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드
코맥 매카시 지음, 정영목 옮김 / 문학동네 / 200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쓰러진 여윈 나무들, 잿빛 진흙만 남은 물길, 시커면 뼛조각이 쌓인 땅.
어느 시대인지도 모른다. 무엇때문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문명으로 대표되는 대지의 풍요로움은 사라졌다. 남겨진 인간은 그저 살기 위한 본능으로 서로를 공격한다. 그러한 절망속에서 한 남자와 소년이 카트를 끌고 조용히 지나간다. 그들이 어디서 왔는지 어디로 가는지 조차 우리는 알 수 없다. 그들에겐 미래에 대한 희망은 물론이고, 당장 오늘 하루를 무사히 보내기도 힘겨울 뿐이다.

 

미국을 대표하는 소설가 코맥 맥카시는 모든 것이 사라진 미래의 지구를 <로드>를 통해 보여준다. 소설의 서두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어떠한 재앙때문에 인류가 종말을 맞았는지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분명 지구에서 인류가 자랑하던 번영과 영광은 이제 그 흔적만이 남아 있을 뿐이다. 재는 모든 것을 뒤덮어 버렸고 분명 살아남은 사람은 있지만 그 실체 조차도 불분명하다. 작가는 단 두 명의 등장인물 남자와 소년을 통해 우리가 맞을지도 모르는 미래를 이야기 한다. 남자는 자신의 운명을 예견하고 있기에 계속 남쪽으로 내려가려 하고 있다. 치열한 생존본능은 그와 소년을 끌어 당기는 무서운 힘으로 작용한다. 생명의 흔적이 사라진 세상에서 남자의 아들인 소년은 문명을 본 적이 없다. 나약하지만 그를 믿을 수 밖엔 없다.

 

그들의 여정은 남쪽의 바다를 향하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특별히 그곳에 별다른 희망이 있는 것도 아니다. 약해질지도 모르는 자신의 의지를 붙잡으려 그는 소년에게 자신들이 불을 운반하고 있다고 이야기 한다. 하지만 그들이 말하는 불은 특별한 의미가 없다. 다만 남자가 표현하는 불은 소년에게 꺼져가는 작은 희망의 불씨이며 살아야겠다는 의지를 소년에게 심어주는 역할을 해 내는 것으로 보일 뿐이다. 그들은 폐허속의 도시에서 그리고 농가에서 숨겨진 통조림과 말라버린 과일등을 찾아낸다. 식량이 떨어진다는 것은 그들에게 죽음을 의미한다. 그렇기에 남자는 인간의 흔적이 보이기라도 하면 우선 총을 거머쥔다. 카트에 담겨 있는 통조림은 그들에겐 생명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발견되는 그 통조림들조차도 우선 오늘 하루를 해결할 수 있을 뿐 내일에 대한 희망의 모습일순 없다.

 

작품은 끊임없이 걷고 추위에 떨며 잠을 자는 그들의 여정을 쫓는다. 무미건조하고 마른 문체는 시종일관 절망의 모습만을 표현한다. 그간 많은 영화와 소설에서 우리는 재앙이 찾아온 뒤의 지구에 대해 만나왔다. 그리고 어디서건 희망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것은 경고인 동시에 희망이기도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코맥 맥카시는 철저하게 절망의 모습만을 전한다. 절망은 이내 서로가 서로를 잡아먹는 극한의 상황까지 연결된다. 그 상황앞에서 그들 부자는 서로가 생명의 끈을 부여잡고 있음을 확인한다. 남자는 자신의 희망조차도 아무런 근거가 없음을 알고 있다. 하지만 자신의 아들이자 기나긴 여정의 동지인 소년에게 그러한 못습을 보여줄수는 없었다. 그것이 어쩌면 그들을 남쪽의 해안까지 이끌어온 힘이었기 때문이다.  

 

지독히 말라보이고 너무나 차가워 냉소적이기만한 그들의 대화는 단적으로 모든 것을 표현한다. 삶에 지친 그러나 포기할 수 없는 본능은 우리에게 작은 희망의 흔적조차 부여잡을 기회를 보여주지 않는다.
오랫동안 기억에 남을 것 같다.
우린 죽나요?
언젠가는 죽지. 지금은 아니지만.
여기가 어디죠?
모르겠어.
우리가 죽는거면 그렇다고 말해주실거죠?
모르겠다. 우린 안죽을 거야.


절망이란 과연 무얼까. 우리는 그들의 궤적을 쫓으며 말할 수 없는 절망만을 만난다. 책의 광고카피엔 인용된 '단 한줄의 가장 아름다운 희망'조차도 책을 읽어오면서 느낀 절망을 극복하기에는 힘겨워 보일 뿐이다. 구원과 희망이 없다는 것은 어쩌면 우리가 느낄 수 있는 최악의 공포가 될 것이다. 그래서 철저한 어둠속에 던져진 그들 부자의 여정이 더욱 험난해 보일 뿐이다. 책에 쏟아지는 수많은 극찬을 뒤로하고라도 어쩐지 우울해지기만 하는 것은 미래의 우리 모습을 보았기 때문일까? 그들의 단 하나의 희망조차도 없는 여정의 끝엔 과연 뭐가 기다리고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