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의 행자시절 3 - 나는 자유롭고 싶었다
박원자 엮음, 김민숙 사진 / 다할미디어 / 2008년 1월
평점 :
품절
세월호 사건이 일어난 이후, 뉴스도 드라마도 영화도 보지 않았다.
세상의 어떤 영화보다도 더 충격적이었고 고통스러웠던 세월호 사건을 지켜보면서 말할 의욕도, 희망도 사라지는 것을 보았다.
이번 여름, 해인사 여름 수련회를 4박 5일 다녀왔다.
새벽 예불의 장엄하고 아름다운 의식, 새벽 4시의 별이 총총한 하늘 아래서 성철 스님 사리탑에서 108배와 참선, 스님의 청정하고 맑은 염불 소리를 들으면서 마음의 슬픔을 씻어내고 온 것 같으나 나는 아직도 슬프다.
사람으로 이 고통스런 세상으로 자꾸 윤회하여 와야 한다는 사실이 슬프고 세월호가 아직도 슬프다.
마음을 다잡기 위해서 나의 행자시절을 읽었다.
초발심의 젊은 행자들의 치열한 삶과 이제는 아름다운 일화로만 남은 큰 스님들의 따뜻하고 크신 보살행을 글로 만나면서 내 생의 남은 시간을 허투루 보내어서는 안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일가 중에 41명이나 출가한 일타스님의 일화는 특히 자비의 마음 크기가 어떠해야 하는지를 다시 생각해 보게 하였다.
일타스님의 상좌 하나가 환속하고 장가를 갔다. 많이 배우지 못한 상좌가 처가의 극심한 반대를 무릅쓰고 혼인을 해서 두세 해가 지나도록, 스님께선 승적을 정리하지 않으셨다고 한다. 그래서 제자가 아무개는 애기 낳고 잘살고 있는데 아직 승적이 정리되지 않았다고 좀 언짢은 소리를 하니 스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셨다고 한다.
“집안 좋고 배운 것 많은 그 아이 처가 내 상좌와 얼마나 살는지 걱정이 된다. 혹시나 그 애가 버림 받으면 오갈 데 없이 불쌍하지 않느냐? 한두 해 더 두고 봐서 잘 살면 정리하마”고 하셨다고 한다.
스님이나 신부님에 대해 엄격한 잣대를 가지고 조금만 잘못해도 수행자가 어쩌구저쩌구 비난하고 비판한 우리는 ‘인간’에 대한, 나약한 ‘존재’에 대한 자비심이 없었던 것이 아닐까?
이 책에는 우리가 이름만 들어서 알고 있는 동산스님, 청담스님, 성철스님의 향기를 맡을 수 있고 예전에 너무나 구수하게 들어서 목소리가 낯익은 일타스님의 일화도 있어 내게는 감동과 수행에 대한 발심을 다시 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3권의 송담스님 글에는 성철스님과 지월스님의 일화가 있다.
지월스님이 가시기 전, 병고를 받아들이시고 수술을 마다하고 해인사로 돌아와 경내를 말없이 돌아보셨다고 한다.
성철스님께서 방으로 찾아와 예의 그 투박한 음성으로
“아파요?” 하고 물으셨다.
아무 말씀없이 조용히 웃음지으시던 지월 스님
“몸 바꿔야 되겠네요.”
스님께선 고개를 가만히 끄덕이셨다.
“그럼 먼저 가소.”
지월 스님께선 바로 다음날 고요히 몸을 바꾸셨다. p321
이번 여름 해인사에서도 느낀 것이지만, 이 오욕락이 들끓는 세상에서 청정하게 자신을 닦아나가고 부처님 법을 공부하는 학인들과 스님들을 보면서 마음이 뜨거워지도록 감사한 마음이 들었다.
아들을 출가 시킨 엄마 마음이라고 할까, 짠하고 대견하고 만감이 교차했다.
젊은 스님들이 올곧게 잘 수행해 가시기를 진심으로 발원한다.
새벽 산사에서 들리던 학인 스님들의 경 읽는 소리, 도량석을 도는 소리, 초를 다투며 생활하시던 승가대학의 모든 학인 스님들에게 부처님의 가피가 함께 하기를.
삼일수심 천재보, 백년탐물 일조진,
삼일 마음 닦은 것은 천년의 보배요
백년 물질을 탐하는 것은 하루아침의 티끌이라.
스님들께서는 스님들의 처소에서
재가불자인 저희들은 저희들이 삶 속에서
계행을 지키며 지혜와 자비를 실천하며 살기를 발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