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무튼, 미드 - EVERYBODY LIES ㅣ 아무튼 시리즈 68
손보미 지음 / 제철소 / 2024년 6월
평점 :

<아무튼, 미드>는 미드(미국 드라마) 마니아로 유명한 소설가 손보미가 특별히 아끼는 미드를 소개하는 책이다. 그동안 미드를 나름 열심히 봤다고 생각했는데, 이 책에 소개된 드라마 중에 제대로 본 건 <로스트>뿐이다. (<로스트>도 본 지 너무 오래되어 줄거리와 결말이 가물가물하다. 결국 넷플릭스에서 다시 보기 시작함.) <오자크>와 <트윈 픽스> 빼고는 전부 들어본 적 있는데 왜 안 봤을까. 신기하게도 저자가 이 책에서 언급만 하고 넘어가거나 좋아하지 않는다고 밝힌 작품 중에는 내가 본 것이(그것도 엄청 재미있게 본 것이) 꽤 많다. <프렌즈>라든가 라든가 라든가...
미드를 열심히 본 것이 저자의 소설 창작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알려주는 대목도 흥미로웠다. 학창 시절 내내 수학과 과학 공부를 등한시 했는데 <로스트>의 내용을 더욱 잘 이해하고 싶어서 양자 역학, 평행 우주, 불확정성 원리 등을 공부하기 시작했고, 그렇게 공부해서 알게 된 것들을 <디어 랄프 로렌>, <그들에게 린디합을> 등에 반영했다니 신기했다. 저자의 소설에 미국의 인명이나 지명이 자주 등장하는 것이나, <작은 동네>, <사라진 숲의 아이들> 같은 범죄 스릴러물을 꾸준히 발표해온 것도 미드의 영향인가 싶다.
아무튼 이 책을 읽고 나서 보고 싶은 미드가 아주 많이 생겼다. 첫 방영일자가 가장 오래된 <사인필드>부터 보기 시작했는데, 저자 말대로 배경이며 연출이며 캐릭터 설정까지 <프렌즈>, <윌 앤 그레이스>, <섹스 앤 더 시티> 같은 후대의 시트콤, 드라마 등에 많은 영향을 준 것이 눈에 보인다. <사인필드>를 다 보고 나면 <사인필드>에 나오는 배우 중 하나인 줄리아 루이드라이퍼스가 주연을 맡은 <부통령이 필요해(VEEP)>를 보고 싶다. <프렌즈>를 다시 보거나 <윌 앤 그레이스>를 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고. <더 오피스>, <커뮤니티>도 재미있을 것 같고. <로스트>도 보고 있는데 언제 다 보나...
내 버전의 <아무튼, 미드>를 써보고 싶다는 생각도 들었다. 미드를 가장 열심히 봤던 대학생 시절에 좋아했던 작품으로는 <퀴어 애즈 포크>, <그레이 아나토미>, , 등이 떠오르고, <콜드 케이스>, <오렌지 이즈 더 뉴 블랙> 등도 생각난다. 최근에 재미있게 본 작품으로는 <9-1-1> 시리즈와 <시카고 파이어>를 비롯한 시카고 유니버스가 있다. 최근에는 미드보다 영국이나 북유럽 국가의 드라마를 더 즐겨 보는데, 미국인들 특유의 자본 친화적이고 이성애-유성애 중심적인 면을 불편하게 느껴서 그런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좋아했고 좋아한 미드에 대해 한 번쯤 진지하게 생각해 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