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의 추악한 배신자들 - 조선을 혼란으로 몰아넣은 13인
임채영 지음 / KD Books(케이디북스) / 2008년 7월
평점 :
품절
기나긴 역사의 흐름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수없는 이름없는 민중들의 생생한 기록이겠지만 지금의 우리가 지금 바라볼 수 있는 것은 그 민중들위에 서서 전횡을 일삼은 소수의 권력자들의 흔적일 뿐이다. 또한 역사는 우습게도 그러한 소수의 권력자에 의해 쉽게 좌우되며 크게 요동치는 질곡의 세월을 겪기도 한다. 성리학이라는 철저한 유교적 관습 아래 봉건적 사상이 지배적이었던 조선사회 역시 그러한 역사의 흔적들을 유감없이 보여주고 있기도 하다. 물론 이기주의적 성격이 팽배한 현대의 관점에서 볼때는 이상할게 없지만 적어도 의리와 충절을 숭상했던 조선사회의 성격에 비춰본다면 군왕을 베신하기도 하고 나라를 배신하기도 하는 인간의 욕심이란 끝이 없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이 책 <조선의 추악한 배신자들>은 제목처럼 조선의 역사에서 자신의 이름에 결정적인 오점을 남길 수 밖에 없었던 인물들을 다루고 있다. 어쩌면 그들 자신은 살아있는 동안 권력과 그에 따르는 부귀영화를 마음껏 누린 인물들이기도 하다. 하지만 역사의 흐름속에서 그들은 배신자라는 타이틀을 달 수 밖엔 없는 인물들로 평가받았으니 어쩌면 역사의 아이러니일런지도 모른다. 책은 크게 세가지 파트로 나뉘어져 있다. 첫째장은 조선을 피로 물들이며 권력에 다가선 인물들을 소개한다. 피로서 쟁취한 권력은 언제나 정당성이 부족하기 마련이다. 어린 조카의 왕위를 찬탈했던 수양 역시도 그러한 중압감에서 쉽게 벗어날 순 없었다. 하지만 한명회란 희대의 모사꾼은 그러한 수양을 부추겨 결국엔 권력을 쟁취하고야 말았다. 떠오르는 신성 남이를 죽음으로 몰고갔으며 개인적인 원한에서 비롯해 무오사화라는 끔직한 장면을 연출해낸 유자광, 폭군 연산을 있게 한 임사홍, 붕당정치 속에서 오로지 자신의 영달만을 꾀했던 이이첨과 김자점은 개인의 욕심이 얼마나 많은 희생을 불러 왔는지 여실히 보여주고 있는 증거이기도 하다.
2장은 조선의 극악했던 왕비 세명에 대해 다루고 있다. 조선역사상 가장 극악했던 왕비로 첫손에 꼽히는 문정왕후는 자신에게 그토록 효성을 다했던 인종을 독살했다는 의심을 받고 있다. 비록 자신이 낳은 아들은 아니었지만 중전시절 그녀는 마치 자신의 아들인양 인종을 아꼈다. 하지만 명종을 낳으면서 그녀는 돌변했고 이제 권력에 대한 야욕은 끝내 인종을 독살하기에 이른다. 얼마전 TV드라마 이산에서 배우 김여진이 연기했던 영조의 계비 정순왕후 역시 절대 문정왕후에 밀리지 않는다. 그녀 역시 자신의 손자뻘이 되는 정조의 독살설에서 결코 자유롭지 못하다. 66세의 영조에게 시집왔던 15세의 어린 왕비가 권력에 대한 달콤한 맛에 다가서는 것은 잠깐일 뿐이었다. 정조 재위시절 오랫동안 물러나있던 권력에서 정조 사후 그 중심으로 돌아오는데는 잠깐이면 족했을 뿐이었다. 세도정치의 배경이 되었던 순원왕후 역시 조선을 파탄에 몰고간 주범이라는 역사의 평가를 받고 있기도 하다. 안동김씨가 정권의 중심에 서있던 60여년간 조선은 철저히 망가져 갔으며 그러한 현실에 아랑곳없이 그들은 그저 자신들이 가진 권력이 언제나 계속될 것이라고만 생각할 뿐이었다.
3장은 이른바 나라를 팔아먹은 을사오적에 대해 다루고 있다. 1장이나 2장에서 다룬 인물들과 달리 을사오적은 이완용으로 대표되는 이름이외에는 그다지 알려진 것이 없기도 하다. 그렇기에 이 책의 다른 파트 보다 우선 눈길이 가는 대목이기도 하다. 그들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권력의 정점에 다가섰으며 실제 당시의 비판적인 여론을 뒤로하고 과연 자신들의 의지대로 조약에 서명했는지에 대해 의문이 많았다. 책의 내용에 따르면 어쩌면 그들은 당시의 대세를 누구보다도 빨리 읽어낸 기회주의자라 할 수 있는 것 같다. 일찍부터 권력에 다가서려 했던 이근택이나 끝까지 반대했으면서도 조약에 서명한 후 그 누구보다도 철저한 친일주의자가 되엇던 박제순, 그리고 오늘날 역적의 대명사라 일컬어지는 이완용까지 방법은 모두 달랐지만 그들의 선택은 우리 역사를 뒤로 돌린 반역행위 임에는 틀림없다. 누구보다도 앞서 싸워야 했던 한나라의 대신이라는 자들이 그러했으니 조선의 종말이 그러할순 밖엔 없었나 보다.
역사의 평가는 언제나 냉정하다. 설사 당대의 흐름이 그들에게 그러한 선택을 강요했다 할지라도 그들의 그러한 선택은 역사의 준엄한 심판을 받게 만들었다. 하지만 오늘날 우리에게 보여지는 역사의 증거는 결코 그들을 정당하게 평가하지는 않는 것 같다. 1장에 소개된 한명회, 유자광, 임사홍, 이이첨, 김자점 등이 대부분 그 직후의 역사에서 부관참시를 당하거나 영원한 역적의 이름에 오른 반면 을사오적의 후손들은 지금 당당히 그들의 재산을 돌려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물론 그들의 후손에겐 죄가 없지만 그러한 요구에 대해 재판을 거쳐야 할만큼 그들이 또한 당당할 이유조차 없다. 그것이 나라를 팔아먹고 일제에게서 얻어낸 댓가라는 것을 그들이 인식한다면...
지금의 정세역시 조선과 그리 다르지 않음을 느낄수 있다. 붕당정치는 오늘날까지 이어져 여야가 끊임없이 대립하는 정당정치로 이어지고 있다. 국익을 앞세운 미국산 쇠고기 사태는 정국을 커다란 혼란과 국론의 분열로 몰고 오기도 했다. 저자 역시 책을 통해 그렇게 국익이라는 입에 발린 말을 통해 역사가 반복되는 것을 원치않는다고 하고 있다. 모든 것은 역사가 말해준다. 개인의 사리사욕을 앞세워 역사의 흐름을 바꾸려 한 이들에게 어떠한 결과가 왔는지를, 또한 그것은 오늘을 살고 있는 우리들에게도 똑같이 주어진 물음이기도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