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드리머
모래 지음 / 고블 / 2025년 2월
평점 :

<우리의 오리와 그를 찾는 모험>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한 소설가 모래의 장편소설 <드리머>는 마치 한 편의 청춘 영화 같은 장면으로 시작한다. 기철과 여정, 필립, 명우는 스무 살 동갑내기 친구 사이다. 이들은 여느 청춘들과 마찬가지로 돈이 없는 대신 시간은 널널하다. 그래서 틈만 나면 필립의 옥탑방에 모여 라면을 끓여 먹거나 술을 마시며 남아 도는 시간을 죽인다. 문제의 여름 날에도 언제나처럼 기철과 여정, 명우가 필립의 집으로 모였다. 남들보다 늦게 도착한 명우는 대낮부터 술을 마시며 영양가 없는 소리를 늘어놓는 여정과 그런 여정의 헛소리를 별 대꾸도 없이 듣고 있는 기철과 필립을 한심하게 바라본다.
짜증이 난 상태로 부엌으로 간 명우는 술잔을 찾기 위해 싱크대 위 찬장을 열었다가 낡은 수첩 한 권을 발견한다. 부엌 찬장 안에서 수첩을 발견한 것도 예상 외의 일이었지만, 특이한 만듦새에 이끌려 자기도 모르게 열어본 내지 중에 유독 눈길을 끄는 그림 한 장이 있었다. 그 순간 필립이 다가와 수첩을 채갔고, 명우는 천만 원을 준대도 수첩을 안 판다는 필립의 말을 듣고 더욱 더 호기심을 느낀다. 무슨 수를 써서라도 수첩을 가지겠다는 명우와 수첩을 내주지 않겠다는 필립 사이의 갈등이 심해지자, 보다 못한 기철이 수첩에 얽힌 비화를 들려준다. "그 수첩, 필립네 할머니 거였대. 가리교라고, 그 중국 사이비 종교 있잖아."...
이 소설은 크게 두 갈래로 진행된다. 하나는 주인공인 네 명의 청춘들이 수첩을 둘러싸고 벌이는 갈등이다. 조폭 출신의 아버지를 둔 명우는 친구들 중에 가장 유복하고 좋은 대학에도 다니지만, 무엇을 해도 즐겁지가 않고 이런 게 인생이라면 계속 살 필요가 있을까 하는 생각에 시달렸다. 그러나 수첩을 발견한 후로는 공포가 희열이 되고, 불안이 사라지고, 세상의 비밀을 다 안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 급기야 명우는 수첩을 손에 넣기 위해 기철과 여정을 이용하고, 그렇게 수첩과 관련을 맺게 된 네 사람의 남은 인생은 앞날을 예측하기 힘든 소용돌이 속으로 빠져든다.
다른 하나는 수첩 자체에 얽힌 비밀이다. 소설 속 문제의 종교 '가리교'는 도교 연단술과 불교 밀교 수행, 지역 샤머니즘, 기독교 신앙까지 각종 다양한 종교적 레퍼런스를 섞어서 만든 잡탕 신흥 종교다. 교주인 렁왕웨이는 예지능력과 치유 능력, 텔레파시 등 갖가지 초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여겨지면서 해외에서까지 수많은 신도들을 모았다. 초능력이니 신흥 종교니 하는 걸 누가 믿나 싶기도 하지만,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숟가락을 구부린다든가, 꿈으로 태아의 미래를 알 수 있다든가 하는 소리를 진심으로 믿는다는 걸 생각하면 그리 허무맹랑한 이야기는 아닌 것 같다(종교는 더 말할 것도 없고...).
문제는 초능력이나 신흥 종교 자체라기 보다는 그런 것들에 혹하는 인간들의 심리다. 이 소설은 바로 그 '혹하는' 심리를 박진감 넘치는 이야기로 보여준다. 자기 삶에 100퍼센트 만족하는 인간은 없고, 있다 한들 만족도를 200퍼센트, 300퍼센트로 늘리는 방법이 있다면 알고 싶은 것이 인지상정이다. 그 방법을 모르니까 보통은 돈이나 권력을 탐하는데, 돈이나 권력보다 더 큰 힘을 가진 존재가 있다면 누가 혹하지 않을까. 작가가 소설에 불교와 힌두 사상의 신비주의를 많이 담았다고 하는데, (나처럼) 잘 몰라도 충분히 즐기며 읽을 수 있는 오컬트 스릴러 소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