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성 자살 클럽
전봉관 지음 / 살림 / 2008년 7월
평점 :
절판


 
어떤 이유에서든 자신의 삶을 포기하는 것 만큼 무책임한 처사도 없을 것이다. 그만큼 자살은 극단적이며 모든 것의 끝을 의미하지만 어느 나라에서든 또한 어느 시대였건 자살이라는 선택은 계속 이어져 오고 있다. 그것은 우리의 지나간 역사인 근대의 조선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물론 그 시대는 일제에 의해 국가의 주권을 빼앗긴 암울한 시기였지만 격변하는 서구문화의 유입 속에서 조선의 수도 서울은 하루가 다르게 근대의 모습에서 현대적으로 변화하는 중심에 놓여있었던 것만큼은 분명했다. 이 책 <경성자살클럽>은 그러한 격변과 혼란의 시기 우리 사회를 자살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접근해보는 또다른 시도일 것이다. 어쩌면 자살은 인간이 사회를 이루고 살아가면서 일어나는 수많은 사회현상의 하나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다른 어떤 행위보다 개인에게 그만큼 치명적이고 절망적인 선택은 없다는 것이다.

 

사랑과 그 반대편에 자리하고 있는 배신은 시대를 초월해 언제나 인간과 함께 하는 단어인듯하다. 만남과 헤어짐이 이 세상의 모든 인간에게 주어진 숙명이겠지만 한없이 여리기만한 인간들은 그러한 선택에서 언제나 결코 자유롭지 못하다. 책의 1부 근대 조선의 사랑과 전쟁은 그러한 사랑의 종말에 대해 다루고 있다. 헤어진 사랑을 가슴속에서 지워버리지 못하는 사람은 서구문물의 본고장에서 유학을 했던 인텔리였건 댕기머리를 자르고 짧은 치마를 입었던 신여성이었건 장안의 남자들의 가슴을 설레게 했던 기생이었건간에 결코 다르지 않았다. 사랑하던 상대방에게 속절없이 배신당하고 그 아픔을 이겨내지 못해 자살이라는 극단으로 치달았던 그들의 선택은 비록 시대는 다르지만 그때나 지금이나 그리 다르지만은 않은 것 같다.

 

윤영애의 자살은 그렇게 밖에 할 수 없었던 당시의 신여성의 딜레마를 그대로 보여주는듯 하다. 결혼하기전 온갖 멋을 내며 시대를 앞서가는 신여성으로 자신의 삶을 아름답게 펼쳐간 그녀였지만 결혼은 그녀에게 더이상 그러한 삶을 허락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당대를 대표하던 성악가 윤심덕과 김우진은 한편의 미스터리를 만나는 것만 같다. 의문의 죽음뒤엔 과연 어떠한 진실이 숨겨져 있을지...

 

2부의 근대 조선 잔혹사는 당시의 시대상을 대변하고 있다. 이화여전 학생 고창숙의 자살은 한사람을 집단으로 따돌리는 오늘날의 학교모습과 그리 다르지 않음을 느끼며 입시지옥 속에서 죽어간 수많은 학생과 그들의 부모들이 그러한 선택을 할 수 밖에 없었던 시대적 아픔이 느껴질 뿐이다. 식민지 사회 아무런 내일이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교육은 단하나의 희망이었기에 그 희망이 사라진 상태는 결국 그들을 죽음으로 밖에 내몰수밖에 없었으리라.


9화와 10화의 주인공 김상옥과 나석주는 이 책에 소개된 다른 사람들과는 전혀 다른 의미의 죽음을 택한 사람들이다. 전자가 개인적인 이유로 죽음을 택했다면 이들은 자신의 목숨을 걸어 정의에 항거한 인물들이다. 종로 경찰서에 폭탄을 투척한 김상옥이나 조선 침략의 본거지 동양척식회사에 폭탄을 던진 나석주는 하나 밖에 없는 자신의 목숨을 던짐으로서 일제에 항거하는 조선인의 의지를 보여주었고 그것은 당시의 조선인들에게 커다란 의미가 되기에 충분했다. 또한 그러한 그들의 뜻은 오늘날의 우리들에게도 전해져 우리는 그들을 열사라는 이름으로 부르고 있다.

 

책은 자살을 통해 불과 몇십 년전 서울이라는 사회의 모습을 가감없이 보여주고 있다. 당시의 경성은 커다란 뿔테 안경을 쓴 인텔리와 양산을 받쳐든 신여성이 활보하는 활력넘치는 사회였지만 그 이면엔 나라없는 백성의 설움이 있었으며 또한 그것을 극복하려는 새로운 희망이 꿈틀되는 곳이기도 했다. 하지만 엇갈린 사랑에 울고 극복할 수 없는 시대상에 울고 끓어오르는 분노를 삭일수 없는 오늘날 우리들이 살아가기 힘든 현실과 그리 다르지 않은 모습을 지닌 곳이기도 했다. 하지만 그들은 자살을 선택했고 그렇게 자신의 생을 마감하고야 말았다. 하지만 어떤 이유로든 자살은 절대 용인될수 없으며 그 누구에게도 인정받을 수 없는 행위임이 분명하다.

 

시대를 초월해 우리들의 앞엔 언제나 수많은 시련과 아픔이 나타난다. 그리고 그 험난한 현실의 고통속에서 우리들은 신음한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누구나 극단적인 선택으로 치닫지는 않는다. 다만 그 치유의 과정을 누가 잘 극복해나가는냐가 관건일 것이다. 최근 몇년간 일어난 몇몇 연예인의 자살은 과거와는 또다른 의미의 죽음을 알리는 것만 같다. 그 역시도 자신을 극복하지 못하는 연약한 심성때문이 아니었을까 생각해보게 된다. 자살을 통해 바라본 근대 경성의 모습, 그리고 이 책에 소개된 애절한 사연의 주인공들을 통해 좀 더 강한 삶의 의미를 새롭게 가져보는 것은 어떨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