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심할수록 똑똑해진다 - 멍때림이 만드는 위대한 변화
마누시 조모로디 지음, 김유미 옮김 / 와이즈베리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를 돌아보는 시간을 갖게 되면서 발견한 것은 내가 깨어있는 시간 중에 아무것도 하지 않는 공백의 시간이 단 한순간도 없다는 사실이었다. 그리고 나의 공범은 휴대폰이었다." (11쪽) 


<심심할수록 똑똑해진다>의 저자 마누시 조모로디는 뉴욕 공영 라디오 방송국의 인기 팟캐스트 진행자다. 저자는 자신이 진행하는 팟캐스트 프로그램에서 재미있는 실험 하나를 했다. 7일 동안 디지털 기기로부터 언플러그하고 지루함을 즐기면서 삶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결과는 놀라웠다. 저자를 포함해 실험에 참가한 사람들의 90퍼센트가 실험 참가 기간 동안 평소와 달리 충분히 생각할 시간을 가졌다고 말했다. 작가들은 밀린 원고를 완성했고, 기업인들은 회사의 오랜 문제를 해결했으며, 교사들은 학생들과 더 많은 시간을 보냈다. 


이 책은 실험 참가자들이 7일 동안 무엇을 시도했고 어떤 변화를 경험했는지 자세히 나온다. 실험의 첫 번째 단계는 자신의 디지털 사용 습관을 관찰하는 것이다. 저자는 휴대폰을 하루 평균 약 100번 열었고, 대화를 하거나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데 약 70분을 소비했다. 저자는 관찰을 통해 만약 자신에게 휴대폰이 없었다면 그만큼의 시간을 다른 창조적인 활동에 사용할 수 있었다는 것을 깨달았다. 


실험의 두 번째 단계는 이동할 때 기기를 손에 닿지 않는 곳에 두는 것이다. 휴대폰이 보급되기 전에는 출퇴근을 하거나 등하교를 할 때 차 안에서 신문을 보거나 책을 읽는 사람이 많았다. 참가자들은 출퇴근을 하거나 등하교를 할 때 휴대폰을 들여다보는 대신 예전처럼 신문을 읽거나 책을 읽거나 음악을 듣거나 사람들을 구경했다. 그 결과 집중력이 훨씬 높아졌고 이동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었다. 


실험의 세 번째 단계는 하루 동안 사진을 찍지 않는 것이다. 미국인들이 휴대폰으로 찍는 사진의 양은 매달 100억 장에 달한다. 프로젝트에 참가한 바네사 장 헤럴드는 자동차가 눈 덮인 배수로에 처박히는 사고가 났을 때, 휴대폰으로 사진을 찍어서 인스타그램에 올리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았지만 꾹 참고 주변을 둘러보면서 멋진 글을 한 편 썼다. 


실험의 네 번째 단계는 앱을 삭제하는 것이다. 저자는 평소에 심심풀이로 하던 게임 앱을 삭제했다. 샌드라라는 참가자는 인스타그램을, 아론이라는 참가자는 트위터를 삭제했다. 약간의 금단증상을 겪기는 했지만 결과적으로는 잘한 일이었다. 앱으로 시간을 보내는 대신 가족들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일이나 취미에 더 집중할 수 있었다. 


이 밖에도 페이크케이션(fakecation, 사무실에 있으되 연결되지 않은 상태)을 떠나라, 다른 것들을 관찰하라, 지루함과 기발함에 도전하라 등 나머지 3단계에 관한 설명과 참가자들의 도전 사례가 나온다. 디지털 기술이 집중력 저하에 미치는 영향, 종이책이 전자책보다 우월한 이유 등도 다룬다. 디지털 중독, 스마트폰 중독, SNS 중독을 걱정하는 독자에게 이 책을 권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알벨루치 2018-05-24 12: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 구매욕이 당깁니다 <포즈>느낌도 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