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찬란 ㅣ 문학과지성 시인선 373
이병률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0년 2월
평점 :
시집을 읽게 된 것은 얼마되지 않았으나, 이토록 즐겁고 기쁘게 여기게 된 것은 바로 시인 이병률의 시집, '찬란'을 만나게 되었기 때문이다. 시인의 이름도, 이 시집의 제목도 들어본 적이 없으나 서가에 꽂혀있는 시집 중 눈에 띄어 꺼내어 읽기 시작했다. 그리고 그 안의 담겨있던 시들과의 만남은, 오래된 표현일지도 모르겠지만 '찬란'했다. 시 읽기의 즐거움, 마음에 드는 문구를 마주하고 나오는 깊은 들숨과 날숨을 이병률 시인의 시집 '찬란'을 통해서 새삼스럽게도 다시 느끼게 되었다.
시인의 시들을 읽다보면, 지극히 일상적이면서도 아름다운 표현들이 곳곳에 있어 마치 꺾인 길목을 돌아 나서다 마주오는 어떤 커다란 것과 생각지 못하게 맞대어 선 듯한 느낌이 든다. 시인은 같은 것을 먹고도 다른 존재가 되도록 소화하는 재주를 가진 사람들인지, 삶의 소소한 순간들을 자신만의 언어로 풀어내는 그만의 힘이 참으로 감탄스럽다. 시인의 표현처럼 "어떻게 신은 한 사람 안에다/한 사람을 들여놓게 만들었는지" (슬픔의 바퀴' 일부) 신이 따로이 영혼을 빚어낸 평범한 사람의 틀 안의 특별한 사람이 느껴지는 듯한 기분이 들었다.
" 생활에게
일하러 나가면서 절반의 나를 집에 놔두고 간다
집에 있으면 해악이 없으며
민첩하지 않아도 되니
그것은 다행한 일
나는 집에 있으면서 절반의 나를 내보낸다
밭에 내보내기도 하고 비행기를 태우기도 하고
먼 데로 장가를 보내기도 한다
반죽만큼 절반을 뚝 떼어내 살다 보면
나는 어디에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곳에도 없으며
그리하여 더군다나 아무것도 아니라면 좀 살 만하지 않을까
그중에서도 살아갈 힘을 구하는 것은
당신도 아니고 누구도 아니며
바람도 아니고 불안도 아닌
그저 애를 쓰는 것뿐이어서
단지 그뿐이어서 무릎 삭는 줄도 모르는 건 아닌가
이러니 정작 내가 사는 일은 쥐나 쫓는 일이 아닌가 한다
절반으로 나눠 살기 어려울 때는
내가 하나가 아니라 차라리 둘이어서
하나를 구석지로 몰고 몰아
잔인하게 붙잡을 수도 있을 터이니 "
자신을 반으로 나눠 안전한 집에 두고 반을 챙겨 밖으로 나서는 시인의 마음을 알 것도 같았다. 일하기가 힘들 때면 나와 같은 사람이 하나쯤 더 있어서 그 애에게는 일을 시키고, 나는 좀 쉬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할 때가 있는데 그와 조금은 비슷하단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다시 생각해보니 시인은 그런 나태함보다는 좀 더 다른, 자기 위안과 휴식의 느낌으로 자신을 하나 더 두기 보다는 나를 반으로 떼어내려는 생각을 했을지도 모르겠다. 시인은 나눠 살기 어려울 때 차라리 둘이었으면 했지만, 나는 이 시를 읽고서야 둘을 떠올리지 않고 나를 나누는 법을 배웠다.
" 모독
내가 당신을 먹는 풍습에 관하여
할 말이 있다면 당신은 해보라
내가 끔벅끔벅하는 것은
감정을 연장하자는 것도 아니고
소리를 치지 못해서도 아니다
암굴로 데려와 맨발로 당신을 먹는 것은
극지에 모아둔 당신을 일으켜 살기를 채우는 것
깜깜한 당신의 시간을 갈아엎는 것은
환멸의 뼈를 발라 거는 것
먹으면 죽어서 달의 빛이 되고
당신의 비명으로 출처가 남겠지만
당신을 낡아가야 하리라
너무 많은 절박조차도 마르게 했으므로
그러나 끝도 없이 고단했던 당신의 몸
당신을 피할 수는 없었으리라
존재하느라 몸을 떨어 감정을 파먹었던 당신을
당신이 숱하게 피를 먹던 기록을 지우는 것이니
내가 이리도 한사코 먹겠다는 것은 나란히 소멸하자는 것이다
그러니 당신은 찢기면서도 그리 알라 "
이 시를 읽으면서 말 그대로의 의미로 시를 생각했다. 얼마 전에 읽었던 법의학자의 책에서 사랑하는 사람을 먹고 싶다는 욕망에 휩싸인 남자에 대한 내용을 읽었기 때문이다. 그 분야의 전문가?인 사가와 잇세이의 이야기를 예로 들어 나왔기 때문에 먹고 싶다'는 욕구가 어쩌면 그렇게 소수의 것만은 아닐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했었다. 사랑이라는 감정에서 대상에 대한 소유의 욕구를 발현하는 또 하나의 통로로 먹고 싶다는 느낌을 꼽을 수 있을까 모르겠다.
-도의적인 측면에서 보면 불가해한 일이겠지만, 실제로 그런 사람들이 존재하고 있다. 가볍게 하는 말일지도 모르겠지만 깨물어주고 싶다'는 표현 역시 그런 욕구를 어느 정도 포함한 말이라고 생각한다. 이 시에서, 당신을 먹는 풍습'이라 하는 것이 문자 그대로의 뜻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 그대로의 의미로 생각해도 공감을 할 수 있다는 것이 인상적이다. 생각외의 부분은 대상을 먹고 싶다는 욕구가 소유욕으로 인한 것이리라 생각했는데, 이 시에서는 나란한 소멸을 이야기하고 있다는 점이다.
" 왼쪽으로 가면 화평합니다
왼쪽으로 가면 마을이고 오른쪽으로 가면 바다입니다
마을을 가려면 삼 일이 걸리고 바다로 가려면 이틀이 걸립니다
삼 일은 내 자신이고 이틀은 당신입니다
혼자 밥을 먹다 행을 줄이기로 합니다
찬바람에 토하듯
나무가 잎을 떨구는 것과 마찬가집니다
스친 것으로 무슨 인연을 말할 수 있을 것이며
날아오른다고 하여
이 과도한 행을 벗어나거나 피할 수 있을 것인지
물가에 내놓은 나는 날마다 물가에 가 닿지 못하고
풍만한 먼지 타래만 가구 옆에 쌓아갑니다
춤을 추겠다고 감히 인생을 밟은 것도 아닌데
왜 나는 날마다 치명적 오류 속에 있습니까
참으로 나는 왼쪽으로 멀리 가다가도
막을 수 없어서 바다로 갑니다 "
나에게로 가면 화평할 것을 당신에게로 가는 길을 막을 수 없어 날마다 치명적 오류 속에 바다로 향하고 있다는 시를 읽으며 삶과, 프로스트의 가지 않은 길"을 떠올렸다. 삶은 언제나 두갈래 길의 선택의 중간에 서는 것이며, 그 갈래길에서 나는 자신이 아니라 삶이 이끄는 힘에 의해 운명과 같은 길을 선택하여 걷는 것이라는 생각을 했다. 그리고 그것이 결국 자신의 삶을 달라지게 만드는 것이라고. 그리고, 나에게로 향하다 결국 타인에게로 발걸음을 돌리게 되는 것처럼, 삶은 타인에게 타인에게 끊임없이 말을 걸고 다가서는 멀리 떨어진 섬이 가깝도록 소통하는 일의 반복이 된다. 하지만 타인의 곁에 다가가도 그와 완전히 닿지 못한다. 그저 자신의 존재를 그 옆에 켜켜이 쌓고 또 쌓을 뿐이다. 시인은 왼쪽으로 가면 화평하다고 말하면서도 왼쪽으로 가지 않는다. 가지 못하는 것처럼. 삶 자체가 어떤 것인지 이 시를 통해서 생각하게 된다.
시를 읽으며 느낀 것들, 생각한 것들을 온전히 담아낼 재주가 없다. 담아내놓을 만큼의 것을 갖고 있지도 않지만, 표현할 길이 없는 이 느낌을 그러안고 시인의 다른 시를 언젠가 다시 만나보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