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아 불임 클리닉의 부활
가이도 다케루 지음, 김소연 옮김 / 은행나무 / 2008년 10월
평점 :
품절



인간의 종족 보존이 자연적 현상이 아닌 인간에 의해서 좌우될 수 있을까? 세상에는 우리가 알고 있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불임부부들이 고통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아이를 너무도 원하나 생리적 장애와 기질적 장애에 의하여 생산되지 못하는 것을 말이다. 그와 반대로 쾌락적 행위의 결과에 뒤따른 신성한 책임에 대하여 도외시하는 사람들에 의하여 수없이 많은 새로운 생명이 배수구를 따라 떠내려 사라진다. 실로 아이러니한 현실이 아닐 수 없다.


이러한 모든 사회적 현상이 인간이 신의 영역에 보다 더 근접하였음을 말해 준다. 저자는 본인의 눈을 통해 바라보고 각인된 부조리한 현실을 픽션으로 대체하여 공론화시킴으로서 나름의 해결방법을 제시코자 한다.


강한 흡인력이 전해오는 이야기다. 깔끔한 이야기 전개와 저자의 상세한 설명이 전문적인 의학지식 없이도 빠른 이해를 도와주며 부담 없이 몰입 가능하게 만드는 책이다. 저자가 가진 역량이며 경험에서 터득한 필력일 것이다.


예민한 사회적 문제인 낙태, 대리모, 난자제공행위 등 이 시대를 관통하는 민감한 문제에 대하여 다양한 캐릭터를 창출하여 현실의 갈등과 주인공 리에가 가진 이념과 대립되는 구도를 그려 나간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많은 것을 담고자 시도하고 노력한다. 허구의 형식을 빌린 사회 고발성 다큐멘터리 같은 느낌이다.


불임부부가 현실적으로 취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행하고도 해결되지 못하는 경우 음성적인 방법으로 부부의 정자와 난자를 체외 수정시켜 대리모에 의한 임신인 즉 차복借腹의 형태로 변형된다. 저자가 이야기를 통해 말 하고자 하는 깊은 속내는 이 속에 녹아 있다.


대리모 문제는 다양한 문제와 직면해 있다. 새 생명의 탄생과 둘러싼 정서적 문제, 윤리적 문제와 기존 규범을 뒤흔드는 가족제도문제, 인권침해문제 등 얽히고 섫힌 복잡 미묘한 문제로 발전한다.


무엇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저자가 리에를 통하여 성취한 결과물은 현실 속에서 구현되기에는 비현실적인 것으로 우리 사회의 일그러진 단면을 과감하게 지적하며 관료주의에 빠져 탁상행정의 결과물로 붕괴되는 지역의료기관(2차의료기관)의 사회적 문제를 통해 -의료서비스의 질적 저하, 접근성의 시간적 소요 등 - 작가 특유의 기지를 발휘하여 미디어와 접목시켜 해결코자 한다.


저자가 의료행정의 실태와 문제에 대한 관념을 고스란히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비단 일본만의 문제가 아니며 이미 우리나라에도 많은 진료기관들이 자본주의 매카니즘에 가려 위태로운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


많은 것을 담고자 한 저자의 의도가 돋보이는 책이다. 허구적 상상과 현실의 적절한 조화로 사회적 문제에 대한 공유의 폭을 넓힌 저자의 취지에 부합했다. 결국 저자가 제시한 문제의식을 받아 들이는 것은 독자의 몫이겠으나 피할 수 없는 진실은 인간생명의 존엄성은 부인하기 어렵다는 것에 있다. 아마도 성모 마리아를 차용하여 극적 피날레를 더하는 저자의 의도가 무엇인지 가히 짐작이 가리라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