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버랜덤 - 마법에 걸린 떠돌이 개 이야기
J.R.R 톨킨 지음, 크리스티나 스컬 & 웨인 G. 해몬드 엮음, 박주영 옮김 / 씨앗을뿌리는사람 / 2008년 9월
평점 :
절판


 
어른이 되어서도 어린시절 들었던 동화를 잊지못하는 것은 순수하기만했던 어린 아이의 마음으로 돌아가고픈 작은 바램일 것이다. 동화속에서 우리는 달나라로 토끼를 만나러 가기도 하고, 바다속 용궁으로 용왕을 만나러 가기도 했다. 우리들의 상상속에서는 모든 것이 이루어졌고 그 속에서 우리들은 살아있는 꿈을 꾸었다. 하지만 어느새 우리는 커져 버렸고 그와 동시에 그러한 꿈이 현실에서는 이루어지지 않음을 알게 된다. 우리들의 앞에 놓인 치열하기만한 현실의 일상속에서 동화속 꿈을 이야기하기란 이젠 바보같은 이야기가 되어 버렸을까?  

 

이 책 <로버랜덤>은 그렇게 현실속에서 동화속 꿈을 잃어버린 우리들을 모험과 순수를 통한 판타지의 세계로 인도하는 책이다. <반지의 제왕>의 작가로 널리 알려진 J.R.R 톨킨은 이 이야기를 즉흥적으로 지어내게 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여러번의 각색과 삽화 그리고 작가 특유의 상상력이 더해지면서 이제 이 이야기는 그저 흘러가는 이야기가 아닌 어른과 아이 모두가 좋아할수 있는 그리움의 세계로 우리들을 이끌어 내고 있다.

 

대학교수로 임용된 것을 기념해 톨킨은 세 아이와 함께 영국의 요크셔 해안으로 휴가를 떠난다. 그때 돌킨의 둘째 아들 마이클은 작은 납 강아지 인형에 푹 빠져 지냈다고 한다. 식사를 할때나 잠을 잘 때에도 그 인형을 떼어 놓지 않았을 정도로 강한 애착을 보였으나 산책하러 나간 해변에서 그만 그 강아지 인형을 잃어 버리게 된다. 슬퍼하는 마이클을 달래기 위해 돌킨은 즉흥적으로 그 강아지가 원래는 진짜 강아지였으나 마법에 걸려 장난감으로 변해 있었다고 이야기 한다. 그리고 '로버'라는 이름의 그 강아지는 이제 자유의 몸이 되어 모험을 떠났다고 마이클에게 이야기 해준다.

 

소설속 이야기 역시 실제 돌킨이 겪었던 이야기와 크게 다르지는 않다. 하지만 돌킨은 마이클에게 좀 더 완성되어진 이야기를 들려주고자 해변에서 강아지 인형을 잃어버리게 전의 상황을 만들어 낸다. 로버는 원래 정원 잔디에 노란 공이 있는 집에 살고 있었지만 마법사에게 반말을 했다는 이유만으로 짖을수도 물어 뜯을수도 없이 그저 앞발 두개를 들고 간청하는 자세로 굳어버린 작은 강아지 인형이 되고 만다. 그렇개 인형이 되어 장난감 가게의 진열장에 놓인 로버를 마이클의 엄마가 사게 된다. 이후 해안으로 놀러갔던 아이의 주머니에서 떨어져버린 로버는 마침내 요정만한 크기의 강아지가 된다. 로버의 소망은 단지 예전의 몸 크기가 되어 잔디에 노란 공이 있는 집으로 돌아가고픈 생각 뿐이었지만 해안가의 모래요정 프사마토스는 그것이 쉽지 않음을 이야기한다. 그렇게해서 로버는 프사마토스가 시킨대로 갈매기 뮤의 등에 타고 달사나이를 만나러 달로 향한다. 달사나이라 불리우는 마법사에게는 이미 로버라는 이름의 날개달린 강아지가 있었기 때문에 로버는 로버랜덤이라는 이름으로 불리우기 시작한다.

 

달에서 화이트 드래곤에게 쫓기기도 하고, 꿈을 만드는 달사나이에 의해 로버를 잃어버린 소년의 꿈속에서 소년과 재회하기도 한다. 달에서의 모험은 재미있고 즐거운 경험이었지만 로버는 소년에게 돌아가고 싶다고 달사나이에게 이야기한다.
"난 마음이 아파요. 그 소년에게 돌아가고 싶어요. 그래서 그 아이의 꿈이 이루어지게요."
로버는 이제 로버에게 마법을 건 마법사 아르타제르젝스를 만나기 위해 인어와 결혼해 인어왕의 궁전에 있는 그를 만나러 고래의 뱃속에 들어가 바다속으로 다시 한번 모험의 여정을 떠난다.        

 

로버랜덤(rover random)이란 아무데나 닥치는데로 떠돌아다니는 개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우연하게도 달에서나 바다속 모두 로버라는 이름의 개가 있었고 단순히 구별짓기 위해 그 로버들이 랜덤이라는 이름을 붙여주었지만 로버는 그 나름대로 그 이름에 만족한다. 이 이야기속 로버의 여정은 정말 로버랜덤이란 이름처럼 하늘로 바다로 끊임없이 이어지기에...

 

작품은 본문 만큼이나 많은 양의 서문과 주석, 그리고 돌킨이 직접 그렸다고 하는 삽화가 들어있다. 원래 서문이란 작품을 쓰게 된 배경과 집필당시의 환경등에 대해 짧게 이야기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크리스티나 스컬과 웨인 G.해몬드 부부가 쓴 이 작품의 서문의 경우 묻혀 버릴뻔한 이 작품이 세상에 나오게 된 배경과 작품의 이해를 위해 반드시 읽어두는 것이 좋을듯 보인다. 또한 펜과 잉크 또는 색연필 등으로 그린 5장의 삽화는 상상만 하던 이야기를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형체를 띤 이야기로 만들어주기에 충분해 보일 정도로 묘사되어 있다. 무엇보다 이 작품이 따뜻하게 여겨지는 이유는 이 꿈같은 이야기 속에 담겨있는 부성애(父性愛)때문일 것이다. 역자 역시도 그러한 돌킨의 부성애에 감탄하며 이 작품을 번역했다고 역자후기에서 밝히기도 하는 것처럼 사랑이란 어쩌면 이 이야기의 바탕에 흐르는 가장 커다란 감정일 것이다. 그래서인지 돌킨은 이야기를 무척이나 사랑스럽게 그리고 로버마저도 어렵다고 생각했던 모두의 꿈을 이루어주며 이야기를 끝맺는다.

 

돌킨이 인도하는 꿈의 세계는 어쩌면 잃어버린 우리들의 꿈의 기억이라는 생각이 든다. 떠돌이 개 로버랜덤과 하는 이 모험이 그래서 더욱 즐거운 순간이 되는 것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