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육육삼십육 - 일상의 웃음과 행복을 찾아
김도환 지음 / Wellbrand(웰브랜드) / 2007년 8월
평점 :
품절
사람들은 모두 저마다의 작은 꿈과 희망과 사랑을 갖고 살아간다. 그리고 그러한 것들을 이루어 내기위한 공간을 가정이라고 여긴다. 흔히 남들에 비해 자신이 불행하다거나 혼자라는 감정을 갖기도 하지만 정작 혼자인 사람들에게 가정이란 울타리내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의 그러한 투정은 어쩌면 배부른 이야기로 밖엔 들리지 않을 지도 모르겠다.
자신의 소박한 가정사를 블로그에 담아내던 만화가 책으로 묶여 나왔다. <육육삼십육>이라는 독특한 제목처럼 그리 많지 않은 캐릭터들이 저마다의 독특한 개성을 내뿜기도 한다. 직장에서는 유능한 커리어우먼으로 통하지만 정작 집에서는 실수투성이인 엄마 평말숙과 너무나도 평범해 늘 우리주변의 보통 아저씨로 보이는 아빠 나메기 그리고 어쩌면 이 책에서 빠져서는 안될 우리의 귀염둥이 딸 마토가 모여사는 공간이 바로 이들의 행복한 집이다. 늘 새로운 것을 찾아 공상하기도 하고 때로는 그것이 지나쳐 종종 사고를 치기도 하지만 마토는 그래도 이 집안의 행복과 함께 다른 이들에게 살아있음을 느끼게 해주는 결코 미워할 수 없는 꼬마 아가씨이다.
책을 보며 입가에 늘 웃음이 끊이지를 않는다. 어쩌면 이 안의 모든 이야기들이 우리들의 일상과 너무나 닮아 있기에 그럴지도 모르겠다. 중간중간 나오는 사진과 그아래 한글로 쓰여진 날짜를 보며 육육삼십육이란 의미를 찾고 싶었지만 어쩌면 그것은 너무나도 평범한 모습이 아닐까도 생각해 본다. 어린시절 구구단을 외던 때가 문득 생각이 난다. 그 시절엔 그게 왜 그리 하기가 싫었는지 어쩌면 마토같은 늘 실험정신을 갖고 다른 생각에 몰두하는라 그랬을지도 모르겠다. 어쨌든 구구단을 다 외운 날 보고 엄마가 환하게 웃던 생각이 안다. 어쩌면 그 웃음이 <육육삼십육>에서 이야기하고 싶은 작고 소박한 행복의 모습이 아닐까...
행복이라는 것은 어쩌면 그리 먼곳에 존재하는 신기루같은 것은 아닐 것이다. 하지만 우리 모두는 결코 현실에 만족하지 못하고 뜬구름같은 그것을 잡기위해 자신의 삶을 허비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 책에서 쉽게 느껴질수 있는 것 처럼 우리가 숨쉬는 공간인 우리들의 가정이 그 시작점일런지도 모른다. 그 실체가 없기에 곁에 있다고 느끼지는 못하지만 엄마의 실험적인 요리를 맛있게 먹어주며, 마토가 저질러놓은 것을 웃는 낯으로 같이 치워주고, 비록 능력은 없지만 늘 가족들을 위해 존재하는 아빠를 사랑해줄수 있는 마음을 갖는 것이 아마도 행복이라는 이름을 지닌 것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