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자의 기억법
김영하 지음 / 문학동네 / 2013년 7월
평점 :
절판


자주 없는 일인데, 어쩌다 두 권의 소설을 잇따라 읽는다. 그 느낌이 전혀 달라 참 재미있다는 생각을 한다.

황정은의 <야만적인 앨리스씨>는 아주 천천히 힘겹게 읽었으나 뒷맛이 맨숭맨숭하여 뭔가 속은 듯한 느낌이었다면, 김영하의 <살인자의 기억법>은 빨리, 가끔은 뒷일을 예측한 것이 맞는 경우가 생길 만큼 쉽게 읽었으나 남은 것이 묵직하여 뒤통수를 한 대 맞은 것 같다.

이것은 작가에 대한 개인적인 호오의 문제가 아니고 단지 독서 취향일 뿐이다. 내가 소설을 통해 마주치고 싶은 삶의 문제 같은.

진한 포즈의 향기를 느끼게 되는 것이 황정은의 소설이라면 <살인자의 기억법>은 고집스럽게 직진이다. <야만..>에서 이것과 저것, 언어와 언어사이, 장면과 장면 사이의 그 막막한 거리를 읽었다면 <살인자...>는 한 인간의 내면 속에서 함께 유영한다.

치매 혹은 알츠하이머라고 하는 일상적인 증상이 두려운 것은 그것이 누구를 지목하거나 미리 예고를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한 한번 습격을 받으면 도저히 이겨낼 수 없다는 것이다. 살인자에게 잡힌 먹잇감처럼.

게다가 이 지적인 살인자는 우아하기까지 한데, 그 지적인 살인자가 갇혀버린 내면의 저 늪이 나는 몹시 두렵다.

기억을 잃는다는 것, 혹은 기억한다는 것은 그것이 나의 기억이면서도 그것이 나의 것이 아니거나 전혀 다른 기억, 그 기억의 불완전함이 두렵다.

도대체 늙어서 내게 남아있을 거란 무엇이란 말인지. 개가 물고 나온 백골의 뼈만이 유일한 기억이라는 건지.

무엇보다 마음이 무거운 건, 오래전 사람들을 자신의 기억에서 완전히 떠나보낸 아버지가 떠올라서다. 치매를 앓았던 당신은 빼고 엄마를 비롯해 가족만 힘들었다고 나는 자신있게 말한적이 있다. 만약 아버지가 누구도 모르는 자신의 기억 속에 갇혀 있었던 거라면 그는 순간마다 재생되고 인지하는 그 상황이 얼마나 두려웠을까.

포즈가 아닌 구체적인 실체로 내게 육박해온 이 살인자의 순간 재생과 순간 삭제되는 기억의 과정이 권희철의 해설에 나온 말처럼 웃을 수 없는 농담이다.

진짜 공포란 어떤 것일까? 죽는 것일까, 죽임을 당하는 것일까, 서서히 죽어가는 자기 자신을 또렷하게 응시하는 것일까. <살인자의 기억법>은 내가 이해할 수 있는 절대 고독의 한 장면을 보여주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