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노트>    무조건 좋게 결정지어서 맡겨놓기


날짜:2025325

오늘의정진: 從來層磴覺虛行/ 종래층등각허행/예전에 비틀거리며 헛된 수행 하였음을 깨달으니


- 100일 정진, 90일차

어제 증도가(證道歌) 백 일곱 번째와 백 여덟 번째 구절은

<分別名相不知休/ 분별명상부지휴/이름과 모양 분별함을 쉴 줄 모르고

入海算沙徒自困/입해산사도자곤/바닷 속 모래 헤아리듯 헛되이 스스로 피곤하였다

却被如來苦呵責/각피여래고가책/문득 여래의 호된 꾸지람 들으니

數他珍寶有何益/수타진보유하익/남의 보배 세어서 무슨 이익 있을 건가> 였다.


부처님 당시 불교는 교종(敎宗)이나 선종(禪宗)이란 구분이 없었다. 부처님의 말씀을 경전으로 옮기는 과정중에 교종이 탄생했다. 그리고 부처님의 마음을 전하는 가운데서 선종이 탄생했다. 교종과 선종은 본래 둘이 아니다. 두 가지 모두 붓다가 깨달았던 경지로 이끄는 훌륭한 가르침이다.

달마대사가 중국으로 오기 전부터 이미 불법은 중국에 전해져 있었다. 또한 구마라습(334~413) 같은 불세출의 고승에 의해 인도의 경전들이 한문으로 번역되어 대장경이 되었다. 대장경을 배우고 선을 수행하는 수행자들에 의해 점차 중국불교는 교종과 선종을 구분하기 시작했고 또한 가르침을 전수하는 스승에 따라 서로 다른 종파와 문중(門中)으로 나누어지며 발전하기에 이르렀다.

영가현각 (永嘉玄覺 665~713)스님이 출가했던 절강성 지역은 본래 천태종의 발상지였다. 천태종은 선종이 탄생하기 전쯤에 생긴 종파라 사실상 교종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영가스님도 출가 후 당시에 번역된 경전들을 통해 불법을 배웠으리라 추측해 본다. 그러나 불법을 배우는데 교종이든 선종이든 가는 길은 다를지언정 길의 목적지는 분명하다. 수행의 길은 한 가지가 아니기 때문에 자신에게 맞는 길을 찾기 까지는 헤메일 수밖에 없다. 그래서 나를 이끌어 주는 스승님이 필요한 것이다.


오늘은 백 아홉 번째와 백 열 번째 구절

從來層磴覺虛行/ 종래층등각허행/예전에 비틀거리며 헛된 수행 하였음을 깨달으니

多年枉作風塵客/다년왕작풍진객/여러해를 잘못 풍진객 노릇 하였구나

種性仕邪錯知解/종성사착지해/성품에 삿됨을 심고 알음알이 그릇됨이니

不達如來圓頓制/부달여래원돈제/여래의 원돈제를 통달치 못함이로다.


수많은 경전을 읽고 경전속의 가르침을 실천을 한다고 해도 스승이 없다면 자신이 수행하는 길에 대한 확신이 서기 어렵다. 웬만한 신심이 아니고서는 자신이 믿는 바를 제대로 내세울 수가 없기 때문이며 자칫 잘못하면 잘못된 길로 빠져들면 다시 빠져나오기는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그러므로 자신의 수행이 올바른 지에 대한 회의가 들수록 눈 밝은 스승에게 점검을 받아야만 하는 것이다. 영가스님 또한 이러한 과정을 거쳤다. 여러해 동안 자신의 수행이 헛된 수행을 했음을 알게 되고 본래 참성품을 알지 못하고 그저 알음알이의 사견에 빠졌다고 했다. 수행자의 진솔한 고백이 아닐 수 없다. 천태종은 법화경을 소의 경전으로 삼는다. 법화경의 핵심은 일체 모든 중생은 성불할 수 있다는 수기(授記)를 내린 사건이다. 사실상 부처님께서 설했던 모든 84천 법문의 결론은 성불하는 것이다. 하지만 사람들 마다 근기가 다르기 때문에 우리 모두 부처를 이루게 된다는 사실을 받아 들이지를 못한다.

여래의 경지에 단박에 이르는 깨달음을 얻지 못하는 이유가 바로 믿지 못하기 때문이다.


<일일 소견>

믿음은 믿어야지 해서 믿어지는 것이 아니다. 스스로 저절로 믿어져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저장
 

<관노트>    무조건 좋게 결정지어서 맡겨놓기


날짜:2025324

오늘의정진: 分別名相不知休/분별명상부지휴/이름과 모양 분별함을 쉴 줄 모르고


- 100일 정진, 89일차

어제 증도가(證道歌) 백 다섯 번째와 백 여섯 번째 구절은

<是卽龍女頓成佛/시즉용녀돈성불/옳은 즉 용녀가 단박에 성불함이여

非卽善星生陷墜/비즉선성생함추/그른 즉 선성 비구가 산 채로 지옥에 떨어짐이다

吾早年來積學問/오조연래적학문/나는 어려서 부터 학문을 쌓았고

亦曾討疏尋經論/역중토소심경론/일찍 소를 더듬고 경론을 살폈다> 였다.


영가현각 (永嘉玄覺 665~713)스님은 내게 시퍼런 칼을 뽑아 겨었다. 곧장 목 밑에 대고 묻는다.

어서 답을 해라, 너의 대답이 옳다면 성불을 할 것이고, 틀리면 바로 지옥에 떨어질 것이다.”

이 순간,

뭐라고 답을 해야 할까? 머리를 굴리면 내 목은 곧 바로 칼날 아래로 떨어질 것이다.’

답해라. 어서!”

스님의 한 칼에 순간 번쩍이며 주위는 한 순간에 차원의 경계가 갈라져 버린다.


영가스님은 지금 중국의 절강성(浙江省) 온주(溫州) 지역 영가현(永嘉縣) 출신이다. 지금의 절강성은 우리나라 남한 크기의 면적에 인구도 우리나라 인구 수와 비슷하다. 옛부터 절강성은 우리나라 서해안과 맞닿아 있어 상인들의 배가 자주 오고 갔다. 우리나라 심청전에 나오는 중국쪽 뱃사람들이 바로 절강성 사람들이다. 온주는 절강성에서 항주(杭州), 영파(寧波) 다음 가는 도시로 상업이 발달하였다. 스님은 8살 때 동진출가(童眞出家)를 하였다. 또한 무척 총명하여 어릴 때부터 학문을 쌓고 쉽게 경전들을 읽을 줄 알았다.


오늘은 백 일곱 번째와 백 여덟 번째 구절

分別名相不知休/분별명상부지휴/이름과 모양 분별함을 쉴 줄 모르고

入海算沙徒自困/입해산사도자곤/바닷 속 모래 헤아리듯 헛되이 스스로 피곤하였다

却被如來苦呵責/각피여래고가책/문득 여래의 호된 꾸지람 들으니

數他珍寶有何益/수타진보유하익/남의 보배 세어서 무슨 이익 있을 건가


당시 스님은 천태종(天台宗)에 입문을 하였다. 천태종의 지관수행(止觀修行)은 선정과 지혜를 닦는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시대 지눌의 정혜쌍수(定慧雙修)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영가스님도 쉽게 깨우침을 얻지 못한 것 같다. 오늘의 구절은 깨닫기 전에 영가스님 당신이 어떻게 수행을 했는지를 밝히고 있는 부분이다. 이름과 상() , 헛된 망상과 고정 관념의 세계에 빠져 늘 분별하며 살았다는 것이다. 끊임없이 일어나는 분별 망상을 쉬지 않고는 수행은 더 이상의 진전도 없다. 여래의 꾸지람이란 선지식들의 가르침을 통해 자신의 문제점을 파악하게 되었다는 뜻이다. 남의 보배를 세어서 무엇을 하겠느냐 는 말은 경전 속의 아무리 좋은 가르침도 결국 내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는 곧 경전의 글들이 경화수월(鏡花水月) 임을 알았다는 것이다.


<일일 소견>

경화수월(鏡花水月), 거울에 비춰진 꽃과 물에 비춰진 달은 눈으로 볼 수 있으나 잡을 수는 없다는 뜻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저장
 

<관노트>    무조건 좋게 결정지어서 맡겨놓기


날짜:2025323

오늘의정진: 是卽龍女頓成佛/시즉용녀돈성불/옳은 즉 용녀가 단박에 성불함이여


- 100일 정진, 88일차

어제 증도가(證道歌) 백 세 번째와 백 네 번째 구절은

<不是山僧呈人我/불시산승정인아/산승이 인아상을 드러냄이 아니오

修行恐落斷常坑/수행공락단상갱/수행타가 단상의 구덩이에 떨어질까 염려함이로다

非不非是不是/비불비시불시/그름과 그르지 않음과 옳음과 옳지 않음이요

差之毫釐失千里/차지호리실천리/털끝만큼 어긋나도 천리 길로 잃으리도다> 였다.


수행은 철저하게 라는 상()을 죽이는 과정이다. 그 과정은 끊임없이 계속되어야만 한다. 죽인다고 해서 살인 같은 죽임이 아니라 라는 상(), 즉 고정된 관념을 없애는 것이다. 수행은 끊임없는 자기와의 치열한 싸움이며 자칫 잘못하면 엉뚱한 구덩이에 빠질 가능성도 높고, 처음 의도했던 것 하고는 십만팔천리나 멀어지게 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끊어지지 않는 마음을 내야 한다.

이는 곧 금강경의 응무소주이생기심(應無所主而生其心) 마땅히 머무르는 바가 없는 마음을 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오늘은 백 다섯 번째와 백 여섯 번째 구절

是卽龍女頓成佛/시즉용녀돈성불/옳은 즉 용녀가 단박에 성불함이여

非卽善星生陷墜/비즉선성생함추/그른 즉 선성 비구가 산 채로 지옥에 떨어짐이다

吾早年來積學問/오조연래적학문/나는 어려서 부터 학문을 쌓았고

亦曾討疏尋經論/역중토소심경론/일찍 소를 더듬고 경론을 살폈다.


용녀(龍女)가 성불하는 일화는 법화경(法華經)에 나오는 내용이다. 용녀는 큰 바다에 사는 용왕의 딸로 8살 때 법화경의 설법을 듣고 성불하게 되었다. 이에 사람들은 8살 이란 어린 나이에 부처가 되었다는 것에 의심했고, 또한 여자의 몸으로 성불했다는 것을 믿지 않았다. 이는 우리가 얼마나 상()에 집착하는 지를 보여주는 일화이다. 어린이가 성불할 수 있다는 것과 여자가 성불할 수 있다는 것을 당시 사람들은 믿질 않았다. 금강경에서 사상(四相)을 벗어 나야 한다고 했다. 아상(我相), 인상(人相), 중생상(衆生相), 수자상(壽者相)이라는 고정된 모습을 벗어나야 무아(無我)를 이를 수 있다. 용녀가 단박에 성불했다는 일화를 통해 고정된 모습이란 없다는 것을 보여주는 일화이다.

선성비구라는 자는 비록 불교 경전을 암송하고 다녔다고 했으나 불법에 대한 믿음이 없었다. 오히려 승단의 화합을 해쳤고 불법을 비난하고 다녔다. 신성비구의 이러한 행위는 오역죄에 해당되어 결국 산채로 지옥에 떨어졌다는 일화가 있다.

이러한 일화들이 의미하는 바는 진리란 고정된 모습이란 없는 것으로 그 어떠한 상에도 집착하지 말아야 함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일일 소견>

믿음이란 무엇인가? 진리가 고정됨이 없다면 우리는 무엇을 믿어야 하는가? 어쩌면 우리는 믿음을 거론하면 믿음의 대상부터 고려하는 습성이 있다. 누구를 믿을 것인가? 그러나 믿음은 대상이 아니라 방식이 아닐까 싶다. 어떻게 믿을 것인가? 나의 소견으로는 기독교가 믿음에 대하여 대상을 가장 중요시 여겼다면 불교는 믿음에 대한 방식을 좀 더 중요시 하지 않았나 싶다.

누구를 믿을 것인가? 어떻게 믿을 것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저장
 

  <관노트>    무조건 좋게 결정지어서 맡겨놓기


날짜:2025322

오늘의정진: 不是山僧呈人我/불시산승정인아/산승이 인아상을 드러냄이 아니오


- 100일 정진, 87일차

어제 증도가(證道歌) 백 한 번째와 백 두 번째 구절은

<若是野干逐法王/약시야간축법왕/여우가 법왕을 쫓으려 한다면

百年妖怪虛開口/백년요괴허개구/백년 묵은 요괴가 헛 되이 입만 여는 것이라

圓頓敎勿人情/원돈교물인정/원돈교는 인정이 없나니

有疑不決直須爭/유의불결직수쟁/의심이 있어 결정치 못하거든 바로 다툴지어다> 였다.


()에서 소소한 인정(人情)은 필요치 않다. 자비(慈悲)의 종교인 불교에서 살불살조(殺佛殺祖) 같은 선의 과격함은 어쩌면 이단적으로 보인다. 그러나 불교는 방편(方便)의 종교이기도 하다. 수많은 법문과 수행이 결국 전부 방편에 지나지 않았다고 하는 법화경의 말씀이 있다. 사람마다 근기(根機)가 다 달라서 어떤 이는 쉽게 불법의 요체를 체득하지만 어떤 이는 도무지 알아듣지 못 한다. 그래서 부처님은 다양한 사람들을 위해 각각의 근기에 맞추어 가르침을 펴야 했던 것이다. 일체 중생들이 본래 가진 부처의 성품을 깨닫게 하기 위해 무수히 많은 방편을 사용했다는 상황을 고려한다면 선의 과격한 일면도 이해가 된다. 그러나 선은 방편을 넘어선 최고의 수행이기도 하다. 모든 의심을 단박에 깨부수기 때문이다.


오늘은 백 세 번째와 백 네 번째 구절

不是山僧呈人我/불시산승정인아/산승이 인아상을 드러냄이 아니오

修行恐落斷常坑/수행공락단상갱/수행타가 단상의 구덩이에 떨어질까 염려함이로다

非不非是不是/비불비시불시/그름과 그르지 않음과 옳음과 옳지 않음이요

差之毫釐失千里/차지호리실천리/털끝만큼 어긋나도 천리 길로 잃으리도다.


  아상(我相), 인상(人相), 중생상(衆生相), 수자상(壽者相)을 금강경에서는 사상(四相)이라 부른다.

불교에서 ()이란 고정된 모습또는 고정된 관념을 뜻한다. 불법을 배우는 목적이 궁극적으로 내가 본래 없음을 아는 무아(無我)를 깨닫는 것이다. 그런데 본래 내가 없다는 사실을 고정관념 때문에 깨닫지 못하고 있다. 사상은 바로 그러한 의미에서 우리가 벗어나지 못하는 네가지 고정된 생각을 지칭하는 것이다. 아상은 내가 있다는 생각, 자아가 있다는 고정 관념, 인상은 남이 있다는 생각, 개아(個我)가 있다는 고정 관념, 중생상은 우리 모두가 중생이라는 생각, 범부라는 고정 관념, 수자상은 우리 모두는 목숨이 있으며 영혼이 있다는 고정 관념을 의미한다. 결국 사상이란 가 있다는 고정관념을 말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모름지기 수행자는 이러한 사상에서 벗어나야 한다. 고정된 생각은 또 하나의 분별심이기 때문이다.

  사실 ‘내가 옳다는 생각이 분별심이라는 것을 알아차리기는 정말 쉽지 않다. 그 또한 라는 상에 빠져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맞다, 틀렸다고 하는 시비(是非)를 따지는 것과 다를 바가 없다. 그러므로 증도가에서는 털끝만큼의 분별심이 있다면 결국 천리나 되는 거리 만큼이나 어긋나게 되버림을 경고했다.

승찬(僧璨) 대사의 심신명(心信銘)에서도 같은 구절이 나온다.

<호리유차(毫釐有差) 천지현격(天地懸隔)  털 끝 만큼의 차이가 있어도 하늘과 땅만큼 벌어진다.>

내가 옳다는 생각에 사로 잡혀서는 결코 참 나를 알지 못한다.


<일일 소견>

어쩌면 마음 공부는 내 마음에서 끊임없이 일어나는 분별심을 내려 놓는 것이 전부 일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저장
 

<관노트>    무조건 좋게 결정지어서 맡겨놓기


날짜:2025321

오늘의정진: 若是野干逐法王/ 약시야간축법왕/ 여우가 법왕을 쫓으려 한다면


- 100일 정진, 86일차

어제 증도가(證道歌) 아흔 아홉 번째와 백 번째 구절은

<境靜林閒獨自遊/경정림한독자유/ 경계 고요하고 숲 한적하여 홀로 노나니

走獸飛禽皆遠去/주수비금개원거/길짐승과 나는 새가 모두 멀리 가버렸다

師子兒衆隨後/사자아중수후/새끼 사자를 사자 무리가 뒤 따름이여

三歲卽能大哮吼/삼세즉능대효후/세살에 곧 크게 포효하도다> 였다.


세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는 속담이 있다. 세살 먹은 어린아이는 말도 할 줄 알고, 스스로 걷고 뛰는 데도 지장이 없다. 그렇게 쭉 팔십까지 살게 된다. 그래서 사람 노릇의 출발을 세살로 보는 것이 아닐까 싶다. 부모는 세살 먹은 아이 때부터 필요한 말과 행동을 가르치고, 하지 말아야 할 말과 행동을 알려 준다. 그렇게 배우고 자라면서 아이의 말과 행동을 부모는 뒤에서 지켜 봐준다. 마치 아이가 부모를 이끄는 것 같지만 사실은 아이가 스스로 앞 길을 헤쳐 나갈 수 있도록 지켜봐 주는 것이다. 사자의 무리는 사실 새끼 사자를 뒤 따르는 것이 아니다. 앞으로 무리를 이끌 수 있도록 뒤에서 지켜봐주는 부모의 마음과 다르지 않다. 혼자 스스로 자신의 길을 갈 수 있도록 뒤에서 지지하고 성원하는 것이다. 수행의 길도 그와 같다. 나 혼자 수행을 하는 것 같지만 사실은 보이지 않는 곳에서 일체 불보살님과 스승님들의 돌보심이 없다면 수행은 시도조차 못 했을 것이다.


오늘은 백 한 번째와 백 두 번째 구절

若是野干逐法王/약시야간축법왕/여우가 법왕을 쫓으려 한다면

百年妖怪虛開口/백년요괴허개구/백 년 묵은 요괴가 헛 되이 입만 여는 것이라

圓頓敎勿人情/원돈교물인정/원돈교는 인정이 없나니

有疑不決直須爭/유의불결직수쟁/의심이 있어 결정치 못하거든 바로 다툴지어다.


꼬리 아홉개 달린 여우가 아무리 재주를 피워도 백수의 왕 사자를 이길 수는 없다.

내 마음속에 온갖 그럴듯한 생각이 있다고 해도 분별, 망상은 망상심이다.

망상심은 진리의 참성품을 이길 수가 없다. 원돈교(圓頓敎)는 바로 선()이다.

선은 살불살조(殺佛殺祖)의 정신이다. 단칼에 죽여 없애야 하는데 인정(人情)이란 있을 수가 없다.

진짜 자비를 위해 때로는 무명(無明)을 한 칼에 베어 버려야만 한다.

부처를 만나면 부처를 죽이고, 조사를 만나면 조사를 죽여야만 하는 것이다.

백척간두진일보(百尺竿頭進一步)의 심정이 아니라면 원돈의 문에 들 수가 없다.

그래서 원돈은 단박에 들어가는 문이다. 문을 찾으려고 조금이라도 기웃거리거나 지체해서는 안된다. 문없는 문으로 단번에 들어가야 한다. 무문관(無門關) 은 이렇게 시작한다.


<일일 소견>

몸이 아프니 마음이 괴롭다. 고통 있는 곳이 지옥이다. 그렇다면 몸과 마음이 지옥이다.

몸이 나으니 마음이 기쁘다. 기쁨 있는 곳이 극락이다. 그렇다면 몸과 마음이 극락이다.

마음으로 짓고 몸으로 받는다는 뜻이 바로 이것이다. 지옥과 극락이 바로 나한테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