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끼리와 귀울음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10
온다 리쿠 지음, 권영주 옮김 / 비채 / 2008년 11월
평점 :
절판


 
이미 많은 작품들을 통해 국내의 독자들과 만나 단단한 매니아층을 형성하고 있을 정도로 온다 리쿠는 인기작가이기도 하다. 일정한 틀에 박힌 어느 한 분야가 아닌 다양한 패턴의 작품들을 통해 그녀만의 독특한 세계를 개척했고 열어갔기에 그러한 인기가 가능하지 않았을까 생각해보게 되는 작가이기도 하다. 최근의 작품 경향들이 미스터리와 판타지가 적절히 조합된 작품들인데 비해 이 책 <코끼리와 귀울음>은 본격 추리소설의 형식을 띠고 있는듯 하다. 초기작이라 할 수 있는 이 책은 열 두개의 단편이 들어있지만 어느 한 주인공을 통해 전개되는 일종의 연작집이라 할 수 있는 성격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또하나의 특징이 그간 온다 리쿠의 작품에 등장했던 인물들이 등장하면서 주는 친근감일 것이다. 온다 리쿠의 데뷔작이기도한 <6번째 사요코>에 등장했던 슈의 아버지 세키네 다카오가 바로 이 책을 이끌어 나가는 주인공이며, 슈의 형과 누나인 슈운과 나쓰가 곳곳에 게속해서 등장하여 그러한 가족간의 연결고리들을 이어나가고 있는 작품이기도 하다.

 

은퇴한 판사 세키네 다카오는 특유의 날카로운 직관력과 평소 즐겨읽는 추리소설로 인해 사물을 바라보는 날카로운 시선을 가진 인물로 표현된다. 때로는 알 수 없는 모호함을 연상케하기도 하지만 자그마한 단서 하나로 사건의 전말을 추리해내는 놀라운 능력은 보는 이로 하여금 경탄을 자아내게 하기도 한다. 첫번째로 실려있는 <요변천목의 밤>은 그러한 그의 성격을 잘 표현하고 있는듯 하다. 순간적으로 스쳐지나가는 생각을 통해 온다 리쿠는 그러한 다카오의 이미지를 조금씩 만들어가고 있다. <뉴멕시코의 달>을 통해 원인을 알 수 없는 연쇄살인사건에 대한 해답을 제시해주기도 하며 <왕복서신>을 통해 가보지도 못한 곳에서 일어난 사건의 전모를 밝혀내는 놀라움을 보여주기도 한다. 그것은 비단 다카오 뿐만 아니라 그의 장남이자 현직 검사인 슈운 역시도 마찬가지인듯 하다. <대합실의 모험>을 통해 슈운 역시 아버지 못지 않은 관찰력과 예리함을 보여주기도 한다. 더욱이 순발력까지 갖춘 슈운이기에 아버지의 상대가 되기엔 충분해 보이기까지 하다. 마침내 <바다에 있는 것은 인어가 아니다>를 통해서는 그러한 날카로운 부자간의 추리 대결이 벌어지기도 한다. 다카오와 슈운의 추리 모두 어느 하나가 맞다라고 하기보다는 그 추리를 이끌어내는 전개방식에 있어 특유의 날카로운 면모들을 보여주고 있는듯 하다.

 

추리소설의 묘미는 무엇보다 날카로운 논리전개일 것이다. 그것은 모두가 납득할 수 있는 원인과 절차를 통해야만 독자로 부터의 이해를 끌어낼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탁상공론>에서는 다카오의 아들과 딸인 슈운과 나쓰의 대결이 펼쳐진다. 현직검사이면서 이전의 작품에서 예의 그 날카로운 모습을 보여주었던 슈운과 변호사로 이미 유명해진 나쓰의 대결은 분명 흥미로운 대결이었다. 몇 장의 사진을 놓고 그것이 누구의 방인가를 맞추는 문제였는데 답을 떠나서 그들이 그러한 추리를 이끌어내는 과정을 통해 다카오 일가의 대단함을 엿볼수 있는듯 했다. 모든 작품은 어쨌든 다카오가 등장하거나 또는 그와 연결되어진 사람들의 일상을 쫓는다. 하지만 웬지 등장인물 모두가 다카오의 대단함을 보여주기 위한 조연이 아니었을까 생각해보게 된다. 마지막에 등장하는 <왕복서신>과 <마술사>를 통해 결국 온다 리쿠는 다카오의 날카로운 추리력이 최고임을 다시 한번 입증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그저 일상에서 벌어진 자그마한 일일지도 모르지만 몇몇 작품들은 무언가 작가의 메세지가 담겨있는 것으로 보이기도 한다. <신 D고개 살인사건>에서는 대도시의 한복판인 광장에서 죽음을 맞이한 어느 한 남자가 그저 현대인의 이기적인 욕망과 무관심 때문에 그렇게 되었음을 은근히 타락천사 루시퍼에 빗대기도 하면서 어쩌면 그것이 모두의 잘못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갖게 하며, <급수탑>역시 현대 문명에 급속도로 옛모습을 잃어가고 있는 모습을 급수탑이라는 어느 하나의 정경에 빗대어 섬뜩한 추리로 연결해 내기도 한다.

 

온다 리쿠를 그저 한마디로 표현해내기는 쉽지 않을듯 하다. 도코로 일족의 이야기를 통해 몽환적이고 아름다운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고 때로는 성장의 아픔을 때로는 미스터리와 SF적으로 보이기까지한 작품들로 다양한 그녀만의 세계를 연출해냈기 때문일 것이다. 이 작품은 그 중에서도 아마 본격 추리소설의 범주의 들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5년여간의 긴 연재기간을 통해 다져진 작품속 인물의 예리한 캐릭터가 그것을 또한 증명해 내고 있기 때문이다. 그녀의 작품을 통해 상상력을 배워 보는듯 하다. 살아가면서 어쩌면 그것은 우리에게 너무나 필요한 요소이겠지만 우린 그것을 제대로 써먹지도 개발해낼 여력도 없이 살아가고 있는 것은 아닐런지. 언제나 느끼는 것이지만 온다리즘이란 말이 나올만큼 매력적인 그녀의 작품을 만나본 시간이 그저 즐거웠던 기억일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