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아 - 나를 뛰어 넘는다
김영범 지음 / 대산출판사(대산미디어) / 2007년 11월
평점 :
품절


현존하는 우리의 사서중엔 고려 중기에 편찬된 김부식의 삼국사기가 가장 오래된 기록으로 전한다. 지금도 국사 교과서 그 이름이 전하는 고구려의 유기와 신집, 백제의 서기, 신라의 국사 등은 삼국이 각각의 역사를 기록했지만 지금은 전해지지 않고 있는 사서들이며, 아직까지도 그러한 기록들을 발견되지 않고 있다. 5천년의 역사를 지녔음에도 몇 안되는 사서들이 우리의 역사를 전하고 있는 것을 보면 어쩌면 그만큼 우리역사에 아직도 밝혀낼 비밀이 많은 것 아닐까. 때로는 그러한 이유를 외세에 의해 우리 고서가 소실되었음을 이야기하기도 하고 때로는 누군가에 의해 감춰졌다고 생각하기도 한다.

<초아>는 그러한 역사적 배경을 소재로 한 소설이다. 민족의 역사가 기록된 사서를 지키기 위해 소수의 사람들이 목숨을 걸고 그 임무를 수행해 왔으며 지금도 그 기록은 살아있다는 전제하에 소설이 펼쳐진다. 단군 조선때부터 시작된 역사의 기록은 민족의 주요한 사건이 터질때 마다 역사적 인물들에 의해 지켜졌으며 외세는 그때마다 그 기록을 탈취하기 위해 사건을 일으켰다는 식의 전개가 펼쳐진다. 일본이 자행한 명성황후 시해사건 역시도 명성황후가 그 기록의 비밀을 지키려다가 일본 낭인들에게 무참히 살해 되었으며, 이전의 시기에도 왕건, 서희, 이종무 등 역사에 자신의 족적을 뚜렷히 남긴 인물들이 그 기록의 보존과 관련하여 계속해서 등장하기도 한다.
 
역사의 비밀에 접근해본다는 것은 어찌보면 즐거운 상상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 소설이 접근하는 방식은 아무래도 무리가 있어 보인다. 그 기록이 중요하다는 것은 알겠지만 현대에 와서도 그 기록을 지키기 위해 목숨을 버린다는 설정이나 그간 우리의 모든 역사가 그 기록을 지켜내기 위한 눈물겨운 노력이었다는데는 쉽게 수긍하기 힘든 면이기도 하다. 하지만 나를 뛰어남는다는 뜻의 이 책의 제목 <초아>만큼은 쉽지 않은 결정을 내린 주인공 대건의 마음이 녹아 있는 듯 하다.
 
최근 들어 발견되어진 고서들은 대부분 위작논란에 휩싸여 있기도 하다. '한단고기'나 '화랑세기'등은 아직도 그 진위여부가 학계의 관심사이기도 하다. 하지만 그 진위여부를 떠나 그 안에는 지금보다 멋진 과거의 영광들이 살아있기도 하다. 이 소설 <초아>를 보며 정말로 그러한 고서들이 발견되어 중국의 동북공정을 단번에 뒤집을 수 있는 장쾌한 역사가 살아날수있는 그날이 오기를 기대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