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이 좋아하는 단편의 유형은 무엇인가요? 짧은 독서 인생이지만 그래도 단편으로 유명한 작가들의 책을 몇편 읽어보았는데, 개인적으로 좋았던 단편작가를 꼽으라고 하면 ˝체호프˝와 ˝모파상˝ 을 들 수 있겠다.
이들 작품의 특징을 생각해보면 이들의 이야기는 착한 이야기라기 보다는 인간의 악하고 취약한 본성에 대해 한번쯤 생각해 보게 한다는 점에서 좋았다. 얼마전에 운전하면서 ˝오 헨리˝의 단편집을 오디오북으로 들었는데, 뭔가 이야기가 감동스러운 측면이 있어서 좋았지만 개인적인 취향은 아니었었다. 뭔가 감동을 주기위해 쓰여진 이야기라는 느낌? 하지만 주말에 ˝모파상˝의 단편들을 읽으니 ˝이게 내가 좋아하는 단편 스타일이지˝하는 느낌을 받았다.
열린책들 35주년 세트에 포함되어 있는 ˝모파상˝의 <비곗덩어리>에는 <비곗덩어리>, <두친구>,<목걸이> 등 세 작품이 실려있다. 나는 예전에 이 세 작품을 모두 읽어봤어서 새롭지는 않았는데 다시 읽어도 너무 좋았다.
1. 비곗덩어리
워낙 유명한 작품이라 많은 사람들이 읽어봤을만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다수를 위한 한 사람의 희생을 정당하게 볼 수 있는가? 라는 질문을 독자에게 던져준다. 보블전쟁을 배경으로, 열명의 피난민이 마차를 타고 도망가는 도중 프로이센의 점령지에 발이 묶이게 된다. 이 피난민 무리에는 부르주아 부부 3쌍, 2명의 수녀, 1명의 민주주의 투사, 그리고 비곗덩어라 불리는 화류계 여인 ˝엘리자베트˝ 가 타고 있었다.
프로이센 점령지역의 책임장교는 피난민 무리에 있는 ˝엘리자베트˝의 접대를 요구하고, 이를 받아들이지 않으면 피난민들의 발을 계속 묶을 것이라고 협박한다. 하지만 애국심이 투철하고 자존심심이 강한 ˝엘리자베트˝는 이를 단호히 거부한다. 하지만 피난민 무리들은 그녀 앞에서는 직접적이지 않지만 은연중에 ˝엘리자베트˝의 접대를 강요하게 되고 심지어 함께 있던 수녀들 마저도 이러한 아이러니를 묵인하게 된다.
결국 피난민들의 강요와 그들의 탈출을 위해 ˝엘리자베트˝는 결국 마지못해 프로이센 장교에게 접대를 하게 되고, 다음날 피난민의 마차는 출발하게 된다. 하지만 3쌍의 부르주아 부부는 ˝엘리자베트˝에게 감사하는 태도는 커녕 경멸하는 태도를 보이고, 식사를 준비하지 못한 ˝엘리자베트˝에게 음식을 권하지도 않는다.
결국 그녀는 부끄러움과 수치심에 의해 서로운 눈물을 흘리게 되고, 그렇게 이야기는 끝났다. 목숨 앞에서 그렇게 비굴하게 굴고 방관하던 그들은, 목숨이 보장 받게되자 그들은 그녀의 희생따위는 무시한다.
과연 경멸받을 행동을 한 사람은 누구였을까?
2. 두 친구
˝사는게 그런 거지˝ 그가 말했다.
˝죽느게 그런 거라고 말해야지˝ 친구가 고쳐 말하며 웃었다.
낚시를 좋아하는 두 친구는 프로이센과의 접경지역인 ‘센강‘으로 낚시를 간다. 두 친구는 낚시를 하러 가면서 ˝프로이센군을 만나면 어떻하지?˝라는 친구의 질문에, ˝생선이나 한 마리 튀겨 주지 뭐˝ 하고 대답한다.
그런데 말이 씨가 된다고 프랑스인 두 친구는 프로이센군에게 체포되게 되고, 두 친구는 프로이센군들로 부터 프랑스 초소의 암구호를 말하라고 협박을 받지만, 두 친구는 말하지 않는다. 그리고 두 친구는 처형당하고, 프로이센 장교는 두 친구가 잡은 물고기를 산채로 튀겨라고 지시하면서 이야기는 끝났다.
애국심에 관한 이야기가 아닌, 삶과 죽음에 관한 아이러니를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물고기가 의미하는 것은 무엇일까?
3. 목걸이
가난한 집안의 부부인 루아젤 부부, 그들은 장관 관저에서 열리는 연회헤 초대를 받게 된다. 하지만 부인인 ˝마틸드˝는 차려입을 옷이 없다고 남편에게 한탄하고, 남편은 그녀에게 값비싼 옷을 사주게 된다. 그렇게 옷을 샀지만 그녀는 이번에는 장신구가 없음을 한탄하게 되고, 장신구를 살 돈이 없다는 걸 알게 된 그녀는 자신의 부유한 친구인 ˝포레스티˝ 부인을 찾아가 ‘다이아몬드 목걸이‘를 빌리게 된다.
다이아몬드를 착용하고 연회에 참석한 그녀는 연회에서 주목을 받게 되고 커다란 행복감을 느끼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행복도 잠시, 그녀는 자신이 친구에게 빌린 다이아몬드 목걸이가 없어진 것을 알고 놀라게 되며, 찾으려고 애를 써보지만 찾지 못한다. 결국 친구에게 잃어버렸다는 사실을 숨긴 채 큰 빚을 지고 친구의 다이아몬드 목걸이와 유사한 제품을 사서 친구에게 돌려준다.
부부는 빚을 갚기 위해 집도 옮기고, 하녀도 내보내고, 미친듯이 일한다. 결국 10년동안 일을 하면서 빚을 청산하게 된다. 그러는 동안 그들은 삶과 행복을 잃어버린다.
그 목걸이를 잃어버리지 않았더라면 부부의 인생은 어땠을까? 확답 할 수는 없지만 그래도 더 행복하지 않았을까? 이 작품 역시 인생에 대한 아이러니를 잘 보여주는 작품으로, 지나친 욕심과 자존심이 인생을 어떻게 나락으로 빠뜨리는 지를 재미있게 그리고 있다. 언제나 지나친 욕심은 금물이라는 생각이 든다.
열린책들 35주년 세트 <비곗덩어리>에는 3편의 단편만 실려 있어서 다소 아쉬웠다. 내가 가지고 있는 ˝모파상˝ 단편집은 ‘팽귄 클래식‘에서 출판된 <어떤 정염> 하고, ‘민음사‘에서 출판된 <두 친구> 이며, ‘열린 책들‘에서 출판된 모파상 단편집은 아직 읽어 보지는 않았지만, 의리 차원에서 혹시 안 읽은 작품들이 수록되어 있다면 읽어봐야 겠다.
ps. 생각해보니 막장 중의 막장이라는 장편 <벨아미>를 구매해 놓고도 아직 못읽고 있는데, <벨아미>를 먼저 읽어야 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