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뒤적뒤적 끼적끼적 : 김탁환의 독서열전 - 내 영혼을 뜨겁게 한 100권의 책에 관한 기록
김탁환 지음 / 민음사 / 2008년 12월
평점 :
품절
책에 대한 책은 언제나 우리를 매혹시키기에 충분하다. 그도 그럴것이 시중에는 온갖 장르에 걸쳐 수없이 많은 책들이 출간되고 이내 사라져간다. 그러한 책의 홍수속에서 우리는 과연 자신에게 필요한 좋은 책이 무엇인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그저 베스트셀러라는 허울에 빠져 선택 아닌 선택을 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 것도 아마도 그때문이 아닐까. 그만큼 좋은 책을 선택하는 것이 그리 쉽지만은 않다. 그럴때 누군가 감명깊게 읽었던 책을 소개해 주는 것처럼 책에 대한 책은 우리에게 좋은 메세지가 되어 다가오기도 한다. 우리는 이를 통해 다른 이의 독서 스타일과 자신의 스타일을 비교할수도 있거니와 흙 속에 묻혀 있는 진주같이 좋은 책을 만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만들수도 있기 때문이다. 탄탄한 이야기 구성으로 출간하는 책마다 좋은 반향을 얻고 있는 인기작가 김탁환의 독서기록인 이 책 <뒤적뒤적 끄적끄적>은 그런 면에서 책이 주는 감동이 무엇인지 우리가 책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알려줄 수 있는 좋은 책이 될 수 잇을 것이다.
저자 김탁환은 그간 많은 소설을 통해 그가 가진 역사관과 삶의 방향에 대해 보여주었다. <불멸>을 통해 잊혀져가던 이순신이라는 인물을 새롭게 조명해보기도 했고 <방각본 살인사건>부터 시작된 백탑파 시리즈는 상당한 매니아층을 만들어내며 그에게 열광하게 했다. 지난해 출간된 <혜초>의 경우 기획과정부터 힘들었던 취재과정 그리고 집필과정까지 책이 만들어지는 모든 순간들이 소개되며 책을 쓴다는 것이 작가에게도 그리 쉽지 않은 작업임을 보여주기도 했다. 우리가 이 책에 주목할 만한 이유는 어쩌면 이 책이 책과 관련된 철저한 저자 개인의 일상에 대한 기록임에도 불구하고 저자가 글을 쓰는 작가이기 때문일 것이다.
책에는 모두 100권의 책이 소개되고 있다. 각박한 일상에 지쳐 신음할 때 위로를 준다는 폴 오스터의 <빵 굽는 타자기>부터 50년이 지난 미래의 모습을 가늠해보는 페이스 팝콘의 <미래생활사전>까지 다양한 종류의 책들을 통해 저자의 독서세계를 엿볼 수 있다. 한 권의 책은 크게는 개인의 삶의 방향까지도 바꿔놓을 수 있는 위력을 지닌 것은 물론 답답하고 힘든 난제에 부딪혔을때 그러한 위기를 돌파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한다. 저자 역시도 책의 곳곳에서 그러한 지난 시절의 모습을 회상하며 그 책이 자신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그리고 그 책이 어떻게 자신에게 닥친 난제의 열쇠가 되었는지 기억해 낸다. 낯선 프랑스 작가 아니 에르노의 책들이 아마도 그러했던 것 같다. 단어는 비틀리고 문장은 비명을 질러댔다라고 기억할 만큼 글이 만들어지지 않던 때 에르노의 책들은 그에게 침묵이라는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기도 한다. 애드거 앨런 포의 <도둑맞은 편지>를 통해서는 추리소설에서 그 자신이 작가가 아닌 소설속의 숨긴자의 입장이 되는 것을 배우기도 했음을 전하기도 한다. 또한 법정 스님의 <인도기행>이나 유길준의 <서유견문>을 통해서 현실을 떠나 보다 자유롭고 평온한 마음을 가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글쓰기의 방법이 됨을 전하기도 한다.
책에 소개된 모든 작품을 언급할 수 없지만 책을 통해 무엇인가를 느끼고 또한 배우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공감할 수 있는 대목이 많았던 것 같다. 하지만 180여권에 이르는 <완월희 맹연>을 읽어낸 뚝심이나 <삼국지>의 수많은 인물들 중에서 순욱이라는 상대적으로 비중이 떨어지는 인물을 기억하고 그의 슬픔을 헤아리는 시각은 분명 저자만이 가진 책을 보는 남다른 시선이다. 아마도 그것이 그를 작가로 있게 하는 힘이 되지 않을까. 책은 늘 소설을 통해 독자들과 만나던 저자의 개인적인 일상을 엿볼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던 것 같다. 또한 창작의 과정이 얼마나 힘들고 고통스러운 일임을 다시 한번 느끼게 된다. 무엇보다도 책을 통해 좋은 책을 소개받은 것에 무한한 감사를 해야 할 것 같다. 당장 오늘부터 읽고 싶은 책이 생겨나는 것을 보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