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원사를 위한 라틴어 수업 - 식물의 이름을 이해하는 법
리처드 버드 지음, 이선 옮김 / 궁리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식물 팟캐스트를 즐겨듣는 편이다. 식물 팟캐스트를 듣다 보면 진행자의 입에서 식물의 학명이 나올 때가 있는데, 그때마다 저런 어려운 이름을 어떻게 외우는지 궁금하고 신기하다. 식물의 학명을 보다 쉽게 외울 수 있을까 싶어서 구입한 게 이 책이다. 책에는 라틴어로 된 수많은 식물 용어의 어원과 역사, 의미 등이 자세히 나온다. 


식물을 부르는 이름은 나라마다 다르지만(예: 한국에선 장미, 미국에선 'rose', 일본에선 '薔薇'), 학명은 동일하다(장미의 학명은 'Rosa hybrida'). 식물의 학명은 18세기에 이르러 체계화되었다. 1753년 린네가 현대적 체계의 명명법을 고안했다. 라틴어로 학명을 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은 이유는, 라틴어가 당시 서양 세계의 공용어이기도 했고 과학의 언어이기도 했기 때문이다. 라틴어가 지금은 사용되지 않는 사어(死語)라서 더 이상 변형되지 않는다는 것도 유리하게 작용되지 않았을까 싶다. 


책에는 식물의 학명에 주로 쓰이는 접두사, 접미사 등이 잘 정리되어 있다. 식물의 색깔과 무늬, 형태, 질감, 크기뿐 아니라 자라는 방향, 향기와 맛, 개화기, 서식지, 다른 것들과의 유사성 등에 따라서도 학명이 정해질 수 있다는 것이 신기했다. 사람의 이름을 딴 학명도 많은데, 성비는 남성이 여성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다. 뛰어난 여성 식물학자였던 율리아 므오코세비치는 페오니아 므로코세윗스키, 프리물라 율리에 등을 발견하고 자신의 이름을 따서 명명했다. 멋진 일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돌이 2020-12-15 09: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원사를 위해 라틴어라니 갸웃했는데 학명 얘기군요. 아 정말 책의 세계는 무궁무진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