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독의 이야기들
발터 벤야민 지음, 파울 클레 그림, 김정아 옮김 / 엘리 / 2025년 4월
평점 :

발터 벤야민. 이름은 많이 들어봤지만 그의 책을 제대로 읽어본 적은 없다. 그래서 이 책을 읽기 전에 두려움이 컸다. 주디스 버틀러, 한나 아렌트, 존 버거 등 많은 학자, 사상가들이 이 책을 극찬했다지만, 나로서는 그들의 책도 어려웠다. 그런 생각을 하면서 펼친 이 책. 본격적인 독서에 앞서 저자 소개글부터 찬찬히 읽어 봤다.
발터 벤야민(1892-1940). 독일 출신 유대계 언어철학자, 문예학자, 비평가, 번역가. 1892년 7월 15일 독일 베를린에서 태어났다. 독일 프라이부르크대학, 베를린대학, 뮌헨대학, 스위스 베른대학에서 철학, 독일 문학사 및 예술사, 심리학 공부. 졸업 후 재야에서 문예비평가이자 번역가로 활동. 나치의 박해에 시달리다 프랑스로 망명한 그는 나치의 힘이 파리에도 미치자 미국으로 망명하기로 결심했다. 하지만 프랑스-스페인 국경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스페인 세관에 붙잡히면서 더는 희망이 없다고 판단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그의 최후에 관한 이야기는 들을 때마다 슬프고 안타깝다. 만약 그가 무사히 미국에 도착했다면 세상은 좀 더 달라졌을까.
<고독의 이야기들>은 발터 벤야민이 '노벨레'의 형식을 빌려 집필한 글들과 문학적 테마가 담긴 글들을 묶은 문학작품집이다. 노벨레란 신기하지만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사건을 예술적 구성으로 간결하고 객관적인 묘사로 재현한 비교적 짧은 산문 또는 운문 작품을 의미한다. 읽으면서 같은 독일문화권 작가인 카프카, 재독 소설가 배수아의 글이 떠올랐다. 찾아보니 노벨레의 원조는 독일의 대문호 괴테라고 한다. 괴테의 소설 <노벨레>는 원래 이탈리아어로 '새로운'을 의미했던 이 단어가 현재의 의미로 널리 쓰이는 계기가 되었다.
이 책에 실린 글은 대체로 길이가 짧고, 분위기가 몽환적이고 환상적이다. 각 글이 시작되는 책장마다 독일 화가 파울 클레의 그림이 실려 있어 그림을 보고 이어질 글의 내용을 상상해 보거나 글을 읽으면서 그림과의 관계를 유추해 보는 재미를 느낄 수 있다. 글의 분위기가 몽환적이고 환상적이지만 내용은 의외로 현실적이고 때로는 비판적이기까지 하다. 가령 <황후의 아침>이라는 글을 여는 이런 문장. "건강한 사람들도 가끔은 문필가들의 책을 읽어야 한다. 삶을 살아가면서 삶이 주권자라는 것을, 분립 불가능하고 심층적인, 이해하려고 해도 이해할 수 없는 주권자라는 것을 경험할 수 있기 때문이다." (33쪽)
<두 번째 자아>라는 글의 이런 대목. "당신은 자기 비난으로 저녁을 허비했습니다, 당신은 열등감을 안고 있습니다, 당신은 자기가 억압돼 있다는 느낌을 받고 있습니다, 자기가 느끼는 충동을 따르지 못하는 스스로를 비난하고 있습니다, 그 충동은 두 번째 자아가 당신의 삶으로 통하는 문에 달린 손잡이에 가하는 압력입니다, 그 문이 왜 그렇게 꽉 닫혀 있는지, 왜 억압이 존재하는지, 당신 자신이 왜 충동을 따르지 않고 있는지 당신은 이제 곧 알게 될 겁니다." (43쪽) 이 밖에도 오랫동안 곱씹게 되는 문장들이 많아서 앞으로 이 책을 여러 번 반복해 읽게 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