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치 없는 남자, 속 좁은 여자 - 그 男子, 그 女子의 대화법
이정숙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9년 2월
평점 :
절판


사랑을 하면 눈이 멀고 그 향에 취해 판단력이 흐려진다. 모든 세상의 기준이 그 사람을 중심으로 시작해서 끝난다. 이것도 잠시, 사랑의 묘약이 풀리면 긴장관계가 이완되어 어느 유행가 가사처럼 반복된 만남과 대화로 지리멸렬한 관계가 지속되는 원래의 자신으로 돌아오는 것이 대개의 경우다. 하지만 남녀관계라는 것이 일정한 공식을 가지고 대입하여 해답이 나오는 자동판매기가 아닌 것처럼 밀고 당기기의 팽팽한 신경전은 보이지 않는 중에도 계속 충돌된다. 아마 인류가 존재하는 한 남녀관계는 탐색과 견제의 끝없는 소모전이 지속될지 모를 일이다.




여태껏 우리는 남녀의 특성과 관점에 대한 생각에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는 없지만 확연히 다르다는 것이 일반적이며 보편적 견해이다. 하지만 무엇이 어떻게 다르고 어떤 시선으로 사물을 바라보고 판단하는지 구체적인 이해와 관심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이 책 <눈치 없는 남자, 속 좁은 여자>의 저자 이정숙은 이러한 남녀관계의 문제를 감각적인 문체와 멜랑꼴리한 시선을 곁들인 맛깔나게 버무린 이야기를 펴냈다. 한마디로 연애전도사로 나선 셈이다.




이미 시중에 출간되어 넘쳐나는 남녀관계에 대한 도서들에서와는 달리 관념적이고 상투적인 견해와 이론중심의 논리를 탈피하고 가상의 커플들을 설정해 스토리텔링형식으로 일상에서 누구나 접할 수 있는 에피소드를 풀어 설명하였다. 또한 캐릭터의 다변화를 통해 상황에 따라 달리 대처하는 남녀관계의 관점과 시선을 중심으로 갈등상황을 해결하는 적절한 팁과 어드바이스를 첨가해 톡톡 끄집어내는 경쾌함이 돋보인다.




저자는 인간이 오랜 역사적 적응의 산물에 결과에 따라 남자는 사냥꾼의 두뇌모드로 여자는 파수꾼의 두뇌모드로 나뉘어 진화하였다고 설명한다. 남자가 사냥꾼의 기질인 전체적이고 입체적인 사물판단과 직접적이며 몰입하는 속성 강하며 동적인 것을 즐기는 것에 주력하고 반대로 여자는 파수꾼의 미시적인 관찰과 세밀하고 섬세하며 지엽적인 사실에 보다 관심을 가지며 정적인 형태로 표출된다고 이른다.




실제 남녀관계를 구별 짓는 생리적 특징 외에 심리적 특징으로 양분한다는 것이 현대사회에서는 상당부분 희석되고 중화된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옅어지고 경계가 모호한 상태가 인간의 평균적인 특성을 나누는 정도는 아닌 만큼 저자의 생각이 더욱 흥미롭다. 결국은 남녀관계의 근본적인 문제의 원인은 차이에서 오는 낯선 상황이 문제이다.




상대방이 지닌 내밀한 특성을 보듬어 주고 이해해주며 관점, 시선, 태도, 언어의 차이를 구별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 말한다. 다시 말해 소통과 배려의 문제다. 서로의 차이를 명확하게 인식하고 배려를 주춧돌로 한 대화가 지속된다면 소통은 물 흘러가듯 막힘이 없다. 비단 남녀관계의 문제에만 국한되지 않는 보편적 진리가 아닐까.




남녀관계가 쉽지만은 않다. 사랑에 상처 받고 가슴 졸이며 어리둥절한 게 만드는 요상한 녀석의 상황을 받아들인다는 것이 어렵고도 벅차다. 그래도 사랑은 끌림에서 오는 강력한 마법과 같아서 삶을 빛나게 해준다. 저자가 일러주는 조언을 가벼운 마음으로 읽고 보듬어 읽다 보면 차이에서 오는 어색함을 상당부분 줄여줄 수 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