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디더블 - 판타스틱 픽션 블랙 BLACK 6-4 리졸리 & 아일스 시리즈 4
테스 게리첸 지음, 박아람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8년 7월
평점 :
절판


후덥지근하기만한 여름밤에 책을 읽는다면 아무래도 추리소설이나 공포물에 손이 가게 마련이다. 요즘엔 그러한 패턴에서 보다 발전해 범인들의 심리묘사에 까지 많은 지면을 할애하여 독자와 등장인물간의 보다 적극적인 심리게임을 유도하는 심리 스릴러물들이 많이 출간되고 있다. 이 책 <바디더블>은 그러한 심리 스릴러에 의학적인 지식을 더해 메디컬 스릴러를 표방하고 있다. 작가 테스 게리친은 의사 출신의 작가답게 그동안 그녀가 써왔던 작품들에 줄곧 전문적이며 사실적인 표현을 동원해 보다 생생한 작품들을 만들어 냈다고 한다. 

제목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바디더블은 몸이 두개라는 의미로 작가는 쌍둥이의 존재를 미리 알리면서 작품을 풀어나가는 것 같다. 섬뜩하게 시작하는 프롤로그가 지나고 주인공인 보스턴 경찰청의 법의관 마우라 아일스가 등장한다. 파리에서 열리는 국제 법의학 컨퍼런스를 마치고 지친 몸으로 귀가한 그녀의 집앞에 경찰들이 잔뜩 모여 있다. 그리곤 그녀를 맞이하는 눈길이 예사롭지 않다. 그도 그럴것이 그녀의 집 앞에서 발견된 차에 그녀와 똑같은 외모를 가진 여인이 살해되어 있는 것이다. 현장의 담당 경관은 만삭인 임신 8개월의 리졸리. 이미 전작에서 마우라와 게속해서 호흡을 맞춰왔던 또 한명의 주인공이다. 경찰은 마우라를 노린 원한관계로 부터 단서를 찾으려 하나 죽어있는 그녀는 아무런 실체가 없는 유령과도 같은 존재다. 게다가 외모 뿐만 아니라 Rh+B형이라는 혈액형 그리고 생년월일까지도 같다. 

아무런 단서가 없는 그들에게 밸러드라는 형사가 나타나 그녀에 대해 털어놓는다. 그녀의 이름은 애너 레오니였고 캐셀이라는 유명 제약회사의 창립자와 사랑하는 사이였지만 그를 떠났고 케셀은 그녀를 놓아 줄수 없어 심한 스토킹 행위까지 했다고 한다. 신고를 받고 달려간 병원 응급실에서 밸러드는 눈이 시퍼렇게 멍든 애너를 처음 대면한다. 결국 그를 떼어 놓기 위해 애너는 자신의 과거를 숨겼고 밸러드는 캐셀로 부터 그녀를 보호하려 했는데 이 사건이 터졌다는 것이다. 어릴때 입양되어 자란 마우라는 이제 애너에 대해 알고 싶어졌다. 자신의 뿌리에 대한 의문이 생긴 것이다. 그리고 그녀가 왜 자신의 집앞까지 와서 살해 되었는지 의문투성이다. 마우라는 애너의 흔적을 쫓기 시작한다. 작은 단서라도 하나 찾기 위해 애너가 마지막으로 머물렀던 산속의 작은 집을 방문하고 그곳에서 그녀는 누군가의 시선을 느낀다. 그리고 이내 그 주변에서 오래된 유골이 발견된다. 

섬뜩한 프롤로그에 등장한 이후 한번도 나타나지 않는 하는 소년과 소녀의 정체는 여전히 의문이다. 또한 정기 검진일날 남편과 함께 병원에 가기 위해 남편의 직장을 방문했던 만삭의 매티 퍼비스는 정신을 잃는다. 정신을 차린 그녀가 있는 곳은 사방이 벽으로 막힌 판자 속. 또한  마우라는 밸러드를 통해 그녀들의 생모가 살아 있다는 사실을 접한다. 하지만 그보다 더 놀라운 사실은 그녀가 두 명을 살해한 중범죄자이며 그중에서도 한명은 만삭의 여인이었다는 것. 이제 사건은 이러한 여러개의 각자 다른 시선이 하나로 합쳐지면서 의문의 열쇠를 풀어가기 시작한다. 

만삭의 여인들만 골라 살해하는 괴물, 그 괴물과 무언가 연관이 있는 마우라의 생모, 사건을 풀어 가려는 만삭의 형사 리졸리, 그리고 갇혀있는 매티까지...

인간의 존재 가치에 대해 질문을 던질만큼 잔혹한 살인의 연속이다. 그리고 그들이 필요로 했던 것이 뱃속의 보다 싱싱한 아이였다는 것은 더욱 충격으로 다가올 뿐이다. 그리고 그러한 가족사의 중심에 서 있는 마우라의 모습이 가여워보이기까지 하다. 하지만 두 여인들이 이끌어 가는 작품엔 힘이 넘쳐나는 것만 같다. 언제나 씩씩한 리졸리처럼 시종일관 마우라 역시도 의연함을 잃진 않는다. 그녀들을 통해 작가 게리친이 이야기하고 싶었던 것이 모성이었기에 그녀들은 강인함을 끝까지 유지했던 것 같다. 거기에 더해진 매티의 놀라운 힘은 사건을 단숨에 해결해 버리는 결과를 가져오기도 한다. 돈 때문에 마우라와 애너를 버렸던 그녀들의 생모 아말테아와 오로지 아이를 지키기 위해 모성의 위대함을 보여주는 매티는 극명한 대조를 이루며 작품을 아우르는 핵심 포인트로 자리하는 것 같다. 어두운 자신의 가족사를 온 몸으로 받아들여야만 하는 마우라, 그녀의 속삭임처럼 우리 몸엔 어쩌면 악이라고 하는 감추고 싶은 비밀이 숨어있는 것은 아닐까.

"나도 다르지 않아. 우리는 모두 괴물의 후손들이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