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는 왜 성공할수록 불안해할까 - 남에겐 관대하고 나에겐 가혹한 여성들의 가면 증후군 탐구
밸러리 영 지음, 강성희 옮김 / 갈매나무 / 2024년 11월
평점 :
요즘 나는 <시카고 메드>라는 미국의 의학 드라마를 보고 있다. 병원이 배경인 만큼 등장 인물 대부분이 유능하고 숙련된 의료진인데, 의외로 많은 수의 캐릭터가 자신의 능력을 의심하거나 심지어 스스로를 거짓말쟁이, 사기꾼으로 여긴다. 햇병아리 의사, 간호사는 물론이고 몇십 년 차 전문의조차 자신의 판단이나 결정에 확신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면서 두려움이나 불안감이 반드시 자신의 능력이나 성취와 연관되어 있는 건 아니라고 느꼈다. 문제는 그러한 자기의심 때문에 도전이나 성공을 포기하는 사람들이 실제로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그런 가면 증후군 환자들은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많이 발견된다.
<우리는 왜 성공할수록 불안해할까>의 저자인 미국의 심리학자 밸러리 영은 40여 년 동안 가면 증후군을 연구해 왔다. 가면 증후군이란 자신에게 지능도 능력도 부족하다고 일관되게 믿는 사람들을 가리키는 말이다. 이들은 자신의 성취가 타인의 칭찬과 인정을 받을 자격이 없다고 확신하며 모든 것이 운, 매력, 인맥, 기타 외부 요인들 덕분이라고 생각한다. 그들은 자신에게 과거의 성공을 되풀이할 능력이 있는지 끊임없이 의심한다. 심지어 성공을 거두면 즐기는 대신 결국 자신의 무능이 발각되어 창피를 당하게 될 거라는 두려움 속에서 살아간다.
그렇다면 가면 증후군의 원인은 무엇일까. 책에 따르면 날 때부터 가면 증후군인 사람은 없다. 양육자로부터 완벽을 요구받는 환경에서 자랐거나, 학교나 직장 등에서 끊임없이 타인과 비교하고 경쟁하는 상황에 노출되어 있거나,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거나 소속감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에 가면 증후군의 증상이 심해진다. 집단에서 약자, 소수자라고 느끼는 상황도 가면 증후군을 악화시킨다. 특정 성별, 지역, 학교, 종교, 피부색, 성정체성 등이 다수를 차지하는 집단에 속하게 된 경우가 대표적이다. 이런 경우에 해당하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몇 배의 불안감을 느끼며 지금의 자리에 온 것이다.
이를 반대로 생각하면 어느 집단의 다수에 해당하는 사람들은 상대적으로 덜 노력하고도 그 집단에 속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남초 집단의 남성이 대표적이다. 책에 인용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여성 과학자들이 연구 보조금을 신청한 남성 과학자들과 동일한 능력 점수를 얻기 위해서는 2.5배 더 많은 연구와 그만큼의 출판물이 있어야 했다. 다시 말해, 남성은 여성보다 훨씬 더 적게 일하고도 더 멀리 나아갈 수 있었다. "이 발견은 소수자 우대정책이 '수준 저하'를 가져올 거라는 고정관념과 달리 남성의 평범함은 한 번도 성공의 장애 요소가 된 적이 없었음을 확인해 주었다." (83)
그렇다면 가면 증후군을 극복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사회 변화가 우선이겠지만 개인적인 차원에서 해볼 수 있는 시도로는 실패나 실수, 비판을 개인적인 공격으로 받아들이지 말고 성공으로 향하는 길에서 불가피하게 마주쳐야 하는 소중한 교훈을 얻는 계기로 인식하는 연습을 하는 것이다. 책에 인용된 스탠퍼드대학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남자아이들은 여자아이들보다 여덟 배 더 많은 비판을 받으며 자란다. 남성이 비판에 더 강한 이유는 비판에 더 자주 노출되는 환경에서 자라면서 그러한 비판이 궁극적으로 자신을 해칠 수 없다는 걸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여성이 성공을 두려워하고 포기하는 이유 중에는 가면 증후군도 있지만 성공에 대한 정의가 다른 것도 있다. 많은 남성들이 지위, 돈, 권력을 추구하는 반면, 여성들은 여전히 일과 가정의 융합, 공적 생활과 사적 생활의 양립을 중시한다. 남자만큼 성공하고 싶지만 남자처럼 성공하고 싶지는 않다는 생각을 해온 사람으로서 이러한 저자의 분석에 크게 공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