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용서할 수 없는 ㅣ 메타포 11
크리스 린치 지음, 황윤영 옮김 / 메타포 / 2008년 12월
평점 :
절판
책은, 이해할 수 없는 시선으로 시작된다. 마치 지금 '내'가 처한 현실이 좋지 않은 불운으로 비롯된 엉크러진 상황인 것처럼 느껴진다.
'나'는 끊임없이 호소하는 사람이며 이성적인 인물이다. 나는 평화와 안정된 관계를 지향하며 관계를 우호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는 인물이다.
그런데 지금, 나는 그런 나 자신과 내가 처한 상황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상대와 마주하고 있다. 그녀는 지금까지의 모든 행동과 나를 부정하고
있다. 그녀는 나의 설득을 전혀 들으려하지 않고, 흥분된 감정으로 거부와 분노만을 보인다. 나는, 그리고 나와 그녀는 결코 그런 것들로
이어져있으면 안되는데.
이 책은 주인공 키어의 시선으로 이어진다. 나로 표현되는 인물은 독자에게 모든 상황을 전달해주는 인물인 키어이다. 우리는 키어의 시선으로
모든 것을 바라보게 된다. 키어의 눈, 키어의 귀, 키어의 생각, 키어의 마음. 우리는 우리에게 정보를 제공해주는 인물을 믿고 이야기 속으로
따르게 된다. 낯선 세계에서 우리를 인도하는 안내자가 주는 정보를 우리는 쉽게 받아들이고 그 정보에 의지하여 책의 마지막 장으로 도달할 수
있도록 길을 찾는다. 우리는 키어가 처한 상황을 난감하게 받아들이며, 키어가 이 상황을 잘 헤쳐나가 우리와 함께 마지막 장에서 만족스럽게 책을
덮을 수 있길 기대한다. 우리는, 독자이다.
이 책의 구성이 바로 이런 독자의 마음을 잘 파고든 것 같아서 더욱 흥미로웠다. 키어의 눈으로 주변을 볼 수 밖에 없는 독자는 주위의
이야기와 자신이 본-키어의 눈- 것이 다름을 의식한다. 그리고 어떤 것을 믿어야 할지 고민하게 되는 상황에 놓인다. 키어는 끊임없이 자신에 대해
이야기한다. 주위 사람들을 얼마나 잘 생각하는지, 자신이 어떻게 행동해왔는지, 어떤 사람처럼 보이길-되길 원하는지. 그의 이야기를 보면서
독자들은 그에게 동조하고 공감하는 부분이 생긴다. 그리고 일련의 사건들 속에서 그가 성숙한 행동을 하는데 서툴수도 있고 오해가 생겼을 수도
있으리라 생각한다.
예를 들면 가벼운 일들부터. 초대를 받아서 간 축구팀 파티에 불청객인 풋볼팀 친구들이 몰려와 축구 선수들을 괴롭힌 사건. 옷이 벗겨져
풀장에 들어가 있어야 했던 축구선수들이 즐거워했었다'는 키어의 이야기와 그 부분을 빼고 좋지 않았던 부분만 누군가 찍어놓은 비디오 테이프의
내용이 서로 맞지 않는다는 것부터. 풋볼 시합 중에 일어난 '불운한' 사고로 상대팀의 한 선수가 다시는 풋볼을 할 수 없는 몸이 되버린- 그래서
키어가 킬러로 불리게 된 일까지도 키어는 정당한 시합을 규칙을 지켰기 때문에, 독자들은 진실이 무엇일까 고민하게 된다.
하지만 독자들의 외부의 시선과 키어 자신의 시선이 서로 교차하며 부딪히는 과정을 통해 의심을 하게 된다. 우리에게 주어지는 키어의 시선이
과연 사실일까? 키어는 자신이 생각하는 대로, 우리가 알고 있는대로 과연 착한 인물일까? 그리고 키어와 심각하게 대립하고 있는 지지에게는 어떤
일이 있었던 것일까? 그리고 점점 가까운 과거로 이야기가 옮겨지기 시작한다. 지지와 키어가 아름다운 밤을 보내게 되는 졸업식날 밤으로. 지지는
남자친구 칼과 작은 다툼을 하게 된다. 그리고 지지를 좋아하고 있던 키어는 그 작은 틈을 대신하게 되는 행운을 얻는다.
키어는 지지를 위로하기 위해 또, 자신의 졸업식에 불참한 두 누나를 직접 만나러가기 위해 누나들이 있는 대학 기숙사를 지지와 함께 찾는다.
그리고 그곳에서 자신이 잘 조율해오고 있었다 믿었던 주위 사람들과의 관계, 그것도 아주 가까운 친누나들과의 관계가 그리 좋지 않았음을 알게
된다. 그리고 독자들은 분노에 빠진 키어의 모습을 보면서 그를 동정하기 이전에 그가 가진 차갑고 자기중심적인 모습을 발견한다. 주변 사람들의
조언은 모두 부정하고 그를 아끼는 마음으로 남기는 작은 칭찬만을 받아들이는 키어의 모습, 절대 자신의 생각을 굽히지 않고 자기 변명을 하며
주장을 내세우는 키어의 모습.
그리고 키어는 우리의 시선이 되어주는 안내자에서 우리를 불안하게 만드는 날선, 낯선이 인물이 되었다. 키어의 행동에 대해 냉정한 눈으로
이야기하는 누나의 입을 통해 독자들의 불안은 확신이 되어 돌아왔다. 키어는 그가 말하는대로-원하는대로 착한 인물인 것이 아니었다. 그저 자신을
그렇게 포장하고 싶은 인물이었을 뿐. 집으로 돌아갈 차를 돌려보낸 키어가 누나들에 대한 분노와 술, 약으로 인해 불안정한 상태가 된 키어가
지지에게 사실을 말하지 않고 그녀를 캠퍼스 안의 방문객 숙소로 인도한다. 그리고 처음부터 되풀이 되어 온 지지와 키어의 대립이 시작된다.
키어는 그녀를 사랑하고 있음을 말하지만 지지는 그가 그녀를 강간했다고 말한다. 키어는 그녀의 생각이 잘못된 것이라며 그녀를 설득하려 하지만
지지는 그녀의 입장을 고수한다. 시종일관 키어의 입장에서 상황을 바라봤기 때문에 일견 어떤 상황일까 하는 생각이 들지만, 지지가 원치 않았다'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키어의 강간은 확실한 사실이다. 에고에 가득찬 인물이 어떻게 타인의 생각을 짓밟고 자신만을 강조하는지 키어를 통해 볼 수
있다.
데이트 폭력에 관한 청소년 소설로 상대방을 생각하지 않는 주인공의 모습이 잘 표현된 작품이기도 하지만, 우리는 키어라는 인물을 통해 차갑고
잔인한 범죄자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를 알 수 있다. 타인과 조율하고 교감할 수 없는 자신만 가득찬 사람, 자신을 우선하기 위해 타인을 냉정한
계산 위에 올려놓아도 무감한 사람이 바로 키어이다. 그런 인물이 꼭 키어와 같은 범죄를 일으키는 사람이 되지 않는다고 해도, 우리 곁에 있다면
인간적인 유대가 공감되지 않는 단절감을 느낄 것이다.
우리는 이제 이해되지 않는 낯선 상황에 떨어진 키어의 시선에서 '나'를 분리해낸다. 키어의 시선과 나의 시선을 동일시하며 느꼈던 불편함을
정체를 깨닫게 된다. 나는 자기합리화에 빠진, 자기애에 집중하는 이기적이고 유아적인 행동을 일삼는 키어를 객관적인 눈으로 보게 된다. 인물에
대한 파악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장치로 독자의 반응을 극대화할 수 있는 요소였다. 읽기에는 편하지 않을지 몰라도 재미있는 방향으로 서술된
좋은 책이었다. 조각 퍼즐을, 끊어진 필름을 맞추어 보는 듯한 느낌을 주는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