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살가게
장 퇼레 지음, 성귀수 옮김 / 열림원 / 200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인생에서 참담한 실패를 겪게 되거나 더이상 몰릴수 없는 막다른 길에 다다랐을때 사람들은 쉽게 자살을 떠올리곤 한다. 그것은 현대에 와서 더욱 심해졌으며 인터넷이란 매체를 통해 자살클럽이라는 카페가 생겨나고 실제로 자살을 감행하는 사람들을 뉴스에서 접하면서 우리는 또 한번 놀란다. 그러나 자살할 용기가 있다면 그 용기로 남은 삶을 살아 나가라 라는 말이 있듯 자살에 있어 용기란 자신의 삶을 마감해 낼 수 있는 가장 커다란 요소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러한 용기를 내더라도 정작 어떻게 자살을 감행할 것인가란 의문에 부딪히게 되면 의외로 자살이란 행위는 어렵게 느껴지기도 한다. 그렇다면 장 퇼레의 소설 <자살가게>에서 그 해답을 찾으면 된다. 잊혀진 종교단지내 한켠으로 전통적인 가업을 잇고 있는 튀바슈 가문의 자살가게가 있다. 절대 단골은 있을 수 없으며 '안녕히 가세요'란 인사 대신 '명복을 빕니다.'라는 인사를 써야 하는 자살에 관한한 모든 것을 판매하고 있는 곳이 바로 이곳이다.
"실패한 삶을 사셨습니까? 저희 가게로 오십시오. 당신의 죽음만큼은 성공을 보장해 드리겠습니다!”
바로 자살가게의 쇼핑백 문구이다. 남편인 미시마와 아이들의 엄마인 뤼크레스가 이 가게를 책임지고 있는 주인부부이다. 그들은 그들이 판매하고 있는 각종 죽음에 이르는 도구들을 그저 하나의 상품으로만 인식하고 자살에 관한 각종 상담마저도 그저 서비스의 일환이라고 생각하는 어쩌면 지극히 상업적인 사람들이다. 다른 사람들이 그저 자신의 분야에서 일을 하듯 그들에게는 아무런 죄책감도 없다. 때로는 고객에게서 자신의 장례식에 참석해달라는 메세지를 받고 화환을 보내주지만 그것마저도 광고의 한방편으로 생각할 정도니까...
딸 마릴린의 생일날 주인부부는 딸의 생일선물로 맹독을 선물한다. 그것은 앞으로 딸아이와 키스하는 모든 사람들을 죽음에 이르게 하는 새로운 상품이기도 하다. 오빠인 뱅상은 파편이 튀지 않는 오토바이 헬멧을 열한살짜리 동생 알랑마저도 자살용 흰색 스카프를 선물하든 등 충분히 엽기적인 가족애의 모습을 독자에게 보여준다. 마릴린의 신상품 죽음의 키스는 그 줄이 장사진을 이룰만큼 폭발적이다. 하지만 묘지관리원 에른스트를 보는 순간 마릴린은 더 이상 상품의 판매를 거부한다. 전통적으로 이어져오고 있는 자살가게는 그들 부부의 세 아이들에 의해 위기를 맞는다. 막내인 알랑의 의도로 서서히 자살가게는 그 수명을 다하는 것 같다. 이 세상에 인간이 존재하는한 영원한 호황일줄 알았던 자살가게라는 업종 역시도 튀바슈 가문의 후손들에 의해 어느 순간 그 종말을 고한다. 집안의 가장 미시마 혼자 그것을 막아보려 하지만 사람들은 이제 다른 목적으로 튀바슈 가문의 가게를 찾는다.
현대인들의 나약한 세태를 꼬집는가 하면 실제로 상업적인 효과가 있을 것도 같은 자살가게는 이처럼 웃기는 사건의 연속으로 이루어진 수상쩍은 시트콤같은 코미디 소설이다. 거창하게 인간의 죽음에 대해 깊이 생각할 필요도 없거니와 그저 때때로 나와주는 웃음에 즐겁게 반응하는 그러한 소설인 듯 싶다. 사건이 연속되면서 전개되는 몇 가지 반전속에서 그래도 작가가 정이 있는 가족의 모습을 그려낸 것이 인상깊다. 그러나 마지막 순간까지 그런 것은 너무하지 않았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