럭셔리 - 그 유혹과 사치의 비밀
데이나 토마스 지음, 이순주 옮김 / 문학수첩 / 2008년 6월
평점 :
품절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은 분명 모두가 평등한 세상이다. 하지만 그것을 누구나 인정하기는 쉽지 않다. 돈이라는 새로운 계급을 결정해주는 수단으로 인해 현대판 귀족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으며 그들은 어쨌든 우리들과는 조금은 동떨어진 세상에서 살고 있는듯하다. 그러한 위치를 보여주는 수단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그중에서도 명품은 그들이 자신의 위치를 남들에게 알리는 겉으로 드러난 가장 쉬운 방법이다. 한눈에 보아도 사치스러운 명품으로의 치장은 가진 자와 그렇지 못한 자를 구분해 주는 증표이며 또한 오랫동안 그들의 사회적 지위와 자존심을 말해주기도 했다. 결국 그것은 그들에겐 힘과 지위의 상징이었겠지만 대다수의 사람들에겐 그저 부러움을 넘어 또한편으로는 경멸의 대상이기까지도 했다. 하지만 명품업계들의 급격한 세불리기와 현대판 귀족이 되길 원하는 사람들의 꿈이 결합해 이제 명품은 우리 주변에서도 그리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는 하나의 브랜드로 점차 바뀌어 가고 있다.

이 책 <럭셔리, 그 유혹과 사치의 비밀>은 명품에 대한 우리들의 궁금증을 해소하고 과연 그러한 브랜드들이 어떻게 오늘날 지위를 나타내는 하나의 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었는지 분석한다. 그를 위해 명품의 탄생과 그 제조과정은 물론 명품업게 오너들의 가족사를 통해 그들 또한 얼마나 치열하게 그들의 자리를 지켜내고 있는지 알아보기도 한다. 명품은 단순한 제품을 일걷지만은 않는다. 그것은 오랜동안 그들의 전통과 함께 우수한 장인의 손길을 거쳐 제작된 누구나 가질수 없는 제품을 의미했다. 그렇기에 지극히 제한된 상류사회의 극소수 고객만을 위해 소량으로 주문생산된데서 그 기원을 찾아볼수 있다. 하지만 귀족과 평민의 구분이 엄격했던 근대사회와 달리 시민의식이 높아지고 스스로가 자신의 주장을 드러내기 시작하면서 그러한 장벽은 서서히 무너져 갔다. 그리고 누구나 능력만 있으면 경제적 성공을 보장받을 수 있었고 그렇게 탄생된 그들은 또한 사회적 지위의 상승을 원했다. 그것을 가장 먼저 간파한 것이 바로 명품업게를 이끌어 가는 사람들이었다. 그들은 스스로 명품의 인식을 바꿔가기 시작했다. 자신들의 공방에서 숙련된 장인들에 의해 제작되어 소량으로만 판매되던 제품들은 서서히 대량으로 제작되기 시작했고, 프랑스나 이탈리아 등 이른바 명품의 고향에서만 구입할 수 있었던 제품들은 전세계 펼쳐져 있는 그들의 직영점을 통해 구입이 가능해 졌다. 더 많은 수요가 창출되면서 감당할 수 없는 인건비는 그들의 공장을 자신들의 나라에서 아프리카 남단의 모리셔스로 중국으로 최근엔 더욱 갑싼 노동력을 보유하고 있는 베트남을 비롯한 동남아로 이동시키고 있다. 하지만 그들은 아직도 그들 제품의 라벨을 메이드인 이탈리아나 프랑스에서 메이드인 중국으로 바꾸길 거부하고 있다.

가까운 일본이 세계 전체 명품 소비의 40%이상을 차지한다는 것은 조금은 낯설게 들렸다. 하지만 그들이 왜 그러한 새로운 문화의 한 단면을 가지게 되었는지 이 책은 그러한 분석에도 많은 부분을 할애 한다. 책 3장 시작을 알리는 사진은 그러한 일본의 모습을 강렬히 전해 준다. 사진은 명품에 둘러쌓인 방에서 어느 일본 여인이 명품을 두르고 누워있는 사진이다. 조용히 눈을 감고 있는 여인은 황홀경에 빠져 있는 듯하다. 또한 어느 한 브랜드에 빠진 남자는 자신이 수집한 명품들에 음식냄새가 밸까봐 집에서 음식 조차 먹지 않는다고 한다. 그저 목이 마르면 근처의 편의점에서 물을 마시고 돌아올 정도라니 그들의 명품에 대한 집착을 단편적으로 보여주는 것 같다. 일본인들은 스스로 명품아 오래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명품을 구입한다고 한다. 하지만 이 책의 분석에 의하면 스스로 중산층이라 생각하는 80%의 사람들이 사회경제적 관점에서 자신을 실제 중산층인 사람들과 동일시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명품에 대한 욕구를 보여주는 것이라 설명한다. 결국 섬나라 일본의 특성상 넓은 저택이나 부동산을 통한 부의 과시가 어렵기 때문에 자신을 치장하는 것이 부를 과시하는 방법으로 선택됐고 결국 서양의 명품이 그러한 지위의 상징으로 자리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명품은 그 광채를 잃었다."
명품은 분명 현대인들의 생활패턴 자체를 바꾸어 놓았다. 그리고 감히 꿈꾸지도 못했던 명품의 취득은 현대인들에게 새로운 꿈의 획득을 의미하기도 했다. 또한 명품을 보다 쉽게 대중에게 어필하려는 명품업계의 대중화 전략은 그것을 보다 가깝게 유도하기도 했다. 결국 그것은 더이상 명품이 돈으로 살 수 있는 최고의 것을 의미하지 못하게 되었고 또한 최고의 것을 만들어내는 것이 아님을 알리는 것이기도 했다. 이제 명품사업은 그들의 글로벌 전략이라는 이름하에 다른 산업과 마찬가지로 그저 돈을 버는 사업으로 변질되었다. 12년간이나 명품 전문기자로 일해 온 이 책의 저자 데이나 토마스는 명품업계를 비판하지도 질타하지도 않는다. 그저 그들이 행해왔던 전략과 세계화 과정에 대해 담담히 기술하고 있다. 짝퉁의 출현 역시도 어쩔수 없는 하나의 패턴이라 설명하는 듯하다. 하지만 명품이 맥도널드 햄버거와 다름 없어지는 것을 경고 하기도 한다. 그 뒤에 숨은 상술과 철학까지도 비슷해지는 점을 우려하면서...

"명품은 독점적이어야 합니다. 당신만을 위한 것이어야 하고, 다른 사람은 가지지 못하고 못해야 합니다."
명품은 분명 너무 흔해졌고, 또한 너무 획일적이며, 고객에게도 그전에 그러했던 것만큼 치밀하게 다가서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그것이 일반인들에게 그들의 꿈에 다가서는 길을 조금은 더 단축시켜주기도 했지만... 명품을 바라보는 우리들의 시각은 양면적이다. 한편으로는 그러한 명품을 갖고 싶어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가진자의 사치라 경멸하기도 한다. 또한 우리들 대부분은 10대의 소녀가 주유소나 편의점에서 한달간 힘들게 일을 하고 받은 월급으로 명품 하나를 손에 쥐고 기뻐하는 것을 이해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그 소녀들이 우리들에게 자신들을 이해해 달라는 요구를 하진 않는다. 그 어떠한 시각으로도 그것은 분명 이해가 불가능 할테니까...

내가 갖고 있는 지갑엔 피에르 가르뎅이 열쇠지갑에는 구찌라는 브랜드 이름이 박혀 있다. 모두 선물받은 것이지만 그것이 진짜인지 가짜인지는 모른다. 나로서는 구별법도 모르거니와 구태여 알고 싶지도 않기 때문이다. 그것이 바로 명품업계가 노리는 마케팅 전략이기도 하다. 소비자들은 명품을 그 제품 자체가 아니라 그 브랜드가 상징하는 것 때문에 구입하게 된 것이다. 그것은 진짜와 구분하기 어려운 짝퉁을 통해 그들의 브랜드를 광고하는 또하나의 전략으로 자리잡게 된 것이다. 결국 이 책이 이야기하고 있는 기성복화 되어버린 명품의 이야기는 어쩌면 그들이 원했건 원하지 않았건간에 그들의 치부를 여과없이 보여주고 있는 것만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