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티컬 매스 - 1퍼센트 남겨두고 멈춘 그대에게
백지연 지음 / 알마 / 201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음에 비전이 있는 사람은 자신 스스로 성공을 정의한다. 즉 세상에서 좋다고 말하는 대학에 가서 취직 잘하고, 잘 벌고, 잘 먹고, 잘 살고 하는 식의 성공 잣대를 그대로 따르는 게 아니다. 자신의 삶에 의미를 주는 성공을 스스로 재정의하는 것이다. 그 지점을 향해 달려가는 사람은 크리티컬 매스에 도달할 수 있다. 그리고 크리티컬 매스를 폭발시켜 도약할 수 있다. (p.77)  
   

 

<크리티컬 매스>에 대해 인터넷상에 올라온 리뷰를 보다보니 의외로 critical mass라는 말 자체가 무슨 뜻인지 모른다는 글이 많았다. 단어뜻은 알지만 정확한 의미는 몰라서 사전을 찾아보니 '핵분열시 연쇄 반응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최소 질량'이라는 뜻을 가진 물리학 용어로(난 문과라서 다행이야...), 외국에서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는 데 필요한 최소의 수'라는 뜻으로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다고 한다. 여기까지 읽고도 사실 속으로는 '에이, 그래도 얼마나 일.반.적 으로 쓰이겠어?' 하는 의구심이 들었는데, 마침 오늘 오전에 본 미국 뉴스에서 인터뷰이가 딱 'critical mass'라는 말을 쓰더라....(;;;)

  

각설하고, 이 책은 tvN에서 진행하는 인터뷰 전문 프로그램 <피플 인사이드> 100회 방영을 기념하여 진행자 백지연이 그동안 인터뷰한 이 시대의 명사들에 대한 이야기를 묶어서 쓴 책이다. '할 수 있어, 믿는다, 괜찮다' 이런 글만 보면 여느 자기계발서와 크게 다른 것 같지 않아 보이지만, 읽어보니 백지연이 인터뷰한 100명의 명사들의 삶이 요점만 쏙쏙 깔끔하게 정리되어 있고, 거기에 백지연이 인터뷰어로서 느낀 점이나 방송 뒷이야기도 함께 실려있어서 괜찮은 에세이를 읽은 기분이었다.

 

안철수, 박경철, 김성주, 김용(다트머스 대학 총장) 등 평소 존경해온 인물들의 이야기도 실려 있고, 김혜자, 박중훈, 장혁 등 잘 알려진 연예인들의 이야기도 나온다. 활동하는 분야도 다르고 개성도 다양하지만, 이들의 공통점은 남들이 뭐라해도 한 가지 삶의 목표를 향해 진득하게 노력한 결과, 남들보다 조금 느리고 힘들었을지 몰라도 누구보다도 빛나는 삶을 살고 있다는 것이다. 저자는 그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이런 공통점을 발견했고, 이를 '크리티컬 매스'라는 용어를 빌려 표현했다.

 

이 책에서 나는 무엇보다도 저자가 <논어>, <고백록> 등 고전을 비롯한 다양한 책으로부터 글을 인용한 점이 인상적이었다. 한 번의 인터뷰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몇 백 장의 자료를 읽어야 한다는데, 그러는 중에도 틈틈이 동서양의 고전을 읽고 부지런히 독서를 해왔다니... 거기에 같은 앵커우먼인 바버라 월터스는 물론이요, 키타노 타케시까지 인용한 부분에서는 감탄이 절로 나왔다. 사람에 대한 관심, 세상에 대한 호기심이 그녀로 하여금 독서를 하고, 오랫동안 방송을 하게끔 한 것이 아닐까. 참 멋지다. 그녀가 지금까지도 국내 최고의 앵커우먼으로 군림하고 있는 이유를 알 것 같다.

 

무언가에 몰두하여 하나의 업적을 완성하고 역사와 시대에 이름을 새긴 사람들은 보통 사람들의 길을 걷지 않았다. 바보 같다는 소리를 들을만큼 미련하게, 미쳤다는 소리를 들을만큼 광적으로 매달렸다. 돈의 힘과 긍정의 힘에 취한 사회에서 명예나 업적을 논한다는 것은 정말 미친 소리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 경지에 도달해보지 못한 범인들은 죽었다깨도 알지못하는 무언가가 있을터ㅡ 그것이 무엇일까? 그것을 알기 전까지는 행여 꿈에서라도 이 괴로운 희망을 놓지 못할 것 같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이리시스 2011-06-12 20: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 이거 읽고 싶어요!^^

키치 2011-06-12 21:42   좋아요 0 | URL
기대에 비해 좋았는데 아이리시스 님은 어떻게 느끼실지 궁금하네요 ^^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