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6.5℃ 인간의 경제학 - 경제 행위 뒤에 숨겨진 인간의 심리 탐구
이준구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9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호모 이코노미쿠스는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통제가 가능한 경제적 인간을 말한다. 전통 경제학에서는 수요와 공급의 변화에 마땅히 예측 가능한 인간의 행위를 의미한다. 하지만 경제학 교과서에 수록된 대로 현실이 자로 재단하듯 맞추어 돌아간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드물다. 인간은 때로는 즉흥적이고 충동적이고 감성적인 다양한 인성을 다향 함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경제학이 짚어 내지 못하는 인간의 심리적인 요인들을 분석하고 경제적 변수를 가늠해 보고자 출현한 학문이 바로 행태경제학 또는 행동경제학이라고 한다.
이 책의 저자 이준구 교수는 경제학 제 분야의 권위 있는 석학이자 서울대학교 경제학 교수다. 또한 평소 경제학자로서의 날카로운 비평과 소신 있는 목소리로 올곧기로 유명한 사람으로 그의 저서 <쿠오바디스 한국경제>가 이를 잘 대변해 준다. 이처럼 경제학의 이념과 체계적인 시스템을 현실경제에 알맞게 적용하고자 끊임없이 연구하고 고민하는 보기 드문 이 시대가 요구하는 양심이다.
이런 그가 행태경제학에 눈을 돌린 이유는 다름 아닌 인간의 비합리적인 행위에 있다. 기존 경제학의 경계가 잡아 내지 못하는 실제의 경제 환경을 사례를 들어 에세이를 풀어 가듯 흥미진진하게 엮었기에 전혀 경제학 같지 않은 경제학 책이다. 이미 행태경학분야는 역량 있는 학자를 상당수 배출할 만큼 주류적 이념에 근접하며 아성에 도전하고 있다.
로버트 쉴러와 조지 애커로프는 그들의 공저 <야성적 충동>에서 인간의 경제적 행위를 지배하는 심리적 요인으로 자신감, 공정성, 부패와 악의, 화폐 착각, 이야기를 꼽는다. 경제학과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 낯선 풍경들로 정성적(定性的) 변수들이다. 인간이 합리적이지 못하다는 방증이며 무시하지 못할 중요한 함수들이다. 그래서 소위 행동경제학자들은 이점에 주목하고 사례를 수집하며 왜 인간이 계획된 범위 내에서 행동하지 않고 전혀 뜻밖의 행위나 양태를 보이는지에 렌즈를 맞추었다고 보면 되겠다.
그러하기에 이번 이준구 교수의 이 책은 사뭇 반갑다. 국내저자로서는 드물게 행태경제학을 갈무리해서 출간하였다는 점에서도 그렇고 인식 있는 경제학자가 선두주자에 섰다는 것도 쌍수를 들어 환영할 일이다. 앞서도 언급했듯이 이 책의 내용이야 이미 출간된 행동경제학의 이론적 겹침은 당연한 일이겠다. 하지만 외국저자의 책과는 상당부분 다른 시각과 분석이 곳곳에 배치되어 있어 읽는 이로서는 그들의 책과 비교하며 맛볼 수 있는 좋은 기회다. 더불어 알아두면 도움이 될 지식의 보고이기에 알아가는 즐거움마저 있겠다.
경제학에서는 인간을 이기적인 행동을 추동하는 인격체로 그린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인간을 지배하는 본성에는 다양한 변수가 작용한다. 합리적인 결정을 내려야 함에도 그러지 않는 소위 말하는 주먹구구로 결정지어 버리는 경우를 휴리스틱이라고 부른다. 휴리스틱은 조건과 환경에 관계없이 경험, 직관에 의해 결정해 버리는 현상이다. 이러한 사례는 얼마든지 예를 들 수 있을 만큼 인간의 선택을 결정짓는 중요한 선택 틀이다.
이처럼 이 책을 관통하는 핵심은 인간의 선택범위를 파악하는 행태에 있다. 확률이나 예측보다는 암묵적 요인, 자존감, 인식범위, 경험치 등을 고려하여 직관으로 풀이한다는 의미다. 그렇다고 기존 경제학의 공을 깡그리 무시하고 곡해하자는 이론은 아니다. 전통 경제학의 시스템은 그 나름의 함수와 변수에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이며 이에 보완하여 인간의 심리를 추동하는 요인을 찾는 것이 바로 행동경제학의 알맹이다.
그래서 이 책에서는 입체적인 사례를 통해 다채로운 현상들이 언제든지 되풀이 된다는 것을 목도할 수 있다. 동일한 상황임에도 조건만 바꾸었을 뿐인데, 결과치가 달라진다는 틀짜기효과라는 것은 전통 경제학으로서는 도저히 성립할 수 없는 이치다. 선택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변수를 이용하여 닻을 내리고 측정의 함수로 인용하는 행위, 욕망에서 기인한 부존효과, 대가없이 얻은 소득의 심적 회계 등은 오류를 인식하면서도 범하는 대표적인 인간의 경제행태들이다.
이 책은 분명 쉽게 기술되어 있으나 단박에 이해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심리적인 요인을 경제학을 측정하는 가늠좌로 사용키로 한 출발점이 이해불가일수도 있기 때문이다. 심리학은 분명한 해답이 없는 학문이다. 인간의 외부적 행위를 바탕으로 내재적 감정을 분석하는 학문이기에 무엇이 옳고 그르다고 단정 지을 수 없는 태생적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하지만 인간은 환경과 조건에 따라 상당부분 제약을 당하거나 결과를 좌지우지하는 변수로 작용한다는 것은 뒤집을 수 없는 요인이기에 어떻게 수용할 것인가는 각자의 몫이겠다. 경제의 주체는 바로 인간이라는 점을 떠올린다면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