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노트>    무조건 좋게 결정지어서 맡겨놓기


날짜:2025323

오늘의정진: 是卽龍女頓成佛/시즉용녀돈성불/옳은 즉 용녀가 단박에 성불함이여


- 100일 정진, 88일차

어제 증도가(證道歌) 백 세 번째와 백 네 번째 구절은

<不是山僧呈人我/불시산승정인아/산승이 인아상을 드러냄이 아니오

修行恐落斷常坑/수행공락단상갱/수행타가 단상의 구덩이에 떨어질까 염려함이로다

非不非是不是/비불비시불시/그름과 그르지 않음과 옳음과 옳지 않음이요

差之毫釐失千里/차지호리실천리/털끝만큼 어긋나도 천리 길로 잃으리도다> 였다.


수행은 철저하게 라는 상()을 죽이는 과정이다. 그 과정은 끊임없이 계속되어야만 한다. 죽인다고 해서 살인 같은 죽임이 아니라 라는 상(), 즉 고정된 관념을 없애는 것이다. 수행은 끊임없는 자기와의 치열한 싸움이며 자칫 잘못하면 엉뚱한 구덩이에 빠질 가능성도 높고, 처음 의도했던 것 하고는 십만팔천리나 멀어지게 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끊어지지 않는 마음을 내야 한다.

이는 곧 금강경의 응무소주이생기심(應無所主而生其心) 마땅히 머무르는 바가 없는 마음을 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오늘은 백 다섯 번째와 백 여섯 번째 구절

是卽龍女頓成佛/시즉용녀돈성불/옳은 즉 용녀가 단박에 성불함이여

非卽善星生陷墜/비즉선성생함추/그른 즉 선성 비구가 산 채로 지옥에 떨어짐이다

吾早年來積學問/오조연래적학문/나는 어려서 부터 학문을 쌓았고

亦曾討疏尋經論/역중토소심경론/일찍 소를 더듬고 경론을 살폈다.


용녀(龍女)가 성불하는 일화는 법화경(法華經)에 나오는 내용이다. 용녀는 큰 바다에 사는 용왕의 딸로 8살 때 법화경의 설법을 듣고 성불하게 되었다. 이에 사람들은 8살 이란 어린 나이에 부처가 되었다는 것에 의심했고, 또한 여자의 몸으로 성불했다는 것을 믿지 않았다. 이는 우리가 얼마나 상()에 집착하는 지를 보여주는 일화이다. 어린이가 성불할 수 있다는 것과 여자가 성불할 수 있다는 것을 당시 사람들은 믿질 않았다. 금강경에서 사상(四相)을 벗어 나야 한다고 했다. 아상(我相), 인상(人相), 중생상(衆生相), 수자상(壽者相)이라는 고정된 모습을 벗어나야 무아(無我)를 이를 수 있다. 용녀가 단박에 성불했다는 일화를 통해 고정된 모습이란 없다는 것을 보여주는 일화이다.

선성비구라는 자는 비록 불교 경전을 암송하고 다녔다고 했으나 불법에 대한 믿음이 없었다. 오히려 승단의 화합을 해쳤고 불법을 비난하고 다녔다. 신성비구의 이러한 행위는 오역죄에 해당되어 결국 산채로 지옥에 떨어졌다는 일화가 있다.

이러한 일화들이 의미하는 바는 진리란 고정된 모습이란 없는 것으로 그 어떠한 상에도 집착하지 말아야 함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일일 소견>

믿음이란 무엇인가? 진리가 고정됨이 없다면 우리는 무엇을 믿어야 하는가? 어쩌면 우리는 믿음을 거론하면 믿음의 대상부터 고려하는 습성이 있다. 누구를 믿을 것인가? 그러나 믿음은 대상이 아니라 방식이 아닐까 싶다. 어떻게 믿을 것인가? 나의 소견으로는 기독교가 믿음에 대하여 대상을 가장 중요시 여겼다면 불교는 믿음에 대한 방식을 좀 더 중요시 하지 않았나 싶다.

누구를 믿을 것인가? 어떻게 믿을 것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