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리는 다르지 않다 인물로 읽는 한국사 (김영사) 5
이이화 지음 / 김영사 / 200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에 대한 왜곡된 시각이 아닌 중립적인 견지를 고수하며 글을 쓴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빈약한 문헌을 바탕으로 약전조차 남아 있지 않은 과거의 역사를 써 내려간다는 것은 무릇 어둠속을 헤매는 것과 흡사하다. 이미 기성사실이 되어 굳어 버린 개념의 틀을 밀어 버리고 다시금 채워 간다는 것은 크나 큰 모험일지도 모른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책은 높은 점수를 주고 싶다. 기존의 역사서와는 달리 유물론적 시각이 아닌 유심론적인 관점에서 우리의 역사를 재조명했다. 이에 더 나아가 과거를 이어 온 우리의 현재에 일침을 가하는 근엄함을 더하고 있어 통쾌함 마저 든다. 허나 이 책을 온전하게 소화해 내기 위해서는 시대적 사실과 등장인물에 대한 배경적 지식이 깔려 있어야 한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저자가 군데군데 이해하기 쉽게 해독하여 살을 덧붙여 놓았으며 전문적인 지식은 부러 피했다.

 


이 책은 우리 민족과 호흡을 같이 한 종교인들에 대한 전기를 모아 집대성하였다. 쉽게 들어 알 수 있는 인물부터 생소한 인물에 이르기까지 시종일관 치우침 없이 잘못된 점은 바로 잡아 가며, 미시적인 관점에서 기술하였다. 저자의 오랜 경험을 통해 이룬 통찰력이 고스란히 녹아 있음은 물론이다.

 


크게 4분류로 나누어 첫번째, 중생과 함께 한 원효, 의상, 의천, 도선과 외세에 맞서 이름을 드높이 세운 지눌, 무학, 휴정, 유정, 경허에 대한 발자취를 그렸다. 두 번째로 무지몽매한 민중들을 구도하고 피안을 제시한 정염, 정작, 이지함, 서기, 남사고와 세 번째로 민족 근대종교의 시발점인 천주교의 권철신, 윤지충, 권상연과 기독교의 김교신, 함석헌에 대해 서술하였다. 끝으로 암울한 을사늑약으로 나라를 읽은 현실에서 발현된 동학의 최제우, 나철, 강증산, 최시형, 손병희에 대한 객관적이고 숨겨진 역사를 보여준다.

 


이렇듯 인물의 시대적 상황과 배경을 중심으로 가감 없이 기술된 덕에 그저 주입식, 단편적 사고에 그치는 독자들의 지식의 폭을 넓혀 주리라 기대 된다. 또한, 맹목적으로 신격화 내지는 우상화 되어 버린 인물들을 재해석하여 제도적 틀에서 벗어난 그들의 모습을 보여 줌으로써 바라보는 시각의 차이를 극명하게 일깨워 주며 아낌없는 비판의 시각을 멈추지 않는다.

 


역사라는 것이 쓰이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고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을지 모르나 진리만은 다르지 않음을 저자는 깨우쳐 주려 한다. 어느 책에선가 이런 말을 본 적이 있다. 글과 문자성은 자유를 줄 수도, 억압을 줄 수도 있는 두 가지 힘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아마도 우리가 알아 버린 진리와 시각의 차이를 받아들이는 것 또한 각자의 몫임을 저자는 애둘러 표현하였는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