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귀자 소설집 '다시 시작하는 아침'에 실린 단편 '곰 이야기'(1996년 제4회 현대문학상 수상작)의 주인공은 새 부인과 함께 작업실 딸린 새 집을 알아보는 중인 화가인데  '숨은 꽃'(1992년 제16회 이상문학상 수상작)에 잠깐 등장한 화가 - 저자의 분신으로 보이는 작품 속 화자는 어떤 화가의 작업실을 방문하고 거기에서 과거의 지인을 보게 된다 - 와 동일인이라고 여기며 읽으면 더 흥미롭다.


[양귀자의 '곰 이야기'에서 보는 변한다는 것에 대하여] http://www.sfnews.kr/news/264119

Double portrait of the artist and his wife seen through a mirror, 1911 - Vilhelm Hammershoi - WikiArt.org






나는 벌레처럼 살고 싶지 않았으며, 종종 내일을 위한 벅찬 꿈을 꾸어보고 싶었으며, 흰 눈처럼 순수하게 누군가를 다시 사랑하고 싶었다. 그러나 현실은 벌레였고 꿈은 악몽이었으며, 배척당하는 까마귀였다.

내가 해야 할 일은, 그러므로, 네번째 결혼이라는 제의(祭儀)를 통과해서 ‘다른 나로 변하고 싶다’라는 비명의 내용을 실천하는 것이다. 운명은 내게 놀랍게도 썩은 동아줄이 아닌 튼튼한 동아줄을 내려주고 있는 것이다······.

그는 거울 속의 자기가 기척도 없이 울고 있는 것을 오래도록 들여다보았다. 많이 울지는 않았다. 그가 거울 에서 시선을 떼버림과 동시에 눈물도 그쳤다. 그는 알고 있었다. 거울 속으로 들여다본 아까의 얼굴이 마지막으로 본 자신의 과거 모습이라는 것을. 다시 거울을 들여다볼 때, 그때 그는 이제까지의 그가 아닐 것이었다. 그는 그렇게 결정을 한 것이었다.

희망도 없이 눈 뜨는 아침, 문득문득 솟구치는 나는 누구인가, 하는 외로운 질문들, 질주하는 현실의 속도감을 이길 수 없어 아뜩해지던 삶의 빈혈. 그랬다. 그들 모두 진실로 새롭게 살 수 있는 피가, 신선한 피가 모자란 사람들이었다. 현실은 악성빈혈이었고 사람들은 수혈을 원했다.

그는 변신함과 동시에 이미 지난 관계들과 완벽하게 단절되었다. 뜨겁게 살아보기 위해선 우선 차갑게 식히기부터 해야 하는 것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지 바로 다음 날인 오늘, 흐리더니 비 오는 중. 후덥지근하다가 다소 시원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Landscape with swamp - Volodymyr Orlovsky - WikiArt.org


양귀자의「늪」, 21세기문학상 수상 (1999년) https://v.daum.net/v/19990804102200270





아까 김 선생이 ‘내 인생 자체가 누군가의 보조라는 느낌’이라고 말했을 때 나는 속으로 뜨끔했었다. 그것이야말로 바로 나의 느낌 그대로였다. 나는 그에게서 동질감을 느꼈었다. 하지만 지금 이 삶 말고 어떤 삶을 원했는지 누군가 나에게 묻는다면 김선생처럼 절절한 할 말이 있는 것도 아니었다.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삶을 제대로 살 줄도 모르면서 살아가고 있는 나. 나의 책읽기는 말하자면 제대로 살아가는 방법을 찾기 위한 내 나름대로의 한 모색인 셈이었다.

살다 보면 천둥도 울고 번개도 치고, 다 그런 것이라는 생각을 요새는 많이 해요. 거역할 수 없는 어떤 힘, 그런 것이 내 삶을 후려치고 갔다고, 싫어도 받아야 하는 숙제 같은 것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살다 보면 천둥도 울고 번개도 치고. 쉽게 할 수 있는 말이지만 그러나 누구나 그런 말을 할 자격이 있는 것은 아닐 것이었다. - 늪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래 옮긴 글은 '계절과 음표들'(최대환)이 출처. 이 책에는 글렌 굴드가 나오지만 우리 나라 출신으로 독일에서 활동하는 여성 피아니스트 Jimin Oh-Havenith (한국 이름 오지민)의 연주로 골트베르크 변주곡을 듣는다. 그리고 나쓰메 소세키의 '풀베개'가 언급되어서 - 굴드가 '풀베개'를 좋아했다고 - 올해 새로 나온 역본 포함 '풀베개'들도 찾아둔다.


https://jiminohhavenith.com/?lang=en








굴드는 유명세를 즐기는 유형의 사람은 아니었지만, 음악적 성과와 삶의 방식에 대해 가까운 이들의 조건 없는 인정과 지지를 필요로 했던 사람이었습니다. 그러기에 종종 자기 자신이 초래한 고독과 관계의 단절을 깨려 노력하기도 했지만 매우 서툴렀기에 힘겨워하는 순간들이 많았습니다. 그럼에도 그는 자신의 예술이 고독 없이 열매를 맺을 수는 없다는 확신을 뼛속까지 가지고 있었습니다. 바자나가 전해주는 굴드의 다음과 같은 말은 고독이 굴드에게 무엇을 의미했는지를 한마디로 요약합니다.

고독은 창의성을 길러준다. 사람들과 함께 있으면 그것이 흩어져버린다._『뜨거운 얼음 : 글렌 굴드의 삶과 예술』 463쪽


바자나는 굴드가 언젠가 기차에서 만난 자신의 팬 한 명으로부터 나쓰메 소세키의 매우 담백하며 독특한 소설인 『풀베개』(송태욱 옮김, 현암사, 2013)를 알게 되고 평생 이 책을 좋아했다는 재미있는 일화를 전해줍니다. 굴드는 예술을 위한 예술이 아니라 도덕적, 윤리적이며 영적인 차원으로 향하는 예술을 지향했다고 하는데, 그런 그는 이 소설에서 일체의 과장과 허영과 화려함이 없는 이상적인 예술가이자 지성인의 모범을 보았는지도 모릅니다.

‘행복한’ 고독은 쉽지 않은 과제이지만, 그만큼 보람 있는 삶의 길이라고 생각합니다. 굴드가 연주하는 바흐의 <골드베르크 변주곡>을 들으며, 조금씩 내 안에 ‘고독의 기예’가 자라나길 희망해 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담대한 프랑스 문학세계, 공쿠르상 수상작 展  https://www.nl.go.kr/NL/contents/N50601000000.do?schM=view&id=45819&schBcid=normal0202 작년에 한 전시소식. 


'보부아르, 여성의 탄생 '(케이트 커크패트릭 저/이세진 역)으로부터


The Table, 1947 - Yiannis Moralis - WikiArt.org


글을 쓸 수만 있다면..女작가들 부엌 화장실 가리지 않아 https://v.daum.net/v/20160204155752473 






1955년 1월 9월에 보부아르는 마흔일곱 살이 되었고 "진짜 중년"이 됐다고 느꼈다. 생일은 죽음을 떠올리게 했고 아직도 죽음을 생각하면서 평정심을 유지하기란 불가능했다.

그해에 보부아르는 공쿠르상 상금으로 몽파르나스 묘지 남동쪽 라스파유 대로에서 갈라지는 작은 거리 빅토르 쇨셰르에 집을 샀다. 자신이 태어난 집에서 도보로 9분밖에 안 걸렸고 르 돔과 라 쿠폴도 가까웠다. - 13장 가톨릭 금서, 《레 망다랭》 1950~1958년 "나의 글쓰기가 독자들의 자유에 호소하기를, 그들에게 새로운 상상의 가능성을 열어주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