날 수 있다는 걸 경험해야 했다.

 내일 해를 다시 보리라는 보장은 없지만, 내일 죽을 이유는 헤아릴 수 없이 많다.

나 어릴적, 넘어질 때마다
풀밭이 나를 부드럽게 받아 주었지.

어렸을 때 나는 여뀌를 주워 모으는 게 그토록 고되고 번거롭다면서 어째서 사람들이 쥐들의 식량창고에 절반을 남겨 두고 오는 지 이애할 수 없었다.
삼촌은 진지한 얼굴로 내게 말하기를, 사람이 지나치게 욕심을 부리면 쥐들이 풀줄기에 목을 매 자살한다고 했다! 쥐가 풀줄기에 목을 매고 자살하는 과정을 삼촌이 얼마나 생생하고 자세하게 설명해 주셨는제 ,나는 지금도 그게 사실이 아니라고 반박해 줄 사람을 기다리고 있다.

 나 있을들 어떠하고 없은들 어떠하리.
노래하는 새들이 내 목소리를 이어받을 테고
저 하늘은 언제나 처럼 당당할 것이며
수많은 사람들 여기 머물진대.                                       -----몽고의 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