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노트>    무조건 좋게 결정지어서 맡겨놓기


날짜:2025313

오늘의정진: 建法幢立宗旨/  건법당입종지/ 법의 깃발 세우고 종지를 일으킴이여


- 100일 정진, 78일차

어제 증도가(證道歌) 여든 세 번째와 여든 네 번째 구절은

<或是或非人不識/  혹시혹비인불식/ 혹은 옳고 혹은 그릇됨을 사람은 알지 못하고

逆行順行天莫測/ 역행순행천막측/ 역행, 순행은 하늘도 헤아리지 못함이여

吾早曾經多劫修/ 오조증경다겁수/ 내 일찍이 많은 겁을 지나며 수행했나니

不是等閑相狂惑 /불시등한상광혹/ 부질없이 서로 속여 미혹케 함이 아니로다> 였다.


'혹시'가 한자어(漢子語)였음을 증도가를 보면서 알았다. '' 이란 명확하지 않고 확실한 상태가 아니다. 미혹(迷惑)이란 뜻도 어찌보면 확실하고 분명하지 않기 때문에 마음이 '' 하는 것이다. 즉 혹()과 마음()이 합쳐졌다

달리 생각하면 '혹시'는 가능성을 뜻하는 것이다. 이것 혹은 저것의 선택을 앞둔 방황이면서 동시에 선택에 대한 가능성이기도 하다. 즉, 방황과 가능성을 함께 포함했다. 우리 앞의 미래는 여전히 '' 한 상태이다. 이렇게 될 수도, 저렇게 될 수도, 나는 물론 하늘조차도 예측하지 못한다. 수 없는 생을 육도 윤회로 돌면서도 내가 다음 생에 어디로 갈지 아무도 모른다. 우리의 미혹이란 그런 것이다. 그럼에도 우리는 여전히 가능성을 지닌 존재들 이기도 하다. 그래서 정해진 운명이란 없는 것이다.


오늘은 여든 다섯 번째와 여든 여섯 번째 구절

建法幢立宗旨/  건법당입종지/ 법의 깃발 세우고 종지를 일으킴이여

明明佛勅曹溪是/ 명명불칙조계시/ 밝고 밝은 부처님 법 조계에서 이었도다

第一迦葉首傳燈/ 제일가섭수전등/ 첫 번째로 가섭이 맨 먼저 불법의 등불을 전하니

二十八代西天記/이십팔대서천기/ 이십 팔대는 서천의 기록이로다


붓다가 보리수 아래에서 정각 이후 40여년간 가르침을 펼치다 지금으로부터 약 2500년 전에 열반에 드셨다. 붓다가 열반을 앞두고 자신의 가르침이 앞으로 3가지 시대를 맞이하게 되리라 예언하였다. 첫번째 시대는 정법시대(正法時代)로 붓다의 열반이후 약 500~1000년간의 시기를 말한다. 이 시기에는 붓다가 열반에 드신지 얼마되지 않은 시기로 붓다의 가르침이 그대로 남아 있어서 많은 수행자들이 깨달음에 이르는 시기라고 하였다

두번째 시대는 상법시대(像法時代)로 정법시대 이후 500~1000년 간의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정법시대 만큼 불법이 남아 있지만 깨닫는 이가 적다고 하셨다. 마지막은 말법시대(末法時代)를 맞이 하게 되는데 붓다의 가르침은 그저 껍데기만 남았고 수행을 해서 깨닫는 자는 거의 없는 시대가 된다고 하였다.

붓다의 열반 이후 수제자 마하가섭이 붓다의 법을 받아 초조(初祖)가 되어 불법을 계승하였다

그 후 상법시대로 접어들게 되면서 불법은 인도에서 쇠퇴하기 시작했고 급기야는 28대조 달마대사에 이르러서는 인도에서 중국으로 전해지게 되었다. 이러한 법의 계승(繼承) 혹은 전승(傳承)을 전등(傳燈)이라고 부른다

불법은 어두운 밤길을 걷는데 꼭 필요한 등불과 같다는 의미로 등불이 꺼지지 않게 대대로 전승되어졌다이렇게 불법은 초조 마하가섭 존자를 시작으로 달마대사를 거쳐 조계산의 육조혜능에게 까지 이르게 되었다. 이것이 인도에서 28대조 달마대사가 중국에서 초조로 불리게 배경이다.


<일일 소견>

정말로 아무 생각이 없다가 문득 떠오르면서 이해가 되어지는 순간들이 있다

그런 순간이 오기 까지는 보아도 본 것이 아니고, 들어도 들은 것이 아니었다. 눈 뜬 장님이었고, 귀 있는 귀머거리였을 뿐이다.

이제야 비로소 보여지고, 들려져야 제대로 보는 것이고 제대로 듣는 것임을 알았다

미혹에서 분명으로 ...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잉크냄새 2025-03-14 19:5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혹시‘가 한자어였군요. 혹에서 느껴지는 그 미묘한 떨림은 나침반의 바늘에서 느껴지는 떨림과 통하는 것 같습니다. 방황과 가능성을 동시에 내포한 그 떨림이 멈추지 않는 한 방향을 잃을 일이 없을 것입니다.

마힐 2025-03-14 22:56   좋아요 0 | URL
정말 듣고 보니 그렇네요. 미묘한 떨림과 같은 나침반의 바늘이 ‘혹‘ 이라는 비유 정말 좋습니다. 그렇다면 마음은 나침반이었군요. 언제나 떨림은 있지만 그 떨리는 바늘이 우리의 갈 방향을 알려주는 거였네요. 아니 떨림이 있어야 되는 거였네요. 깨우침 감사 합니다. 잉크냄새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