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2014 세계경제의 미래]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2013-2014 세계경제의 미래
해리 S. 덴트 & 로드니 존슨 지음, 권성희 옮김 / 청림출판 / 2012년 11월
평점 :
절판
작년 12월부터 올 1월 들어서까지 2013년 새해의 경제와 사회상을 예측하는 책을 여러권 읽었다. 작년까지만 해도 그런 책들을 보면 부정적인 말보다 - 새해에 대한 기대를 담아 약간은 부풀린 감이 없지 않은 - 긍정적인 내용들이 많았는데, 올해에 대한 책들은 하나같이 부정적인 예측이 압도적으로 많다. 경기가 안 좋다는 것은 피부로 느끼고 있는 사실이라서 크게 아쉽지는 않지만, 내 느낌보다도 더욱 부정적인 글들을 보다보면 얼음물을 뒤집어쓴 듯 정신이 번쩍 나고 열심히 살아야겠다는 생각이 절로 든다.
경제예측 연구소 HS덴트의 해리 덴트와 로드니 존스가 함께 쓴 <2013-2014 세계경제의 미래> 역시 새해에 대한 부정적인 전망 위주다. 이 책은 인구학적 통계에 근거하여 경제 예측을 하는 점이 특징이다. 저자에 따르면, 각 나라의 인구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베이비부머 세대가 자녀들을 졸업 또는 취업시키고, 본인들은 퇴직을 하는 연령이 되고 있는 점이 앞으로의 세계 경제의 가장 큰 변수라고 한다. 인간은 가격이나 금리가 아닌 생애주기에 따라 소비를 결정하는 존재인데, 현재 베이비부머 세대는 가족수가 줄면서 소비 요인은 적어진 반면 은퇴로 인해 저축 동기는 강해지고 있다. 그 결과 소비의 감소로 인해 디플레이션 시대가 오고, 기업과 정부는 호황을 기대하기가 어렵게 된다는 것이다.
베이비부머 세대에게는 어떤 느낌이 들지 모르지만, 그들의 자식 세대인 사람으로서 이 책을 읽으면서 참 마음이 아팠다. 일단 비중이 가장 큰 인구 집단을 표적 집단으로 삼는 마케팅의 특성상 기업들의 주 타겟은 앞으로도 베이비부머 세대일 것이라고 한다. 패스트푸드 업체인 맥도널드에 어른들 몸에 좋은 샐러드 메뉴가 추가된다든가, 프라임타임의 TV 프로그램이 전처럼 2,30대 아닌 4,50대 위주로 편성되는 것도 그런 의미로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베이비부머 세대의 욕심으로 가열된 대학 입시 열풍이 비용만큼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으며 앞으로 명문대의 '간판값'은 예전만큼 높게 쳐주지 않을 예측도 씁쓸했다. 과연 그들의 자식 세대들은 무엇을 위해 살아온 것일까?
그 결과 베이비부머 세대들의 자식 세대들은 소비를 혐오하고, 환경이나 인권 같은 무형의 가치를 선호하는 세대가 되었다고 하니 그것은 좋은 일인지도 모르겠다. 또한 기업의 힘이 커지면 고용자가 설 곳은 줄어들 것이니 스스로 기업이 되는 것도 괜찮은 선택이라는 문장도 마음에 와닿는다. ('누구든 사업가가 되어야 한다' p.345) 쓴 약이 몸에 좋다는 말도 있듯이, 씁쓸한 현실이 도리어 기회가 될지도 모른다. 저자는 미래 세대에게 이런 메시지를 전하고 싶었던 것이 아닌가 생각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